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재폰' 이미지에 외면을 받았던 알뜰폰이 내년에는 국민 10명 중 2명 이상이 쓰는 일상 서비스로 거듭날 전망이다. 이동통신 3사와 품질은 똑같은데, 약정 부담이 없고 요금은 확 낮춘 강점이 소비자의 선택으로 이어지고 있어서다. 더구나 금융업체들까지 뛰어들어 선택권이 더 다양해지면서 인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국내 알뜰폰 가입자는 1246만2574명으로 전월 대비 20만명 이상 늘었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7661만4456명)의 16.27%에 해당하는 수치다.
알뜰폰 가입자는 이통 3사가 5G 서비스를 상용화해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쳤던 2019년을 제외하고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도 매달 약 20만명의 가입자가 유입됐다. 업계 1위 SK텔레콤의 5G 월평균 신규 가입자가 30만명에 조금 미치지 못한 것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성장이다. 경기 침체 장기화로 고정비 지출을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이르면 2023년 말에는 알뜰폰이 전체 서비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약 1530만명)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10명 중 2명은 알뜰폰을 쓰는 셈이다.
알뜰폰의 가장 큰 매력은 저렴한 가격이다.
알뜰폰 1위 KT엠모바일의 '5G 모두다 맘껏 10GB+'는 월 3만3000원에 데이터 10GB를 제공하고, 이를 모두 소진해도 최대 1Mbps 속도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같은 양의 데이터를 주는 KT의 '5G 슬림'보다 2만원 이상 싸다.
음악을 자주 듣는 고객은 월 4만~5만원에 5G 데이터 100GB 이상을 보장하고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지니뮤직 이용권을 혜택으로 주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알뜰폰이 이통사 상품 대비 품질이 낮다는 인식은 사라진 지 오래다.
소비자 연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년 집계하는 이동통신 기획조사에서 알뜰폰 체감 만족률은 2020년 이통 3사를 넘어섰다.
올해 하반기 알뜰폰 이용자 만족률은 62%로 전년 동기보다 1%포인트 하락하며 상승세가 주춤했지만 여전히 이통 3사와 8%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여기에 40대 이상이 주를 이뤘던 과거와 달리 젊은 세대가 절반의 비중을 차지하며 알뜰폰의 'MZ폰' 변신을 이끌고 있다. 20~30대 가입자가 2019년 33%에 그쳤지만 올해 49%로 크게 늘었다. 알뜰폰 추천 의향률도 20대 66%, 30대 63%로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시장 규모가 안정적으로 커지자 금융업계도 알뜰폰 진출에 팔을 걷어붙였다.
은행권 최초 알뜰폰 사업인 KB국민은행의 리브모바일은 서비스 출시 2년 만에 가입자가 35만명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 모든 이통사와 망 제휴를 맺어 서비스 신뢰도를 높였으며, 고객 선호도가 높은 15종의 LTE·5G 상품 라인업을 구축했다.
한 리브모바일 이용자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주거래 은행이 국민은행이라면 실적에 따라 요금을 할인해주기 때문에 매우 만족할 것"이라고 했다.
금융 앱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도 지난 7월 알뜰폰 사업자 머천드코리아를 인수한 데 이어 내년 1월 관련 요금제를 선보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