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평택 본사 전경. 쌍용차 제공 경영난을 겪고 있는 쌍용자동차가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마힌드라(이하 마힌드라)로부터 400억원의 특별 자금을 수혈받기로 했다. 쌍용차는 이번 지원이 마힌드라의 철수 의혹을 불식시키고 단기 유동성 부족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쌍용차는 지난 10일 임시이사회를 개최하고 대주주인 마힌드라의 400억원 신규자금 조달 방안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쌍용차는 "이번 임시이사회는 지난 3일 마힌드라 이사회가 쌍용차의 사업 운영 연속성을 위해 400억원의 특별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데 따른 내부 승인 절차를 위해 개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마힌드라는 이사회에서 당초 쌍용차에 지원하기로 한 2300억원 규모의 신규자본 투입 계획을 철회하고, 대신 향후 3개월 동안 최대 400억원의 일회성 특별 자금을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키로 했다.
신규자금은 긴급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대여금으로 처리하게 된다. 한국과 인도의 법과 규정이 허용하는 바에 따라 가급적 조속히 자본금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쌍용차는 경영정상화에 필요한 자금 중 올해 사업 운영에 필요한 400억원에 대한 지원이 최종 결정됨에 따라 유동성 확보에 대한 시장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보고 있다.
쌍용차는 유동성 확보를 위해 비핵심자산 매각 작업도 진행 중이다. 지난 7일에는 200억 원대의 부산물류센터 매각 계약을 마무리했다. 동시에 새로운 투자자 물색에도 나서고 있다. 모기업인 마힌드라와 파트너십을 맺은 글로벌 업체가 쌍용차에 투자하는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다.
쌍용차 관계자는 "임직원 복지 축소와 임금 반납 같은 자구 노력으로 이미 1000억원가량의 유동성을 확보했다"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판매가 떨어졌지만, 월 1만대 이상을 판매할 경우 직원 급여를 포함한 유동성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