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보이스피싱 피해 근절 캠페인’에서 진옥동 은행장(가운데)과 임직원들이 보이스피싱 예방 슬로건 ‘3GO’를 외치며 보이스피싱 근절을 다짐하고 있다. 신한은행 제공]보이스피싱의 수법이 교묘해지면서 해마다 그 피해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에 은행권은 보이스피싱 피해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과 피해 건수는 각각 4400억원·7만218건으로 2017년 피해액 2431억원, 피해 건수 5만13건보다 각각 82.7%·40.4% 규모가 커졌다.
보이스피싱에 이용된 사기 이용 계좌는 총 6만993개로, 6개 대형 은행의 계좌가 3만5017개(57.5%)를 차지했다. 고객 1만 명당 사기 이용 계좌는 국민(3.74개) 신한(2.78개) 기업(2.34개) 하나(2.11개) 우리(2.10개) 농협(1.00개)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장 최근에 신한은행은 보이스피싱 대책 마련을 위한 조직 개편 등 대책을 내놨다.
‘신시스템 구축’과 ‘보이스피싱 관련 정책 강화’를 핵심 내용으로 ‘전기통신 금융사기 피해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금융 사기 거래 분석 및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를 총괄하는 FDS(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 랩을 신설해 전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직원 5명 내외로 구성, 7월 초 출범할 예정이다.
또 신한은행은 AI 전문 업체와 함께 ‘피싱(개인 금융정보 탈취)’ 방지 앱도 개발할 계획이다.
하반기 중으로 보이스피싱 의심 거래 계좌와 고객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포통장 통합 관리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앞서 IBK기업은행은 지난 3월 금융 사기 전화를 실시간으로 차단하는 인공지능 앱 ‘IBK 피싱스톱’을 출시, 스마트폰에 앱 설치 시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보이스피싱 사기 확률이 일정 수준(예: 확률 80%)에 도달할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음성 및 진동 알림을 제공한다.
이 앱은 기업은행 고객을 대상으로 2~3개월간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앱 이용 통화 건수 5만3300건 중 보이스피싱 조심 경고 241건(지난달 28일 기준)을 사용자에게 알렸다.
최근 기업은행은 KT 그룹사인 후후앤컴퍼니의 스팸 차단 앱 ‘후후’와 ‘IBK 피싱스톱’의 연계를 협의 중이며, 협의가 성사될 경우 7월 말에 전 국민 대상으로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후후는 통신사와 상관없이 쓸 수 있는 무료 앱으로, 2013년 출시돼 현재 3800만 명이 사용 중이다.
KB국민은행 역시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금융 사기) 탐지’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디지털 서비스 ‘리브똑똑 안티스미싱’을 하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고객이 받은 문자메시지의 스미싱 여부를 판단하며, 현재 시범 운영 중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5월 AI 기술을 FDS에 도입해 활용 중이다. 우리은행이 개발한 비대면 거래 패턴 분석 시스템은 별도의 거래가 없어도 고객 로그인 기록을 추적해서 딥러닝으로 이상 징후를 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