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고아성(26)이 무거운 짐을 짊어졌다. 유관순 열사의 삶을 최초로 영화화한 '항거:유관순 이야기(조민호 감독)'에서 유관순이라는 성스러운 위인의 그림자를 입었다. 언론배급시사회에서도, 홍보 인터뷰 자리에서도 고아성은 울고야 말았다.
오늘(27일) 개봉한 '항거:유관순 이야기'는 1919년 3.1 만세운동 후 세평도 안되는 서대문 감옥 8호실 속, 영혼만은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유관순과 8호실 여성들의 1년의 이야기를 다룬다. 10억원 남짓의 제작비로 만들어진 저예산 영화다. 고아성은 출연료를 대폭 삭감해가며 이 시나리오를 집어 들었다. 얼마 남아있지 않은 당시 기록들을 찾아보고, 서대문 형무소를 방문해 독립운동가들의 얼굴을 찬찬히 살펴봤다. 유관순은 과연 어떻게 말하고, 걷고, 표정을 짓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는지 연구했다. 영화를 보러 와준 모두 앞에서 터뜨린 눈물은 이 과정에 담긴 고아성의 고민과 고통을 잘 말해줬다.
-영화 속 일제는 열사에게 '왜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라는 질문을 던진다. "바로 대답하지 않나. '그럼 누가 합니까'라고."
-영화를 위해 실제로도 금식을 했다고. "처음부터 약속된 것이었다. 감독님이 '마지막 5일 휴무을 주겠다'고 하시면서 '달라져서 왔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저도 동의한 것이고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분장 선생님과 상의를 해서 (형무소에 들어온 직후와 순국 당시 모습에) 차이를 많이 두려고 했다. 이야기 순서대로 영화를 찍었는데, 처음엔 기존 몸무게에서 조금 찐 생각 상태였고 서서히 뺐다. 실제로 아무 것도 먹지 않은, 금식한 기간은 5일 정도였다. 몸무게는 일부러 재지 않았다."
-벽관 고문신은 표현이 절제된 듯하다. "흑백이라서 많이 표현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실제 촬영을 할 때는 컬러였다. 빨간 피가 흘렀다. 감독님이 일부러 절제된 버전을 선택하신 것 같다. 벽관 뿐 아니라 모든 장면들이 그렇다."
-8호실 다른 여성들의 이야기도 부각된다. "친한 배우에게 시나리오를 보여줬더니, 그 친구가 '의미가 있는 영화이지만, 더 의미가 있어 지려면 8호실 모든 이들의 더 부각돼야 한다'고 하더라. 그때 정하담이 많이 생각났다. 8호실 안에 다양한 사람들이 있었을 것이라 예상했고, 정하담이 연기한 옥이는 그 가운데서도 가장 어리고 개인적 가족의 아픔으로 인해 만세 운동에 참여한 인물이다."
-유관순 열사를 실제로 만날 수 있다면. "10분만 대화를 해보고 싶다. 목소리가 듣고 싶다."
-왜 하필 나에게 이런 역할이 왔는지 생각해본 적 없나. "'왜 나일까'란 생각은 해보지 않았다. 출연을 결정했던 순간부터는 정말 정신없이 작품에만 몰두했다. 그래서 다른 생각을 할 여유가 없었다."
-이 연기를 하게 된 것을 후회하지는 않나. "다시 시간을 돌려도 출연을 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