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롱하게 빛나는, 진주같은 배우의 발굴이다. 오랜시간 영글어 가장 빛날 수 있는 타이밍에 발견 되는 것도 '복'이자 '천운'이다. 최근 몇 년간 인생 작품과 인생 캐릭터를 갈아 치우고 있는 배우 유재명(45)은 늘, 어디에서든 연기하고 있었던 오랜 시간을 드디어 '연기해줘서 감사하다'는 인사로 보답받고 있다.
2001년 영화 '흑수선(배창호 감독)'으로 스크린에 데뷔한 후 주·조연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꼬박 18년이 걸렸다. tvN '응답하라 1988' 동룡이 아부지, '비밀의 숲' 이창준에 이어 '명당' 구용식이다. 유재명이 '명당'을 배우 인생의 전환점이 될 작품으로 꼽는덴 그만한 이유가 있다. 적응할 새도 없이 빠른 '대세' 전환에 최대한 열심히, 최선을 다해 연기했지만 마음을 탁 풀어놓지는 못했던 시간. '명당'은 그런 유재명에게 '즐거움'이라는 선물을 선사한 작품이자 현장이었다.
그 옆엔 '행복한 인연' 조승우가 있었기에 더욱 가능했다. '비밀의 숲', '명당' 그리고 JTBC '라이프'까지 세 작품을 연달아 함께 하게 된 두 사람은 이제 '호흡'이라는 단어가 무색할 정도로 눈빛만 보면 통하는 사이가 됐다. 조승우는 "재명이 형과 나, 카메라 한 대, 딱 셋만 놓고 내버려두면 30분짜리 단편은 나올 수 있을 것이다"며 유재명과의 만남과 추억을 흡족해 했고, 유재명은 조승우를 '형 같은 동생'이라 칭하며 "즐겁게 늙어갔으면 좋겠다"고 평생의 인연을 약속했다.
옥탑방 세간살이를 접은지 2년 차. 진짜 명당인지 아닌지는 알 길은 없지만 지금의 유재명에게는 분명 명당이었던 곳이고, 명당으로 기억될 곳이다. "꽤 아까워 아끼는 후배에게 넘겼다"며 미소지은 유재명은 이제 자신의 인생을 또 한 번 뒤바꿀 두 번째 명당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한다. 10월 늦깍이 결혼식을 올리는 유재명에게 신혼집이 될 곳. 산동네 어디즈음 동네 할머니들이 모여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는 모습이 좋아 냉큼 선택했다는 이유는 명당의 조건과, 인간 유재명의 매력을 동시에 신뢰하게 만들기 충분하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최근 몇 년간 대표작이 여러 편 생겼다. "감사하고 어벙벙하다. 사실 매체 연기를 하다 다시 내려가려고 했다. 그저 내 잘못인 것 같았다. 근데 요즘 너무 좋은 일과 감사한 일들이 한꺼번에 생기니까 스케줄을 뛰다가도 '나에게 왜 이렇게 좋은 일이 많이 생기나' 가끔 멍하니 앉아 생각하기도 한다.(웃음)"
- '응답하라 1988' 동룡이 아부지 그림자가 크다. "그런 의미에서 '응답하라 1988' 신원호 PD님은 많은 단역들과 기능적인 역할들을 소화하고 있던 나라는 배우를 처음으로 크게 발굴시켜 준 분이다. 그 이후 정말 많은 작업을 하게 됐다. '비밀의 숲'은 내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해 대중들에게 각인시켜 줬고, '명당'이 변화의 완성점을 찍지 않을까 싶다."
- 동시에 인생 캐릭터도 만들어졌다. "그 단어가 참 좋은 말이다. 하지만 잘하고 싶은 욕심만큼 정확하게 해야 한다는 마음이 커진다.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다."
- 유재명이라는 배우를 신뢰하게 됐다. 부담감과 책임감은 없나. "없다면 거짓말이다. 나이는 적당히 들었는데, 솔직히 아직 신인 같다. 연기는 여전히 끝이 없는 고민의 연속이고, 하고는 싶지만 포커스를 받게 되면서 '중심을 잡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그 질문을 계속 나에게 던지는 중이다. 내가 하고 싶은 것들의 연결지점을 적확하게 찾고 싶다. '저런 배우가 어떤 포커스를 받은 이유는 뭘, '나의 어떤 부분을 좋아해 주는걸까' 끊임없이 반추·복기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좋은 연기자로 남는 것과, 좋은 작품을 함께 하는건 모든 배우들의 소망 아닐까." - 그래서 찾은 매력포인트가 있다면. "난 되게 촌스러운 사람이고 심심한 사람이다. 멋있는 사람이 아니다. 아마 보는 분들도 그렇게 느낄 것이다. 하지만 어떤 작품과 캐릭터를 통해 '저 사람에게 저런 모습이 보일 수 있나?'라는 나름의 반전이 꾸준하게 있었던 것 아닌가 싶다. 어떤 옷을 입든 열심히 분석해 최선의 연기를 하려 노력했던 부분들을 잘 봐주신 것 같다. '도봉순'의 멸치까는 아저씨,'비밀의 숲'은 수트입은 검사, '라이프'에서는 수술방에 쓰러져 자는 의사. 열심히 입 털면서 장사하는 장사꾼에 사극까지 '저 배우 좀 재미 있구나' 해주시는 것 같다.(웃음)"
- 오랜시간 무명 세월을 겪고 있는 배우들에게 경험섞인 조언을 건넨다면. "사실 무명배우라는 말은 없다. 그건 만들어낸 말이다. 모두 자기의 이름이 있고, 각자의 자리가 있다. 어느 매체에서 활동하는지, 영역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연극을 하는 배우들 중에서도 연기 잘한다고 성공하는 배우들 많다. 다만 영상 매체를 안 접했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때문에 무엇보다 자존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난 자존감이 낮다. 그 낮은 자존감을 지켜내기 위해 정말 많이 애썼다. 오디션에서 떨어진 것은 내가 못해서가 아니라, 그 역할이 나와 안 맞았을 뿐이다. 오디션에서 떨어졌다고 실패한 것은 아니다. 작품의 감독과 제작진은 역할에 잘 맞는 사람을 선택한 것이고, 그것이 또 그들의 일이다. '네가 못한 것이 아니다'는 말을 꼭 해주고 싶다. 그리고 살다보면 나를 믿어주는 좋은 분들이 나도 모르는 곳곳에 많이 있더라. 좋은 작품도 많고. 그것이 나와 맞닥뜨려지는 순간을 결국 '복'이라고 하는 것인데, 그 복은 누구에게나 반드시 찾아온다."
- 10월 결혼한다. "음…. 이건 짧고 강렬하게 답하겠다. 어리벙벙하다. 처음 하는 것이니까. 하하. '명당'을 찍으면서 결혼 선배인 지성·김성균과 관련된 대회를 나누기도 했다. 특히 성균이가 집에 아기가 많지 않나. 다둥이 집이다.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그 정도의 귀동냥을 했다.(웃음) 잘 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