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유료 콘텐츠 플랫폼 '프리미엄콘텐츠'의 올해 채널 수와 유료 구독자 수가 전년 대비 2배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오픈 플랫폼으로 전환한 이후 1년 10개월여 만에 MAU(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600만명을 달성했다. 올해에만 13만개 이상의 새로운 콘텐츠가 올라왔다.
창작자들의 수익성도 증대됐다.
올해 월 100만원 이상 꾸준히 콘텐츠를 판매하는 채널은 전년보다 3배 이상 늘었다. 콘텐츠 판매액이 1억원 이상인 채널들도 수십개에 달한다는 설명이다. 전년 대비 전체 결제 건수는 2배, 거래액은 3배 이상 올랐다.
프리미엄콘텐츠에서 채널 비중이 가장 높은 콘텐츠 분야는 경제·비즈니스, 재테크, 책·작가·출판사다.
네이버 관계자는 "일반적인 유료 콘텐츠 플랫폼에서는 수익 창출을 위한 경제 분야 콘텐츠의 인기가 높지만, 프리미엄콘텐츠에서는 취미·실용, 트렌드·라이프, 교육·학습, 문화·예술 등으로 다양한 분야의 채널이 고르게 성장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했다.
강의, 학습, 도안 판매 등 교육·학습 관련 채널들도 유료화 가능성을 발굴하고 있다.
프리미엄콘텐츠는 광고 수익 의존도가 높았던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수익 창구를 제공하고,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 기술 도구를 지원해 콘텐츠 창작 활동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예를 들어,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 자동으로 자막을 생성하거나 자동 생성된 텍스트 자막을 콘텐츠로 발행할 수 있도록 돕는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뒷받침한다.
단건 콘텐츠 판매부터 기간별 정기 구독, 그룹 이용권까지 창작자가 원하는 형태의 콘텐츠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쿠폰과 이벤트 등 프로모션도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다.
김정은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리더는 "창작자들이 창작 활동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을 확대하고 초개인화 콘텐츠 추천 서비스로 창작자와 연관성 높은 사용자를 연결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