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고용률이 한 달 만에 회복세를 보였지만 제조업과 젊은 세대 취업 현황은 여전히 녹록지 않은 모습이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78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0.5%) 증가했다. 작년 12월 5만2000명이 줄었지만 곧장 일어섰다. 고용률은 61.0%로 전년 동월과 같다.
성별로 남자는 1559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만6000명 줄었지만, 여자는 1228만3000명으로 19만1000명 늘었다.
청년 고용 상황은 계속 악화하고 있다.
연령별 취업자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감을 살펴보면 60세 이상과 30대가 각각 34만명, 9만8000명 증가했지만 20대는 20만5000명, 40대는 7만1000명, 50대는 1만4000명 감소했다.
이처럼 고용률이 60세 이상과 30대 등에서는 상승했지만 20대 등에서 하락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20대 등에서 떨어졌고, 여자는 30대, 40대 등에서 올랐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만9000명, 4.4%),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9만8000명, 7.1%), 정보통신업(8만1000명, 7.6%) 등에서는 증가했지만 건설업(-16만9000명, -8.1%), 도매 및 소매업(-9만1000명, -2.8%), 제조업(-5만6000명, -1.2%) 등에서 감소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가 줄었던 것이 직접·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되면서 회복됐다"고 말했다.
건설업 취업자는 건설 경기 불황으로 2013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일자리도 반년 넘게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