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민에게 영화 '사바하(장재현 감독)'는 시작부터 끝까지 응원을 부르는 작품이었다. 오랜시간 애쓴 장재현 감독의 뜨거운 눈물을 마주한 이유도 있지만, 촬영내내 배우 박정민으로 무언가를 보여줘야겠다는 욕심보다 '사바하'의 나한으로, '사바하' 세계에 살고있는 1인으로 필요하면 등장하고 잘 활용되어지길 바라는 마음이 더 컸기 때문. 애정한 만큼 소중하게 남은 작품이기에 관객들에게도 힘을 얻을 수 있길 박정민은 진심으로 바라고 또 바랐다.
그리고 그의 간절함은 제대로 통했다. '사바하'는 누적관객수 200만 명을 돌파하며 기분좋은 흥행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국내 관객들이 즐겨찾는 범죄 스릴러 장르에 여전히 신선하게 받아 들여지는 오컬트 장르를 한 스푼 크게 떠 넣은 '사바하'는 다소 어려운 스토리와 난해한 전개라는 일각의 평에도 관객들의 환심을 사는데 성공했다. 매일 부르짖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그것(신·神)'과 현실의 경계를 절묘하게 접목시킨 '사하바'에서 박정민은 해결사이자 매개체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차근차근 꾸준히 달려 어느 덧 충무로를 이끄는 30대 주연 배우로 어엿하게 성장했다. '파수꾼'으로 눈도장을 찍고 '동주'로 방점을 찍은 박정민은 '그것만이 내 세상'으로 상업성을 입증하며 또래들 중 단연 돋보이는 톱급 연기력을 동시에 각인 시켰고, '사바하'를 통해 그 바통을 이어받으며 완벽히 제 자리를 굳히게 됐다. 박정민의 가치는 높아졌고, 그에 따른 주변의 시선과 평가도 달라졌지만 연기에 대해 한없이 겸손한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다. 단순한 겸손이 아닌 진심이라는 것이 배우 박정민을 더 앓게 만든다.
로맨틱코미디 장르와 재벌 2세 캐릭터 등에 대해 언급하자마자 "풉" 웃음을 터뜨리며 손사레를 치는 것도 그러한 마음의 연장선상이다. "기본적으로 몇 대 맞고 시작하는게 제 팔자인가봐요. 그런 쪽의 작품과 캐릭터는 아예 안 들어오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간지러움을 잘 견뎌낼 수 있을까 싶기도 해요. 그래도 시켜 주시면 해보겠는데…." 달달함을 먼 발치에 놓더라도 관객들이나 박정민이나 특별히 아쉬울건 없는 행보다. 이미 잘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줬고, 잘 하고 있고, 앞으로도 잘 해낼 것이라는 믿음이 그를 둘러싸고 있다. 최근 크랭크업한 '타짜'와 차기작 '시동'도 마찬가지. 쉼없는 열일은 언제나 반갑다.
-'사바하'를 응원한다고 했다. "'사바하'는 영화 자체가 주인공이라 생각한다. 사실 언론시사회 날은 항상 기분이 안 좋다. 내가 나온 영화를 처음 공개하는 날 아닌가. '이제 이 영화가 좋든 싫든 누군가의 입방아에 오른 내리는 순간이 오는구나' 싶기도 하고 잘 나오든 못 나오든 많은 생각이 드는 날이라서 마음 상태가 썩 좋지도, 유쾌하지도 못하다.(웃음) 근데 '사바하' 언론시사회 날은 그렇다고 막 '너무 기분이 좋았어요~'는 아니지만 다른 때와는 좀 달랐다. 그냥 영화 자체가 힘을 냈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마음이 생기더라."
-왜? "감독님이 펑펑 우셔서…. 그것도 참 멋없게 울지 않았나. 하하. 감독님이 '사바하'를 어떻게 준비하고, 촬영하고, 편집했는지 영화의 완성본을 먼저 접하게 될 관객 분들 보다는 그래도 내가 더 잘 알고 있지 않나. 그 때 쏟았던 에너지를 바로 옆에서 느꼈으니까. 그 이유가 가장 컸던 것 같다. 어느 영화든, 어떤 감독님이든 영화에 대한 애정에 우열을 가리긴 힘들겠지만, 촬영 시작 전부터 내가 '사바하'를 너무 좋아했어서 그런지 사람들도 좋아하게 됐고, 너무 소중한 작품으로 남았다."
-영화가 주인공이라고 했다. 장재현 감독의 전작 '검은사제들'은 소재와 캐릭터가 모두 빛난 작품으로 평가 받는다. 그에 비해 '사바하'는 말한대로 캐릭터보다 작품 자체가 눈에 띄는 느낌이다. 배우로서 아쉬움은 없나. "전혀. 전~혀 없다. 난 오히려 그게 좋았다. '검은사제들'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영화다. 신선한 소재에 캐릭터들까지 굉장히 매력적인 영화였다. 반대로 '사바하'는 캐릭터들이 튀어 나오면 이야기를 쫓아가는데 불리한 영화라는 생각을 했다. 아마 출연하는 모든 배우들이 염두해뒀던 부분일 것이다. '이 캐릭터가 이 작품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이 뭔가'가 1번 초점이었다."
-'사바하'를 위해 연기했고, '사바하'를 위해 존재했다는 뜻일까. "나한의 목적이 곧 그 신의 목적이었다. 그 신이 가져야 하는, 그 신이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나한으로서 잘 소화해줘야 한다는 것이 목표였다. 감정, 서스펜스 등 무언가를 유발해야 하는 이유도 결국 작품으로 귀결됐다. '여기서 이 신을 얼마나 더 재미있게 만들까, 풍성한 볼거리를 만들까' 하는 고민 보다는 '어떻게 하면 이걸 틀리지 않고 잘 연기해낼 수 있을까' 고민했다. 배우가 욕심부터 신을 망치면 영화 전체에 해가 될 수 있으니까. '사바하'는 특히 더 그랬다. '촘촘하게 엮어 나가야 하는 영화에서 욕심내지 말자'고 나를 다독였다."
-누군가에게는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종교와 종교인들이 등장한다. 부담은 없었나. "얽히고 설킨 디테일한 무언가들이 있지만, 특정 종교 혹은 그 교리를 다루는 작품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한번쯤은 던져봤을 질문을 다시 한 번 던져보는 작품이다. 난 종교가 없는 사람이지만 '도대체 왜 이렇게 부조리 한거지? 정말 신이 있다면 대체 왜 이렇게 하시는 거지? 왜 이래야만 하는거지?'라는 의구심을 품은 적이 많다. 심지어 자기가 믿는 신이 달라 싸우는 사람들도 있지 않나. 나도 옛날에는 교회를 열심히 다녔는데 그 때도 '어디 계시냐' 물었었던 기억이 난다. 그 지점에 포인트를 맞췄을 뿐이다."
-개봉 전 신천지의 항의로 재녹음 해프닝을 겪기도 했다. "솔직히 난 그런 상황들을 몰랐다. (이)정재 선배님이 재녹음 하신 것도 몰랐다.(웃음) 오히려 기사를 보고 '응? 도대체 어디서?' 싶더라. 아무리 생각해도 의아했다. 주변에서도 엄청 물어봤는데 '모른다'는 말만 50번 넘게 한 것 같다. 하하. '사바하'는 신흥종교의 비리를 캐 그것을 박살내려는 영화가 아니다. 그들을 만난 목사가 자신의 철학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감당하지 못하는 사건에 휘말리며 자신이 믿는 것에 대한 갈등을 시작하는 '사람' 이야기다. 그런 면이 재미있었고, 개봉 전에도, 후에도 종교적 논란은 한번도 염두한 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