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1987' 장준환 감독이 작품으로 제5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내심 감독상을 기대했지만 호명되지 않은 탓에 마음을 비우고 앉아있던 찰나, 마지막 순간 들려온 작품명이다. 장준환 감독은 생각했던 소감도 새까맣게 잊어버린 채 무대에 올라 얼떨떨한 마음으로 기쁨을 만끽했다. 2003년과 2004년 상업영화 데뷔작 '지구를 지켜라'로 각종 영화제와 시상식 단골 손님으로 불렸던 장준환 감독은 유일하게 백상에서만 트로피를 품지 못했다. 그 아쉬움을 14년만에 풀었다.
장준환 감독에게 '1987'는 눈물 버튼이나 다름없다. "평소 눈물을 잘 흘리지 않는다"고 여러 번 강조했지만 '1987' 관련 행사가 있을 때마다 눈물을 보이는 장준환 감독을 포착할 수 있었다. "고민했던 만큼 마음의 짐도 컸던 것 같아요. 영화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때의 이야기가 꾸준히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크죠." 개봉 후 반개월이 넘는 시간동안 '1987'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곳이라면 마다하지 않고 찾은 장준환 감독이다. 고(故) 박종철·이한열 열사의 추모식에 참석하는 것도 매 해 챙겨야 할 일정이 됐다.
장준환 감독은 수상 후 "아내 문소리를 언급하지 못했다"며 미안한 마음을 드러냈다. 장준환 감독과 문소리는 감독과 배우로 만나 지난 2006년 결혼, 2011년 딸 연두를 낳았다. "딸에게는 잘 놀아주는 아빠이면서 미안한 아빠"라고 토로한 장준환 감독은 "배우 활동을 하는 아내에게는 많은 혜택과 긍정의 에너지를 받는다"며 고마워 했다.
'지구를 지켜라(2003)',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2013)', '1987(2017)'까지 작품을 선보이는 텀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그래도 타 감독들에 비해서는 꽤 오랜 준비 기간을 필요로 한다. 차기작은 역시 미정, "'1987'을 잘 마무리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하는 장준환 감독이다. 은근슬쩍 55회 백상 심사위원 자리를 요청하자 장준환 감독은 "'촬영 들어간다'는 말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시원한 맥주를 쭉 들이켰다. 더할나위없이 반가울 소식. 장준환 감독의 행보를 아낌없이 응원한다.
※취중토크②에서 이어집니다.
- 과거에도 그랬지만 최근에는 더욱 작품과 배우·감독들에 대한 대중의 반응이 흥망을 결정지을 정도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생각하지 못했지만 의도한 것도 아닌 작은 실수가 치명적인 문제로 커지기도 하고요. 창작자의 입장에서도 신경쓰이지 않나요. "안 쓰일 수가 없어요. 신경이 쓰여요. 하지만 그러지 않으려고 노력해야겠죠. '그러지 않는다'는 것이 '듣지 않으려고 한다'는 건 아니에요. '진짜가 뭘까. 이 소용돌이 속에서 남는 진짜는 뭘까'에 집중하고 그것을 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거죠. 걸러내는 작업은 무언가를 만드는 사람들, 특히 예술가들이 해야 할 또 하나의 과제이자 숙제라고 생각해요. 생각 나는대로 한다고 해서 그게 다 예술은 아니거든요. 코어, 핵심을 다듬어낼 필요는 분명히 있죠. 그것이 아니더라도 나를 흔드는건 너무 많으니까요."
- 경험에서 우러나온 현실적 발언인 것 같아요. "영화 하나를 만들면 수명을 적어도 1.5년 씩은 갉아 먹는 것 같아요. 진짜 내 피와 살을 다 내어주는 느낌이랄까요? 모르겠어요. 다른 감독님들은 어떤지 모르겠고, 나름의 고충들이 있겠지만 저는 그렇더라고요."
- 가장 힘든 경우는 어떤 때인가요. "음…. 내가 믿고있는 무언가를 자꾸 외부적인 요인이 흔들 때. '이게 아닌가? 그렇게 많이 생각하고 고민한 이게 아닌건가?' 내 의견과 판단이 100% 맞을 수는 없잖아요. 최대한 많은 이야기를 흡수하는 과정이 필요하죠. 그러면서도 결국 결정은 감독의 몫이에요."
- 결정엔 책임이 뒤따르죠. "촬영할 때 제일 듣기 싫은 질문이 뭔 줄 아세요? '감독님, 뭐 드실래요?' 이거예요.(웃음) 뭘 물어보는게 너무 싫은거예요. '이제 그만 내가 결정하게 해줘. 안 하면 안돼? 그냥 아무거나 먹여줘' 하죠. 하하. 하루에 결정해야 할 것들이 너무 너무 많으니까 직업병 아닌 직업병이 생기더라고요."
- 큰 프로젝트를 마치고 휴식은 좀 취했나요. "'1987' 개봉하고 막 스크린에서 막 내리자마자 가족들과 다 같이 동남아시아 휴양지에 다녀왔어요."
- 누구보다 딸 연두가 좋아했겠어요. "오랜시간 함께 하지 못한 미안함이 컸죠. 연두가 요즘 엄마 아빠를 똑 닮아 낯을 엄청 가리는데 또 가족들끼리 있으니까 많이 신나 하더라고요."
- 연두에겐 어떤 아빠인가요. "잘 놀아주는 아빠이긴 한 것 같아요. 고전적인 아빠들은 일만 하는 이미지가 강하잖아요? 사냥해 먹잇감 툭 던져주고 '이제 난 몰라. 알아서 먹어' 하는.(웃음) 저도 거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아버지 밑에서 자랐고 그런 것이 아쉽더라고요. 그래서 될 수 있으면 딸과 잘 놀아주려고 해요. 같이 놀면서 내가 아이 땐 어땠는지 돌이켜 보기도 하고요."
- 정말 좋은 아빠네요. "'1987'에 연두와 함께 나왔던 연두 외사촌 오빠가 있거든요. 두 아이가 날 부르는 캐릭터 이름이 있어요. 아빠라고 안 부르고 '빠빠베리'라고 불러요. 무슨 캐릭터 이름인가 싶어 찾아봤는데 없더라고요. 그냥 둘이 직접 만든거예요. 캐릭터가 돼 같이 놀아도 주는거죠. 그리고 아이들은 반복하는 걸 좋아하잖아요? 10번, 100만 똑같이 해줘도 좋아해요. '이렇게 반복해도 계속 웃을 수 있었던 마음은 뭐였지? 우리는 어떻게 자라왔지?' 그런 것도 생각하고 찾아 보게 되더라고요. 아이들과 놀면 제가 배우는 것도 많아요. 물론 미안한 아빠이기도 하죠. 작품하면 짧게는 1년, 길게는 2년 가까이 모습을 잘 못 보여주니까. 보상하는 마음으로 더 열심히 챙기게 되는 것 같아요. 다행히 아이들도 저와 재미있게 잘 놀아주더라고요. 하하."
- '여배우의 남편'이라는 자리는요. "'여배우'라서기 보다는 같은 일을 하는, 같은 업종이기 때문에 혜택받는 것들이 있는 것 같아요. 말하지 않아도 눈빛 만으로 '무슨 일을 하고 왔구나' 알아주죠. 보통사람 같으면 '네가 일했어? 술만 마시고 왔으면서 일하고 왔다는거야?' 할 수도 있잖아요.(웃음) 어떤 관계 속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어떤 작품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지 굳이 말을 안 해도 서로 알아주게 돼요. 저는 굉장히 좋은 영향을 받아요. 이렇게 결혼을 해서 그런지 영화일을 하지 않는, 다른 직업군의 사람과 결혼을 했다면 서로에게 민폐였을 것 같기도 해요."
- 17회 '미쟝센단편영화제' 심사위원장도 맡았죠. "거절할 명분이 없더라고요. 하하하. 봐야 할 영화들이 꽤 많았어요. 그리고 요즘 단편은 단편이 아닌게 러닝타임이 생각보다 길어요. 필름시대는 돈이 아까워서라도 짧게 찍었는데 요즘은 디지털시대라 그런지 길더라고요. 재미있는 작품을 만나고 능력있는 영화인을 발굴하는건 저희에게도 즐거운 일이죠."
- 영화 팬들은 벌써부터 차기작에 대한 바람을 내비치고 있어요. 작품 텀이 긴 감독님이라 불안한가봐요. "'이제 가면 언제 오나' 하는 걸까요?(웃음) 아쉽게도 지금은 차기작에 대한 계획이 전혀 없어요. 6월까지 '1987'과 관련된 일들에 매진하고 7월 5일에 뉴욕아시아영화제까지 다녀오면 정리가 될 것 같네요. '1987'을 잘 마무리 해야 다음 스텝을 밟을 수 있을 테니까요. 그 후에 '뭘 할까' 생각해 보려고요. 그 고민이 길어지지 않기를 저도 바라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