1000만 영화 한 편의 위력은 대단하다. 영화 '실미도(강우석 감독·2003) 이후 약 14년간 스무 편의 영화가 1000만 돌파 달성에 성공했고, 이전보다 빠르게, 그 빈도 역시 잦아졌다. 그렇다고 해서 그 가치까지 상실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1000만은 많은 영화인들의 꿈이고, 몇 년, 몇 십년이 지나도 회자될 기록의 산물이다.
이제는 어느 정도의 흐름에 따라 '무조건 1000만', '벌써 1000만'이라 쉽게 표현되지만 여전히 아무나 할 수 있고, 아무나 가질 수 있는 타이틀은 아니다. 관객들의 신뢰를 담보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꿈의 숫자다. '하늘이 점지해 주는 1000만'이라는 수식어도 유효하다.
올해 그 복을 한 몸에 받은 작품은 바로 '택시운전사(장훈 감독)'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민주화운동을 주도한 이들이 아닌 이를 바라보는 제 3자의 시각으로 색다르게 풀어내며 관객들과 소통하는데 성공했다. 관객들이 원한 1000만이다. 1000만이라는 결과만큼 기억될 과정이다.
이에 따라 2017년 영화계는 '택시운전사' 제작사 더 램프 박은경 대표를 빼놓고는 말 할 수 없다. 박은경 대표는 서강대학교 국문학과 출신으로 제일기획, IBM을 거쳐 2003년부터 쇼박스에서 일하며 본격적으로 영화와 인연을 맺었다. 마케팅팀장과 투자팀장을 지낸 그는 2012년 독립해 제작사 더 램프를 차렸고, '동창생(2013)'을 시작으로 '쓰리썸머나잇(2014)', '해어화(2015)'에 이어 '택시운전사'를 제작, 4년 만에 1000만 영화를 탄생시킨 능력자가 됐다.
"1년쯤 지나면 좀 실감이 날까요?"라며 '1000만'이라는 숫자 자체가 아직까지는 체감되지 않는다고 고백한 박은경 대표는 "이번 영화를 통해 좋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좋게 늙어가는 것에 대한 생각이 많아졌다. 영화인으로서 관객들의 마음도 조금 더 이해하게 됐다"며 "무엇보다 함께 한 수 많은 사람들이 기뻐하고 서로 축하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다"고 진심을 표했다.
결국 기승전'사람'이다. 사람을 보는 눈이 있기에, 그리고 그 사람들을 이해하는 마음이 있기에 공감과 소통의 최고치를 찍은 영화 '택시운전사'를 만들 수 있었다. 관객들의 애정에 보답할 길은 다시 돌아 영화다. 박은경 대표는 쉴틈없이 차기작 '말모이(가제)'에 돌입할 전망이다. 일제강점기 시대를 배경으로 조선어학회의 이야기를 다룬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문재인 대통령 관람기도 화제를 모았다. "인권변호사 시절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함께 '기로에 선 한국'이라는 다큐멘터리를 상영했고, 최근 5.18 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다시 열창하는 등 문재인 대통령과 5.18 민주화운동의 인연이 남다르다는 것, 누구보다 깊게 생각하고 계신다는 것을 모두 잘 알고있지 않나. 고 위르겐 힌츠페터 아내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가 한국을 방문하는데 뜻깊은 시간이 되길 바랐고 청와대 측에 이러한 마음을 담아 요청을 드렸다."
- 결과적으로 요청이 성사됐다. "확인 후 연락을 준다고 하셨는데 바로 다음 날 전화가 와 놀랐다. '그럼 같이 영화를 보는건 어떻겠냐'고 역으로 제안을 하시더라. 관을 따로 잡지 말고 관객들과 함께 보기를 원하셔서 그야말로 예상치 못한 깜짝 선물이 됐다. 정말 감사했고 우리에게도 잊지못할 이벤트가 됐다. 참고로 송강호·유해진 선배님의 풀장착 수트 패션은 '택시운전사'를 하면서 처음 봤다.(웃음) 그 날은 시상식보다 더 멋졌던 것 같다."
- 제작자로 가장 힘든 부분은 무엇인가. "힘들다고 표현하긴 그렇지만 결정들을 해 나가는 과정들인 것 같다. 결정에 대해서는 오롯이 책임을 져야 하고. 좋게 말하면 추진력인데 성격이 급해 빨리 빨리 해결하는 편이다. 그래도 좀 더 신중해야 하는 지점들에 있어서는 주변 의견을 최대한 많이 들으려 노력하고 있다. 여러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할 때가 많다."
- 회사의 일원으로 있을 때와 제작사 대표로 영화, 영화계를 바라보는 시각도 달라졌을 것 같다. "예전에는 달의 앞면만 봤고, 앞면만 볼 수 있었다면 이제는 뒷면을 보게 된다. '진짜 많은 일들이 있구나. 내가 아는건 아무것도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그래서 흥미롭다. 여전히 적응하는 단계라 다 안다고 할 수는 없다. 잘 적응하고 싶다."
- 네 편의 작품을 완성했다. 작품을 보는 눈도 변화되는 것 같은가. "'열심히 하자'로 시작하는 마음은 같다. 하지만 나도 사람인지라 모든 것을 다 잘 할 수는 없더라. '내가 잘 하는 것'에 대해 눈이 뜨이고 있다. 사실 '택시운전사'를 하면서 기획 초·중반쯤 회사 아이템을 많이 정리했다. 자체 검열이 세지더라. 지금은 작품 수를 많이 하기 보다 길게 봤을 때 '잘 할 수 있는 것을 잘 해내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나'라는 마음이 더 커졌다."
- 확실히 객관적으로 변할 수 밖에 없다. "그것이 스스로에게도 맞지 않을까 싶다. 예전에는 잘 모르는 것도 '열심히 하면 알 수 있을거야'라고 생각했는데 무리가 있더라. 한 편의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2~3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여유가 많지도 않고. 정답은 없겠지만 우선순위를 정하자면 지금은 이 단계에서 이런 과정을 보내고 있다."
- 차기작도 자체 검열 끝에 결정한 것인가. "'말모이(가제)'라고 1942년 일제강점기 말기가 배경이다. 그 시기가 메인 무대가 될 것 같다. 조선어학회 이야기다. '말 모이? 채소냐?'라고 장난스레 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웃음) 제목을 그대로 갈지 바꿀지는 차차 풀어나가야 할 것 같다. 감독님만 정해졌고 캐스팅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준비중인 다른 작품들도 있기는 하지만 시나리오 상태로 봤을 때 이 작품이 가장 괜찮았다."
- 대작 개봉에는 꼭 스크린 독과점 이야기가 뒤따른다. 궁극적으로 배급사와 극장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영화인으로서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들이 있지 않을까. "어느 누구의 문제로 국한 시키기 보다는 다 같이 풀어 나가야 할 문제 아닐까 싶다. 다만 영화의 본질과 독과점 문제는 분명 다른데 한데 섞여 보이는 것이 안타깝기는 하다. 독과점은 제도적인 문제이지 영화의 의미에서 파생되는 문제는 아니다. 이건 별개가 되어야 한다가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