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하정우(40) 천하'다. 1년6개월의 공백은 역시 단순한 공백이 아니었다. 열일한 결과를 흥행으로 보답받는 짜릿함. 몇 번을 경험했을 하정우에게도 동시기 개봉한 두 작품이 역대급 성과를 일궈내고 있는 이 과정은 분명 색다른 경험일 것이다.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김용화 감독)'이 개봉 9일만에 누적관객수 600만 명을 돌파하며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한 주 늦게 등판한 '1987(장준환 감독)' 역시 만만치 않은 스코어를 자랑하고 있다. 12월 개봉한 세 작품 중 두 작품에 출연한 하정우의 영화가 쌍끌이 흥행을 이끌고 있는 상황. 하정우의 진가는 현재 진행형이다.
섣부르긴 하지만 지금까지 분위기로 본다면 '신과함께'는 2018년 첫 1000만 영화 등극이 사실상 확정이다. 하정우로서는 '암살(최동훈 감독)' 이후 두 번째 1000만 기록이다. '1987'은 개봉 직후 관객들의 이구동성 호평 속 '역대급 인생 영화'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흥행과 작품성 두 마리 토끼를 '또' 다 잡은 하정우다.
하정우는 공식적으로 '신과함께' 팀과 언론 인터뷰를 진행했지만 분량은 작정이라도 한듯 딱 '절반'으로 나눴다. '신과함께' 이야기를 신나게 하다가도 "그럼 우리 다시 '1987'로 돌아갈까요?"라며 천연덕스럽게 두 영화를 야무지게 홍보한 것. 무대인사도 어느 한 작품 섭섭함 없이 열심히 소화할 계획이다.
타고난 영리함은 여전하다. 쏟아지는 홍보 일정으로 매일 매일 스케줄이 빼곡하다. 성탄절 연휴는 물론 연말에 새해까지 관객들과 함께 한다. "뇌가 하나 더 있었으면 좋겠다"고 토로한 하정우지만 하정우이기에 할 수 있는 행복한 고민이기도 하다. 힘들어도 잊지 못할 12월이 아닐 수 없다. ※인터뷰①에서 이어집니다.
- '신과함께'는 분명 위험부담이 큰 작품이다. "일본어 대사가 반 이상인 '아가씨'를 하면서, '부산행'과 '곡성'을 보면서 '이제 이런 장르가 우리나라 관객들에게 어필 될 수 있구나'라고 생각했다. '신과함께'는 그런 상상에서 좀 더 진화하고 좀더 새로워진 비주얼 형식의 영화다. 지금 시대에는 친숙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더 컸다."
- '신과함께'는 어떻게 출연하게 됐나. "김용화 감독의 전작 '미스터 고'가 개봉할 때 난리가 나지 않았나. '고릴라를 매니지먼트 해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그리고 내가 출연했던 '더 테러 라이브'와 붙었는데 결과적으로 성적이 좋지 못했다. 섣부른 위로를 감히 하지 못했다. 그리고 나서 조금 있다 감독님을 만났는데 감독님에게 '감독님이 하게 될 다음 작품이 뭐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나를 1번으로 생각해 달라. 어떤 캐릭터든 상관없다. 분량도 상관없고 여장도 할 수 있다. 무조건 같이 하겠다'고 했다. 그땐 '신과함께'가 결정 안 된 상태였다. 다른 여러 프로젝트들이 있었는데 그 후에 '신과함께'로 확정됐다."
- 강림과 진기한을 합친 강림을 연기했다. "솔직히 말하면 난 해원맥 캐릭터가 더 끌렸다.(웃음) '자홍은 나와 안 어울리는 것 같은데?' 싶었고. 아마 2편을 보면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원작도 봤나. "봤다. 나는 메시지에 조금 더 집중했던 것 같다. 웹툰 '신과 함께'와 영화 '신과 함께'에 담긴 메시지가 나에게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작은 디테일이나 인물들의 변화는 물론 있다. 각색되고 재구성 됐지만 관통하는 드라마와 메시지는 똑같다고 생각했다. 보편적이고 한번쯤은 상상하고 생각해 봤을 법한. 그래서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이라 믿었다."
- 원작 팬들은 어쩔 수 없는 아쉬움을 내비치고 있다. "충분히 이해한다. 나 역시 유난히 집착했던 무언가가 있다. 스타크래프트를 영화화 한 작품이 있었는데 세 종족이 다 안 나온다고 하더라. 영화를 보기 전에 거기서부터 일단 너무 실망했다. 그래서 원작 팬들이 영화 '신과 함께'에 갖는 마음이 어떤지 잘 안다. 원작이 있는 '허삼관'도 연출해 보지 않았냐.(웃음) 원작을 영화화 시켜야 하는 김용화 감독 마음도 이해하고 관객 마음도 이해한다. 간담회 때 관람포인트로 말씀드렸던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과 함께'를 영화로써 한번 관람해 주시면 어떨까 하는 마음이었던 것이다."
- 두 캐릭터를 하나로 합친다고 했을 때 직접 연기해야 하는 배우 입장에서 어떤 마음이 들던가. "'가능한가? 가능할까?' 싶었다. 무엇보다 연기 톤을 잡기가 어려웠다. 이승에서는 강님으로, 저승에 올라가서는 강림이면서 웹툰으로 따지면 재판을 진행하는 진기한이어야 했다. 그 중간 지점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과거 교수님이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중에 뭔가 아리송할 땐 무조건 블랙이야. 두번째는 화이트고'라는 말씀을 해주신 적이 있다. 뾰족한 수가 없다보니 그 생각이 떠오르더라. 그래서 더 절제하려고 노력했다."
- 확실히 감정을 많이 드러내지 않더라. "삼차사 역할 자체가 그렇다. 인간의 면모를 드러내기 보다는 블랙의 칼라를 갖고 있는 캐릭터로 보이는 것이 맞다. 대신 '자홍과 수홍, 어머니의 감정이 관객들을 이끌면 되겠구나' 생각했다. 그들은 인간이고 감성적이다. 그 감성이 어쩔 땐 과잉이 되기도 하지만 그것이 또 인간이다. 그들에 맞서 삼차사는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고 움직이기만 하는 인물로 디자인해 끌고 가면 되겠구나 싶었다. 그제서야 실마리가 잡히기 시작했다."
- 삼차사의 과거는 2편에 등장한다. "세 명의 1000년 전부터 어떻게 살아왔는지, 어떻게 삼차사가 됐는지 보여질 것이다. 그땐 감정도 보여질 것이다. 사실 '신과함께'는 2편까지 보고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일단 여기까지 말하겠다.(웃음)"
- 차태현이 CG 연기의 고충을 잘 안하고 했다. 민망하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가만히 있어주는 게 도움이 되는 거라고. "먼저 고백한다. '아 민망하다'(웃음) 그러면 다들 동의하면서 '너무 민망해!'라고 한다. '아, 민망해? 너도 민망해? 그럼 다시 한 번 해보자'라는 식이다. 너도 나도 민망한걸 알기 때문에 그 때부터는 덜 민망해지고 그러다 보면 점점 민망함이 사라진다. 카메라 렌즈를 보면서 연기해야 하는 신들이 많았는데 대사 NG를 엄청 냈다. 허공에 대고 얘기하는게 생각보다 어색하고 민망하더라. 지금은 주변에 뭔가 채워져 있고 가려져 있고 붙여져 있지만 딱 독립적으로 그 컷만 찍을 때는 정말 민망했다. 새로운 연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