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고아성(26)이 무거운 짐을 짊어졌다. 유관순 열사의 삶을 최초로 영화화한 '항거:유관순 이야기(조민호 감독)'에서 유관순이라는 성스러운 위인의 그림자를 입었다. 언론배급시사회에서도, 홍보 인터뷰 자리에서도 고아성은 울고야 말았다.
오늘(27일) 개봉한 '항거:유관순 이야기'는 1919년 3.1 만세운동 후 세평도 안되는 서대문 감옥 8호실 속, 영혼만은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유관순과 8호실 여성들의 1년의 이야기를 다룬다. 10억원 남짓의 제작비로 만들어진 저예산 영화다. 고아성은 출연료를 대폭 삭감해가며 이 시나리오를 집어 들었다. 얼마 남아있지 않은 당시 기록들을 찾아보고, 서대문 형무소를 방문해 독립운동가들의 얼굴을 찬찬히 살펴봤다. 유관순은 과연 어떻게 말하고, 걷고, 표정을 짓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는지 연구했다. 영화를 보러 와준 모두 앞에서 터뜨린 눈물은 이 과정에 담긴 고아성의 고민과 고통을 잘 말해줬다.
-내면 연기 가운데서는 무엇이 중요했나. "책임감에 가장 중점을 뒀다. 유관순 열사는 감옥에 들어서기 전 경성에서 있었던 만세 운동과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 운동에 둘 다 참여한 인물이다. 아우내 장터의 만세 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이끄는 입장에서 이 운동이 탄압으로 끝났을 때 '무너짐'이 어마어마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도 감옥 안에서 다시 그 운동을 이끌어내는 데에는 책임감이 있었을 것이라 여겼다."
-출연 결정 후 무엇부터 시작했나. "유관순 열사를 떠올리면 가장 대표적인 사진이 있다. 거기에서부터 기억을 더듬어 시작하는 것이 첫 스텝이었다. 스태프들끼리는 그 사진을 머그샷이라고 불렀다. 그 사진을 찍는 장면부터 영화가 시작되는 이유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독특하게 삶의 전체를 그리는 영화가 아니다. "처음 생의 전부를 그리는 시나리오를 예상하고 읽었는데 그것이 아니었다. 감독님과 첫 미팅에서 '내면을 축약한 영화'라고 말씀해주시더라. 형무소 안에서 대부분의 사건이 일어나는데, 제한적 행동을 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다. 어떻게 풍부하게 영화에 담을 수 있을지 생각했다."
-이 영화 이후 유관순 열사에 대한 생각이 바뀐 바 있나. "사실 조금 비밀로 간직하고 싶다.(웃음) 아까 말씀드렸던 성스러움과 존경심 이외에 다양한 감정들이 생긴 것 같다."
-유관순 열사는 순국 당시 불과 19세였다. "출연하기로 결정한 후 서대문형무소에 갔었다. 그 곳에는 독립운동가 분들의 사진을 빼곡히 붙여 놓은 방이 있다. 정말 어린 분들이 많다. 유관순 열사 뿐만이 아니다." >>[인터뷰③] 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