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치킨 프랜차이즈 업계에 조리 자동화 로봇 도입 경쟁의 불을 붙었다. 교촌치킨과 bhc가 나란히 로봇 조리 시스템 확대에 속도를 내며 인력난 해소·품질 표준화·운영 효율성을 놓고 정면 승부에 나섰다. 업계에서는 이번 경쟁이 단순한 조리 편의성을 넘어 미래형 스마트 매장으로의 전환을 앞당길 핵심 변수로 보고 있다.
24일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에 따르면 로봇 제조사 뉴로메카와 2021년부터 조리협동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현재 전국 23개 매장에 30대, 미국·중국 매장 2대까지 총 32대를 운영 중이다. 올해 초 ‘로봇사업팀’을 신설해 로봇 도입을 본사 차원의 핵심 전략으로 격상했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조리 로봇은 단순 인건비 절감 목적이 아닌, 만성적 인력난 해소와 피크타임 조리 품질 표준화에 방점이 있다”며 “향후 매장 데이터 기반으로 공정 최적화, 기능 개선을 추진해 자체 개발 체계까지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 교촌 조리 로봇은 치킨 특유의 2차 튀김 공정을 자동화해 매장 간 맛 편차를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로봇 도입 매장의 피크타임 조리 시간은 평균 15% 단축, 불필요한 튀김 부스러기 제거 공정도 자동화돼 제품 균일성이 20% 이상 개선됐다.
bhc도 지난해부터 본격 도입한 튀김로봇 ‘튀봇’(TuiiBot)이 올해 전국 30개 매장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트레이 이동, 기름 온도·조리 시간 제어, 흔들기, 잔여 기름 제거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해 조리 편차를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bhc, ‘튀봇’ 전국 30개 매장으로 확대 특히 안전성과 작업 환경 개선 효과가 두드러진다. 일체형 후드·안전 도어 적용으로 매장 유증기와 기름 연기를 절반가량 줄였다. 주방 온도도 5도 이상 낮아져 직원 근무 환경이 크게 개선됐다. bhc 측은 “도입 매장 조리장 내 오염물질 농도가 평균 48% 감소해 화상·미끄럼 사고 위험이 크게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로봇 자동화 덕분에 주문 처리 속도는 20% 이상 향상되고, 냉방비 절감 효과까지 더해져 운영 효율성이 대폭 개선됐다. bhc는 향후 예비 가맹점주 대상 시연을 확대하고, 표준 매뉴얼 기반의 전국 가맹점 로봇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교촌치킨과 bhc의 본격 경쟁이 치킨 로봇 시장 성장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외식업 자동화 시장은 2025년 300억원, 2027년에는 5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게다가 교촌치킨과 bhc 모두 로봇을 단순 주방 기기가 아닌 미래 스마트 매장 핵심 인프라로 보고 있어 조리 로봇 전쟁은 장기적으로 운영 데이터·AI 결합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로봇 조리를 통해 품질 표준화·인력 운용 유연성·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며 “향후 외식업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