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투자자들의 시선도 쏠리고 있다. 특히 대표이사와 이사회 분리 여부 등 대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12일 리더스인덱스의 분석 결과(333개 기업 대상)에 따르면 기업의 이사회 항목 중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를 지키는 준수율이 2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4대 그룹의 경우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가 50대 50이다. 두 곳은 ESG 경영을 위한 이사회 권고 사항에 대해 정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와 SK는 기업 총수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지 않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경우 대표이사는 물론 이사회 의장 역할도 맡고 있지 않다. 그래서 총수지만 책임경영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한종희 부회장과 경계현 사장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SK는 총수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장동현 부회장과 함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사외이사인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이사회 지휘봉을 잡고 있다. 삼성전자도 사외이사인 김한조 전 외환은행장이 이사회를 이끌고 있다.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이 분리된 데다 내부 인사라 볼 수 있는 사내이사가 아닌 사외이사의 이사회 의장 역할은 ESG 경영 측면에서 이상적인 지배구조라 볼 수 있다.
이치한 ESG 행복경제연구소장은 “ESG 경영 측면에서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가 이상적인 구조”라며 “투자자들도 경영과 기업이익을 위해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를 선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와 LG의 경우 선대 회장 때부터 총수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정몽구 명예회장이 지난 2020년 21년 동안 유지했던 이사회 의장 자리를 정의선 회장에게 넘겨줬다. 정의선 회장은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으로 활동하며 현대차의 미래 경영을 주도하고 있다.
LG그룹도 지주사 LG의 경우 구광모 회장이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겸임하고 있다. LG는 이전부터 책임경영과 효율성 측면에서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동일인 체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 여부는 ESG 경영과 관련이 깊다. 이사회는 기업의 중대한 사안에 대해 의사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 회의체다. 이사회는 투자자들을 위해 기업의 경영을 감독하는 기능도 있기 때문에 오너가의 ‘1인 체제’를 감시하는 기능도 해야 한다.
이치한 소장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이 동일하면 아무래도 기업 경영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며 “그래서 지배구조 측면에서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는 중요 요소로 꼽힌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삼성과 SK는 ESG 경영의 지배구조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는 반면, 현대차와 LG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다고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가 기업 경영의 정답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ESG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지만 기업 경영에 있어 꼭 ESG 수치가 정답이 될 수 없다”며 “기업 경영은 다른 항목들도 많겠지만 실적이 절대적인 평가의 기준이 된다. 실적을 위한 최적의 지배구조는 기업의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오 소장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겸임의 ‘1인 체제’와 관련해 “한국의 총수 문화는 다른 나라와는 차이가 있다”며 “한국은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이 전적으로 큰 힘을 갖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그는 “만약 ‘1인 체제’를 벗어나 이사회 힘의 균형을 맞추길 원한다면 사외이사를 대폭 늘리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