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제작하고 투자받을 때, 배우 강동원(37)의 이름 석자는 일종의 치트키다. 그가 선택한 작품은 모두가 달려들어 제작과 투자에 나선다. 이쯤되니 강동원은 주연배우 이상의 역할을 하게 됐다. 7년 전 동명의 일본 소설의 리메이크 제안부터 출연에 이르기까지 강동원의 손을 탄 '골든슬럼버(노동석 감독)'가 바로 그 경우다.
'골든슬럼버'는 강동원의, 강동원에 의한, 강동원을 위한 영화다. 하루 아침에 대선 후보 암살범으로 지목된 택배 기사 건우의 도주극을 그린 작품에서 건우를 연기했다. 사람좋은 미소와 억울한 표정, 어설픈 도주가 건우라는 인물을 설명해주는 키워드. "손해 좀 보고 살면 어때요"라는 대사에 인물의 성격이 잘 드러나기도 한다.
강동원을 원하는 숱한 작품 중 왜 '골든슬럼버'였을까. 그는 마냥 착하기만 한 건우가 거대한 권력에 부딪히지만 친구들과 함께 역경을 이겨내는 이야기를 스크린에 담길 바랐다. 희망적 메시지를 전하며 진짜 세상이 행복한 세상에 조금 더 다가가길 바랐다. 친구들과 이 영화를 보며 순수했던 어린 시절을 되찾길 바랐다. 이는 강동원에게 지금 가장 큰 고민이자 사명이기 때문이다. "행복한 세상에 살고 싶다"며 히어로 같은 소망을 밝힌 그는 "너무 행복전도사 같은가"라며 웃어보였다.
-댓글을 챙겨보나. "어쨌든 많이 읽는다. 그리고 그 분들(악플러)의 의견도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의견도 하나의 의견이니까. 악플이라도."
-현타(현실 자각 타임)이 오기도 하겠다. "현타가 있긴 하다.(웃음) 더 열심히 잘 살아서 그 분들도 설득해야 한다. 그 분들도 대한민국 국민이고 저도 대한민국 국민이고."
-어떤 댓글에 가장 상처받았나. "'죽어라'는 댓글이었다. '인천 앞바다에 XX내서 버리고'라고 누가 달았더니, 거기에 또 '왜 우리 앞바다에 버려 부산 앞바다에 버려'라는 댓글이 달렸었다. 그게 제일 현타가 오더라. 또 '얼마나 아픔이 크면 그렇게까지 할까'란 생각도 들었다. 그런 분들도 배우로서 어느 정도 치유해 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 그 분도 치유할 수 있는 영화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
-악플러를 고소하는 연예인들도 많다. "고소 하고 싶지는 않다. 어쨌든 대한민국 국민인데 우리나라 사람인데."
-배우가 된 걸 후회하지는 않나. "배우가 된 걸 절대 후회하지 않는다. 그냥 1998년도로 돌아간다면 기계과 가지 않고 건축과 갈 걸이라는 생각은 한다. 요즘 건축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이 일을 하지 않게 되면 나중에 건축을 할 것 같다. 건축은 총괄적인 거다. 그 곳에 사는 사람들 생각도 해야 한다."
-곧 데뷔 20주년인데 기념 이벤트라도 열어야 하는 거 아닐까. "그런 거 제일 싫다.(웃음) 못 할 거 같다. 자신도 없다. 생일파티도 하기 싫은데. 40세가 다 돼 가니까 생일 챙기는 게 쑥스러워지기도 한다."
-남자배우는 40대부터라는데. "그건 여배우도 같다. 나이 들어가는 게 좋다. 우리나라는 유난히 외모에 민감한 것 같은데, 나이가 드는데 외모에 나이가 안 드는게 이상한 거다. 나이가 안 들고 그대로면 무섭지 않겠나. 그냥 잘 살면 되는 것 같다. 못 살면 얼굴도 흉해진다. 그렇게 되고 싶지는 않다. 그냥 자연스럽게 늙고 싶다. 나이 들어 가는 내 얼굴이 좋다."
-영화 제작에도 도전할 계획이 있나. "혼자서 제작하겠다는 것 보다는 영화를 하는 사람들 중에 좋은 사람들과 공동 작업을 하고 싶다."
-설 연휴 '블랙 팬서' '흥부' 등과 경쟁한다. 흥행에 신경이 쓰이나. "당연히 모두가 흥행에 신경쓰고 있다. 물론, 배우보다 제작하는 분들이 신경쓰고 있다. 신경 쓰이기도 하지만, 좋은 작품들이 극장에 많이 걸려있으면 관객들이 많이 오니까 좋은 지점도 있다. 극장 관의 치열한 싸움도 있겠다. 하지만 그건 내 일은 아니니까.(웃음)"
-여전히 공공재가 될 생각은 없나. "나는 그럴 생각이 없다. 하하하."
-곧 40세인데, 결혼 계획은? "결혼은 모르겠다. 결혼 생각이 지금 당장은 없으니까. 미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긴 하다. 어렸을 때부터 별로 결혼할 생각이 없었다. 어른들이 '너 같은 놈들이 한방에 간다'고 하긴 하더라.(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