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트리 멤버 5명은 작은 사회라 생각해요. 이 안에서 누구도 뒤처지지 않고 모두가 빛날 음악을 만드는 게 저희 모토죠. 이런 모습이 우리 사회에도 반영됐으면 좋겠어요. 모두가 의미 있고, 빛날 수 있는 세상이 되면 참 행복하겠죠?”
영화와 드라마 OST, 게임 BGM, 전자기기 효과음까지. 모든 음악과 소리들을 악기 하나 없이 오로지 목소리로 완성시키는 그룹이 있다. 2000년 결성돼 올해로 데뷔 23주년을 맞은 아카펠라 그룹 메이트리다. 메이트리는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OST, 아이폰·갤럭시 효과음 커버 영상 등을 통해 유튜브 채널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해 게재된 ‘오징어 게임’ 커버 영상의 경우 조회수가 무려 2억7900만회(7일 기준)를 넘었다. 구독자 수는 565만 명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아카펠라 그룹으로 전 세계에 이름을 날리고 있는 메이트리는 일간스포츠와 이코노미스트가 개최하는 제1회 K포럼(Korea Forum 2023)의 시작을 알리는 멋진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K포럼은 K콘텐츠가 다양한 분야와 융복합으로 확대 재생산돼 글로벌 시장에서 ‘K’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는 오는 11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서울 그랜드볼룸에서 ‘대한민국이 브랜드다’라는 주제로 열린다.
메이트리는 23년 전 리더 장상인이 아카펠라 동호회를 만들면서 시작됐다. 그동안 여러 멤버 교체가 있었고, 비로소 지금 5명 장상인, 강수경, 김원종, 임수연, 권영훈의 메이트리가 됐다. 독특한 점은 실용음악과를 졸업한 권영훈 말고는 모두 음악을 전공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장상인은 화학, 강수경은 건축학, 김원종은 컴퓨터공학, 임수연은 초등교육을 전공했다. 최근 일간스포츠와 인터뷰를 진행한 메이트리는 지금의 인기가 실감나지 않는다며 “많은 분들이 주시는 관심의 힘이 어마어마하다고 느낀다. 덕분에 재밌게 활동하고 있다”고 소회를 밝혔다.
“저희 유튜브 조회수가 급증하기 전 찍어둔 영상을 보니 화면만 봐도 춥고 배고팠던 게 티가 나더라고요. 그 시간을 착실히 잘 보내왔고 운이 닿았기 때문에 오늘날의 메이트리가 된 것 같아요. 너무 감사하죠.”(강수경)
메이트리의 영상을 즐겨보는 이들은 도무지 사람의 목소리로 낼 수 없을 것 같은 소리를 구현해낸다는 점에서 흥미롭게 시청한다. 코로나19 사태가 찾아오자 본격적으로 유튜브 영상 업로드를 시작한 메이트리는 윈도우와 플레이스테이션 효과음, ‘슈퍼마리오’ OST, 테트리스 효과음 등 다양한 소리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생의 노스텔지어를 중심으로 그들이 알 만한 추억의 사운드를 선정했어요. 당시 모바일 게임 같은 것들이 굉장히 많이 나와서 방향을 정해봤어요. 어린 친구들에게도 다가가고 싶었거든요. 그러다 전 세계가 열광한 작품 ‘오징어 게임’을 커버했는데 정말 좋아해주시더라고요.”(임수연)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메이트리의 소리도 있다. 바로 지난해 신드롬을 일으킨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고래카’(유레카+고래) 소리다. 우영우(박은빈)가 사건을 해결할 결정적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나오던 청량하고도 신비한 이 ‘고래카’ 소리도 메이트리가 직접 녹음한 것이다.
“당시 OST를 총괄하신 노영심 선배는 ‘고래카’가 ‘우영우’의 시그니처 음악이 될 거라고 하셨어요. 기본적 틀은 노영심 선배가 만들어주셨고, 나머지 부분은 멤버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내면서 완성됐죠. 새로운 도전이었어요. 같은 포유류라서 소리가 더 잘 묻어났던 것 같기도 해요.”(장상인)
메이트리는 여러 해외 일정을 소화하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2009년 처음 해외로 나갔을 당시와는 한국 아티스트를 향한 시선이 달라졌다고 밝힌 메이트리는 “싸이와 방탄소년단을 계기로 빵터졌다. 한국인이라는 것만으로도 신기해하더라”며 “K음악이 가장 핫한 느낌이다. 미약하게나마 이름을 알리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미 무수한 기록들을 세운 메이트리가 바라는 최종 꿈은 무엇일까.
“어디까지 높이 올라갈까보다 어디까지 멀리 갈까를 생각해요. 지난달 재즈 거장 토니베넷이 타계하셨는데, 96세까지 무대에 서고 치매에 걸린 상태로도 노래를 하셨죠. 그분을 보면서 더더욱 높이는 생각하지 않게 됐어요.”(김원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