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대표(47)가 방탄소년단을 월드스타로 키워내고 빅히트를 손꼽히는 엔터사로 성장시킨 비결을 직접 밝혔다. 그는 온몸으로 세상과 부딪히며 '싸움꾼'이 되었기에 가능했다고 그간의 치열한 삶을 돌아봤다.
방시혁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는 26일 모교인 서울대학교를 찾아 제73회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식 축사 연설을 했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이 방시혁에 직접 축사를 부탁해 성사된 자리다. 서울대는 인물의 상징성, 메시지 등을 고려해 총장단의 협의를 거쳐 축사 연사를 선정했다.
서울대 합주단은 방탄소년단의 'DNA'를 연주하며 방시혁을 맞이했다. 사회자는 "91학번 미학과 동문 방시혁 대표는 성공한 작곡가이자 기업인으로 세계 최고 그룹으로 자리매김한 방탄소년단을 제작했다"고 소개했다.
박수를 받으며 등장한 방시혁은 졸업생들과 마주하고 "모교의 축사를 한다는 것은 대단한 영광이다. 이 자리에 서기까지 많이 고민했다. 지루한 '꼰대'의 이야기가 되지는 않을까, 내가 해줄 말이 있을까 싶었다"면서도 "내 자랑을 조금 해보려고도 한다"고 유쾌하게 입을 열었다.
방탄소년단이 '유튜브 시대의 비틀즈'로 평가받으면서 빅히트는 유니콘 기업으로 커 나가고 있는 가운데, 방시혁은 "내가 야심을 품고 차곡차곡 이뤄낸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아니다. 내가 어떻게 음악을 직업으로 삼고, JYP엔터테인먼트를 나와 빅히트를 설립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특별한 꿈을 꾸지 않았다. 꿈은 없지만 오늘의 나를 만든 에너지의 근원이 뭔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불만과 분노였다"고 말했다.
그는 "최선을 택하는 무사 안일에 분노했고 적당한 선에 끝내려는 타협에 화가 났다. 최고의 컨텐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소명으로 타협없이 하루하루 마지막인 것처럼 달려왔다. 태생적으로 그런 사람이기도 하지만, 음악으로 위로받고 감동을 느끼는 팬들과의 약속을 배신할 수 없어서였다. 그렇게 달려오는 동안에도 분노할 일들은 참 많았다. 엔터산업이 처한 상황은 상식적이지 않았고, 그것들에 분노하고 불행했다"고 말을 이었다.
21년째 이 업계에서 일하고 있다는 방시혁의 분노는 현재 진행형이라고 했다. "K팝을 사랑하고 세계화하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한 팬들은 '빠순이'로 불린다. 아이돌을 좋아한다고 떳떳하게 말하지도 못한다. 아티스트들은 근거 없는 익명의 비난에 힘들어하고 상처받는다. 피, 땀, 눈물의 결실인 컨텐트는 저평가 받거나 부당하게 유통돼 부도덕한 사람들의 주머니를 채우는 수단이 되고 있다."
분노 속에서도 방시혁은 "행복을 느낄 때가 있다. 우리 회사가 하는 일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치고, 특히 우리의 고객인 젊은 친구들이 자신만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다. 산업적으로는 음악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 그 변화를 나와 우리 빅히트가 이뤄낼 때 가장 행복하다"면서 "꿈을 꿔서 이뤄낸 것이 아니다. 세상에 대한 불만과 분노로 변화를 이끌었고 행복으로 돌아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스스로 무엇이 행복한지 생각해보길 바란다. 남이 만들어 놓은 목표와 꿈을 무작정 따른다면 결국 좌절하고 불행해질 것이다. 사회에 나와 어떤 길을 선택하건 무수한 부조리와 몰상식이 존재할 텐데, 여러분도 방시혁처럼 분노하고 맞서 싸우기를 당부한다. 그래야 문제가 해결되고 변화한다"며 맞서 싸울 용기를 졸업생들에 심어줬다. 자신 또한 "상식이 통하고, 음악 컨텐트가 정당한 평가를 받는 그날까지 하루하루 치열하게 살아갈 것이다"고 덧붙였다. 방시혁은 서울대 미학과 재학 시절인 1994년 '유재하 음악 경연대회'에서 동상을 받으며 가요계에 발을 들였다. 박진영의 눈에 띄어 1997년부터 JYP 대표 작곡가로 활약하며 god의 '하늘색 풍선', 비의 '나쁜 남자', 에이트의 '심장이 없어', 2AM의 '죽어도 못 보내', 백지영의 '총 맞은 것처럼' 등 히트곡을 만들었다. 2005년에는 JYP를 나와 빅히트를 설립하고 2013년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을 데뷔시켰다. 방탄소년단은 한국 가수 최초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 200' 2관왕에 올랐고 뉴욕 스타디움을 매진시켰으며 최근엔 그래미어워즈에도 초청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