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쌍·쉐’로 불리는 르노삼성차·쌍용차·한국GM 등 외국계 3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진한 실적을 내는 가운데 노조 리스크까지 더해지며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2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GM(5470대)과 르노삼성차(5466대), 쌍용차(3318대) 등 외국계 3사의 내수 판매 합계는 1만4254대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수입차 시장의 판매 1, 2위를 다투는 메르세데스 벤츠(8430대)와 BMW(6113대)의 국내 등록 대수(1만4543대)보다 289대 적은 수치다. 외국계 3사의 내수 합계가 벤츠와 BMW의 합계에 추월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자동차 판매 시장은 현대차와 기아가 압도적인 1, 2위를 지키며 양극화가 한층 뚜렷해진 가운데 그나마 3∼5위를 차지하던 외국계 3사의 자리마저 수입차 업체에 위협받는 모습이다.
문제는 외국계 3사에 마땅한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당장 노사갈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르노삼성의 노사갈등은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지난해 8년 만에 적자를 낸 후 희망퇴직까지 진행하는 등 구조조정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 지난해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한 상태다.
노조는 기본급 7만1687원 인상과 격려금 700만원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악화한 경영상황을 이유로 기본급 동결, 격려금 500만원 지급을 제시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합의가 불발되면서 노조와 사측은 각각 전면파업과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현 대치 상황이 지속할 경우 르노삼성차의 생산량은 장·단기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르노삼성 노조 관계자는 "일단 직장폐쇄가 철회돼야 한다"며 "그다음에 수긍할 만한 정도의 제시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GM도 2014년부터 7년 연속 적자이지만, 노조는 올해 1인당 약 1000만원에 달하는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노사 갈등이 다시 격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최근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이 출국정지 조치를 받으면서, 임단협 협상은 더욱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한국GM이 2018년 군산공장 폐쇄를 단행했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는 생산기지 해외 이전 등 단계적 철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업회생 절차를 밟는 쌍용차도 상황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쌍용차는 지난달 27일 조직 개편을 발표하며, 전체 조직 수를 23% 줄이고, 상근 임원 수(26명→16명)도 38% 감축했다.
업계에서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지만, 노조는 '총고용 유지를 전제로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 향후 노사갈등이 예상된다.
정일권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지난 20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9년에 이미 2646명이 나간 뒤 10년이 지났지만 바뀌지 않고 또다시 노동자들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사람을 내보내서 기업을 정상화하는 것은 틀린 얘기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계 완성차 3사가 벼랑 끝에 섰다. 반도체와 코로나19 등 여러 악재로 갈수록 경영상황이 불투명해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노조의 무리한 요구는 자칫 회사의 경쟁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