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핵심 사업인 반도체가 글로벌 한파를 견디지 못하고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전사 적자가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하자 결국 감산에 나섰다. 다만 회사의 상징 전략인 '초격차' 유지를 위한 투자는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했다.
삼성전자는 2023년 1분기 DS(반도체) 부문 영업손실이 4조58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조원 이상 쪼그라들었다고 27일 밝혔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이 분기 적자를 기록한 것은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곡선을 그린 2008년 4분기와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이다.
다행히 전체 영업이익은 6400억원으로 흑자 마지노선을 지켰다. 올해 2월 출시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3’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MX(모바일 경험)·네트워크 부문이 3조94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선전한 덕분이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점유율 1위인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 업황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삼성전자는 "대외 불확실성과 고객 구매 심리 둔화가 지속한 가운데 가격까지 떨어지며 D램을 포함한 재고 자산 평가 손실이 확대해 전 분기 대비 실적이 큰 폭 감소했다"고 했다.
이에 인위적 생산량 조정은 없다는 기조를 바꿔 감산을 공식화했다. 경쟁사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일찌감치 투자 규모 50% 이상 축소와 저수익 제품 중심의 감산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삼성전자는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존심을 굽혔지만 미래 기술력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전략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이날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이번 생산 조정은 중장기 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물량의 레거시(구형) 제품을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며 "1분기부터 시작한 라인 옵티마이징(최적화)으로 감산은 훨씬 더 의미 있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김 부사장은 "상반기 내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하반기에 점차 수요가 회복할 것으로 본다"며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는 선단(최첨단) 제품 생산은 조정 없이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관건은 2분기 실적이다.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효과가 사라져 전사 영업이익이 적자로 전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화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2000억원 중반대를 나타낼 것으로 봤다. 그런데 1분기 DS 부문 적자 규모가 앞서 제시했던 컨센서스(예상치)를 2500억원 이상 상회해 흑자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 15년 만의 전사 적자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이렇듯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삼성전자는 단기 성적에 연연하지 않고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투자를 단행해 중장기 성장 전략에 힘을 쏟겠다는 입장이다.
김재준 부사장은 "단기적 시야로 전략을 운영하기보다 지속 가능한 리더십을 가져가는 것이 사업 주요 목표"라며 "평택 3기와 4기 라인을 중심으로 인프라에 투자, 필수 클린룸(제조공간)을 확보해 중장기 수요 상승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