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꾼, 전략통 등 능력자로 인정받으며 취임한 이재근 KB국민은행장의 어깨가 무겁다. 기존의 점포 폐쇄 기조를 유지하며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승리할 무기를 하루빨리 찾아야 하는 데다가, '좋은 리더'임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력파라는데…노조는 반대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이재근 은행장의 임기가 시작됐다. 임기는 2022년 1월부터 2년이다.
허인 전 은행장이자 현 KB금융지주 부회장의 바통을 이어받은 이 행장은 재무·전략·영업 등 그룹 내 핵심 요직을 두루 거친 실력파로 통한다.
이 신임 행장은 오랫동안 지주에서 살림꾼 역할을 맡아 왔다. 2015년 재무기획부장에 발탁됐고 2017년 상무로 승진한 직후 재무총괄(CFO)에 올랐다. 회계·투자설명회(IR) 등을 총괄하는 그룹의 프런트맨 역할을 해낸 이후에는 경영기획그룹 상무·전무를 거쳐 영업그룹 부행장까지 지냈다. KB국민은행 1000여 개의 점포 관리를 총괄하는 야전 사령관 역할까지 해낸 것이다.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는 “빅 블러(산업 간 경계가 뒤섞이는 현상)의 심화 속에서 리딩 금융그룹으로의 확고한 위상 구축을 위해 시장 지위를 레벨업할 수 있는 역동적인 차세대 리더에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적임자' 코스를 밟아 온 듯한 이 행장이지만, KB국민은행 노동조합은 그의 리더십에 반대했다.
지난달 28일 노조는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이재근 당시 행장 후보자가 현장 경험이 부족하고 내부 평판이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 행장의 영업점 현장 경험이 2년 반에 불과하고, 부행장으로 취임한 지난 2020년 한해에 무려 83개의 점포가 문을 닫았다는 것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에도 62개 점포가 추가 폐쇄됐다.
또 과거 이 행장의 경영 태도도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영업점을 오전 출근 조와 오후 출근 조로 분리해 운영하는 '9 투 6 은행' 확대와 관련해 노사 합의에 따라 대상점을 선정해 진행해야 하지만, 이 행장이 합의를 거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수평적 리더십으로 높은 신망과 지지를 받는다는 은행 측 주장은 거짓말"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매년 진행하는 직원들의 경영진 평가 기록을 공개했다. 이 행장이 60점을 밑도는 등 낮은 평가를 받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취임 전 (이 행장이) 노조에 찾아와 문제를 제기한 사안에 대해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이행 여부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근 "카뱅에 빼앗긴 시총 1위 반드시 복귀"
시끄러운 상황에서 이재근 행장은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가장 먼저 그는 “카카오뱅크에 빼앗긴 ‘금융 시가총액 1위'로 반드시 복귀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승기를 잡는 것을 첫 과제로 꼽은 것이다.
KB국민은행은 2019년과 2020년 각 2조4390억원, 2조319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며 ‘리딩 뱅크’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점포 수를 급격히 줄이고 카카오·토스·네이버 등 빅테크가 금융 시장에서 자리를 잡아가는 앞으로의 상황이 녹록지만은 않다.
다시 말해 그동안 전국에 점포를 두고 소매 금융 영업 시장에서 우위를 점해온 KB국민은행 입장에서는 이런 현장을 버리고 있는 것이다.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 입장에서는 '현장' 없는 정통 은행이라면, 더 편리하고 이자를 더 주는 곳을 찾아 떠날 가능성이 커진다.
앞서가는 빅테크를 쫓아 디지털 플랫폼에서 수익을 낼 방법도 강구해야 한다. 빅테크에 익숙한 차세대 소비의 주축 MZ세대(1980~2000년대 초반 출생)를 데려오기 위해 KB국민은행만의 무기도 찾아야 한다.
이 행장은 “경영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면서 강한 실행력으로 난관을 돌파하면 빅테크와의 플랫폼 경쟁에서도 확실히 승기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