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이 울상을 짓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해외여행 수요가 늘고는 있지만, 고환율 여파로 하반기에도 암울한 성적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10일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8월 면세점 매출은 1조5701억원으로 집계됐다. 8월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처음 맞은 여름 휴가철로, 해외로 나가고 들어오는 여행객이 많은 달이었지만 매출 증가 폭은 전년 동기 대비 2.8%에 그쳤다.
면세점 업계가 기대에 못미치는 실적은 거둔 이유로는 지난해 연말 1200원도 안 됐던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서며 시장이 얼어붙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고환율에 면세점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가격이 치솟으며 일부 제품은 면세가가 더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며 "최근 여행심리가 회복되고 있지만, 시내 면세점 등은 손님을 찾기 어려워 하반기 실적이 걱정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달러' 현상은 이전에도 있었지만, 최근 면세업계에 유독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에 따른 해외 관광객은 늘었지만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중국인 관광객은 여전히 발이 묶여 외국인 객단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8월 면세점을 방문한 외국인 고객은 14만5863명으로, 거리두기 해제 직후인 5월 대비 64%나 늘었지만 객단가는 980만원으로 무려 34%나 감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로 나가는 내국인은 이전보다 많아졌지만, 고환율에 면세 쇼핑에 부담을 느끼는 내국인이 늘어 면세점 매출은 좀처럼 활기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8월 내국인 고객 수는 5월 대비 14.3% 증가한 88만9910명으로 집계됐지만, 객단가는 15만 6592원으로 5월(15만7000원) 대비 외려 낮아졌다.
업계는 이런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중국 보따리상, 일명 '다이공' 모시기에 집중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면세점이 지난해 다이궁에 지불한 알선 수수료가 3조8745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조3170억원보다 약 3배 늘었기 때문이다.
다이궁은 물건을 대신 전달해주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면세점과 시장에서 각종 물품을 저가로 산 후 중간상을 통해 상대 국가의 시장에 판매해 수입을 올린다. 면세점은 물품을 대량 구매하는 다이궁에게 수수료를 지급해 이들을 유치한다.
다이궁들은 이 과정에서 면세점 간 출혈 할인 경쟁을 유도하거나 코로나19로 발생한 격리 비용까지 청구, 송객수수료를 대폭 늘린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은 산업 중 하나가 바로 면세점"이라며 "다이궁의 의존도를 줄이고 면세점 간 과도한 출혈경쟁을 막기 위해 송객수수료를 정상화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