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굵직한 신차가 쏟아지고 있다. 현대자동차 싼타페, 기아 쏘렌토 등이 대표적이다. 싼타페는 5세대 완전변경 모델로 각진 디자인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쏘렌토는 부분변경 모델임에도 대대적인 디자인 변화를 통해 상품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들 신차의 가격표를 본 소비자들은 눈이 휘둥그레지고 있다. 일제히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싼타페의 경우 가솔린 엔진 기준 3546만~4373만원이다. 구형 대비 300만원 가량 올랐다. 최근 인기를 끄는 트림인 하이브리드는 약 500만원이 인상됐다.
이는 과거 인상 수준과 비교해도 과도한 편이다. 지난 2018년 4세대 완전변경 당시에는 가격이 인하된 트림도 있었고, 인상된 트림도 그 폭이 75만원 수준이었다.
쏘렌토도 가격이 오르긴 마찬가지다. 가솔린 엔진 기준으로 3506만~4193만원으로 책정됐다. 트림별 인상 폭은 175만~199만원으로 200만원에 육박한다. 지난 2017년 부분변경 당시 30만원 오른 것에 비해 인상 폭이 커진 셈이다.
현대차·기아의 가격 인상 '배짱'은 비단 이번뿐만이 아니다. 작년 쏘나타 연식변경 모델 '2023 쏘나타 센슈어스'를 출시하며 가격을 최대 97만원 올렸다. 최근 들어 완전변경, 부분변경 모델은 물론 연식변경 모델까지 높은 가격표로 바꿔 달고 있는 것이다.
기술 및 편의 사양이 고급화되고 있는 만큼 가격이 과거에 비해 큰 폭으로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맞는 말이다. 가치는 계속 증가한다.
하지만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률을 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상품성이 강화된 만큼 찻값을 올렸다면 영업이익률도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됐을 터다. 주요 모델들의 가격을 인상한 현대차의 올해 상반기 영역이익률은 10%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영업이익률은 3.4%에 불과했다. 기아도 같은 기간 3.5%에서 12.6%로 대폭 높아졌다.
이에 두 회사는 역대급 실적을 기록 중이다. 올해도 양사의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7조6409억원으로 분기 첫 7조원을 넘어섰다.
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현대차·기아가 신차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는 '카플레이션(자동차+인플레이션)' 심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 현대차의 승용차 평균 가격은 약 5032만원으로 2020년(약 4182만원)보다 약 850만원 올랐다. 기아는 같은 기간 승용차 3.8%(3309만→3434만원) 상승했다.
현대차·기아는 국내 시장 점유율 91%가 넘는 기업이다. 사실상 독과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차 가격을 크게 올리면 소비자 부담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고물가에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은 빠듯한 상황이다.
더욱이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고객층 확보가 필수다. 도요타가 글로벌 1등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값비싼 차 덕분이 아닌 서민들을 위한 차를 생산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