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내가 죽던 날(박지완 감독)'이 다양한 명장면 명대사로 관객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내가 죽던 날'은 유서 한 장만 남긴 채 절벽 끝으로 사라진 소녀와 삶의 벼랑 끝에서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 그리고 그들에게 손을 내민 무언의 목격자까지 살아남기 위한 그들 각자의 선택을 그린 영화다.
#절벽 위 위태롭게 서있는 소녀 세진 “돌이킬 수 없는 일들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랐습니다”
유복한 가정에서 부족함 없이 살아가다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잃은 소녀 세진(노정의)은 아버지가 연루된 범죄 사건의 주요 증인으로 채택되어 섬에 고립돼 보호를 받으며 홀로 상처를 견뎌내던 어느 날, 유서 한 장만을 남긴 채 절벽 끝에서 사라진다. 거센 태풍 속에 위태롭게 서있는 세진의 모습이 긴장감을 유발하는 한편, 1인칭 시점의 카메라 앵글은 바다로 떨어지는 듯한 몰입감으로 관객에게 강렬한 오프닝을 선사한다. “돌이킬 수 없는 일들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랐습니다”라는 세진이 남긴 유서 속 메시지가 보는 이들의 먹먹함을 불러일으키며 그녀에게 일어난 사건에 대한 궁금증을 자극한다.
#친구 민정을 향한 현수의 처절한 외침 “죽으려고 그랬던 게 아니라 어떻게든 살아 보려고 그랬다고”
현수(김혜수)의 오랜 친구이자 전직 형사인 민정(김선영). 항상 가장 가까이에서 여러가지 일들로 힘들어하는 현수의 상처를 보듬어주는 그녀는 세진의 사건에 지나치게 몰입해 무리한 수사를 하는 현수를 찾아가 진심어린 걱정과 함께 현실적인 조언을 쏟아낸다. 현수는 자신을 걱정하며 화를 내는 민정에게 “죽으려고 그랬던 게 아니라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그랬다고”라고 울부짖으며 본심을 털어 놓는다. 현수의 처절한 외침을 통해 믿었던 인생이 한순간에 송두리째 흔들리며 일상이 무너진 그녀가 절망적인 상황속에서도 어떻게든 희망을 찾기위해 발버둥치며 노력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안타까움을 유발하는 한편, 김혜수와 김선영의 열연과 빛나는 연기 호흡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순천댁의 메시지
“니가 남았다”
사고로 목소리를 잃은 섬마을 주민 순천댁(이정은)은 인생의 모진 풍파를 겪은 후 외딴 섬처럼 홀로 조용히 지내던 중 범죄 사건의 주요 증인인 세진에게 거처를 제공하게 된다. 어린 나이에 많은 일을 겪어내고 가족도 없이 혼자 후회와 인고의 시간을 보내는 세진이 자꾸만 눈에 밟혔던 순천댁은 스스로를 자책하고 몰아붙이는 세진에게 목소리 대신 글로 “니가 남았다”라는 말을 전하며 진심으로 그녀를 위로해준다. 펜끝에서 흘러나온 순천댁의 따뜻한 말 한마디는 세진과 순천댁의 특별한 연대를 그리며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진한 여운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