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아가 친일파 김순홍의 손녀라는 사실이 알려진 건 그의 부친 김모씨가 김순흥이 남긴 350억 원 상당의 대규모 토지 환매 과정을 두고 형제들과 법적 공방을 벌이고 있다는 소식이 지난 19일 전해지면서다. 김씨는 형제들의 인감을 사용해 해당 토지 거래에서 위임장을 위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인명사전에 따르면 김순흥은 일제 치하에서 친일 행위를 한 인물이다. 자발적으로 일제에 큰 돈을 헌납을 하고 반일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한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해 일제 훈장인 감수포장까지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 이지아가 친일파 후손이라는 의혹은 일찍이 있었다. 지난 2007년 드라마 ‘태왕사신기’로 연예계에 발을 들인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지아의 가족 이야기는 알음알음 퍼졌다. 연예인에게 이미지가 무척 중요한 터라 이지아가 차가운 시선을 알면서도 그동안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은 이를 인정하는 듯해 기정사실화됐으며 연예계 활동 내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그랬던 그가 데뷔 후 10여 년이 지난 이제서야 입장을 밝힌 것이다. 이지아가 친일파의 후손임을 공식 인정하며 해당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르자 그를 향해 곱지 않은 시선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입장 발표가 늦었다는 지적도 있다.
물론 친일파 후손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다. 선조의 친일파 행적으로 자연스럽게 얻은 혜택은 무시할 수 없지만, 자칫 연좌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사안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그의 양심 있는 고백과 부끄러움을 아는 자세다. 여전히 선조의 행위를 정당화하거나 자신이 저지른 짓이 아니라면서도 그로 인한 이득에 호위호식하는, 부끄러움을 모르는 후손들이 많다. 이들과 비교해 적어도 이지아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행위는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조부의 친일 행적이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는 양심, 그리고 이에 대한 부끄러움을 드러냈다.
이지아는 입장문에서 18살에 자립해 가족으로부터 금전적 지원도 받은 적 없고, 부모와 연을 끊고 지낸 지 1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며 부친과 그의 형제들에 대한 법적 분쟁에 선을 그었다. 또 “2011년 기사를 통해 처음으로 해당 사실을 접한 후 정확한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민족문제연구소를 여러 차례 방문하는 등 관련 자료를 확인하고 공부했다”며 “이번 논란의 중심인 안양 소재의 땅이 일제강점기 동안 취득된 재산이라면, 반드시 국가에 환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역사는 성찰 없이 나아가지 못한다. 그래서 친일 문제는 과거가 아니라, 여전히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임을 모두가 안다. 여기에는 양심 있는 고백도 필요하다. 양심을 가지고, 부끄러워 할 줄 알고, 사죄하는 이들까지 무작정 내치는 것은 가혹하다. 이들을 품을 수 있는 관용 또한 우리 사회가 성숙해질 수 있는 덕목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