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제작하고 투자받을 때, 배우 강동원(37)의 이름 석자는 일종의 치트키다. 그가 선택한 작품은 모두가 달려들어 제작과 투자에 나선다. 이쯤되니 강동원은 주연배우 이상의 역할을 하게 됐다. 7년 전 동명의 일본 소설의 리메이크 제안부터 출연에 이르기까지 강동원의 손을 탄 '골든슬럼버(노동석 감독)'가 바로 그 경우다.
'골든슬럼버'는 강동원의, 강동원에 의한, 강동원을 위한 영화다. 하루 아침에 대선 후보 암살범으로 지목된 택배 기사 건우의 도주극을 그린 작품에서 건우를 연기했다. 사람좋은 미소와 억울한 표정, 어설픈 도주가 건우라는 인물을 설명해주는 키워드. "손해 좀 보고 살면 어때요"라는 대사에 인물의 성격이 잘 드러나기도 한다.
강동원을 원하는 숱한 작품 중 왜 '골든슬럼버'였을까. 그는 마냥 착하기만 한 건우가 거대한 권력에 부딪히지만 친구들과 함께 역경을 이겨내는 이야기를 스크린에 담길 바랐다. 희망적 메시지를 전하며 진짜 세상이 행복한 세상에 조금 더 다가가길 바랐다. 친구들과 이 영화를 보며 순수했던 어린 시절을 되찾길 바랐다. 이는 강동원에게 지금 가장 큰 고민이자 사명이기 때문이다. "행복한 세상에 살고 싶다"며 히어로 같은 소망을 밝힌 그는 "너무 행복전도사 같은가"라며 웃어보였다.
-영화를 자평하자면. "개인적으로 만족하고 있다. 지루할 틈 없이 메시지도 정확하게 드러났다. 괜찮게 봤다. 친구들 간의 관계도 재밌었다. (김)의성 선배님과 호흡도 괜찮았다."
-원작의 리메이크 제작을 제작사에 먼저 제안했다. 어떤 매력에 빠졌나. "영화가 가진 메시지가 좋았다. 평범한 사람이 권력에 부딪혔을 때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메시지다. 친구들 우정에 관한 메시지도 잇따. 어렸을 적 친구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사는 게 달라지다보니 대화도 안 통하고 그러지 않나. 그런 이야기를 한 번은 하고 싶었다. 이전에도 비슷한 주제의 영화 제작을 준비하다 중단된 적이 있었다. 특히 20대 후반쯤 부터 그런 것에 대한 고민을 했었다."
-실제 친구들이 영화를 보고 어떤 평을 하던가. "시사회가 없어서 돈 내고 보라고 했다.(웃음) 한 명(가수 주형진) 초대했다. 대화는 그다지 없었다. '재밌었다' 그러고 끝이었다. 그날 밤에 영화 이야기는 안 했던 것 같다."
-원작과 차별화된 점은. "원작이 워낙 찝찝하게 끝나는 지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주인공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싶었다. 그게 제일 컸다. 원작에서는 권력의 부딪혔을 때 권력과 싸워서 이길 수 없다고 하고 끝나는데, 권력에게 통쾌하게 복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제작에 어느 정도 참여한 건가. "제안만 한 거다. 시나리오는 초기부터 본 셈이다. 시나리오 모니터링은 계속 했다. '이런 식으로 각색하면 어떻겠냐'는 제안도 했다. 내 제안 중 쓰인 것도 있고 안 쓰인 것도 있다."
-왜 친구들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 "나는 학교도 휴학하고 꿈을 안고 (연예계 생활을) 준비했다. 지금이야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으니까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땐 다들 '쟤 저러더 어떻게 하나' 이런 생각을 했을 거다. 친구들이 학교에 다닐 때 나는 내 돈을 내가 벌어서 썼다. 평범한 삶과 점점 달라지는 거다. 그때만 해도 괜찮았던 아이들이 직장생활 시작하면서 달라지기도 한다. 점점 꼰대 같아지는 애들도 있고, 간섭질 하고.(웃음) 나도 사회생활 해봐서 아는데 이건 이렇고 저건 저렇고, 그런 이야길 하니까 신경질 나더라. 하하하."
-평범한 삶을 사는 것이 좋았을까. "스트레스가 덜 할 것 같기는 하다. 어떤 조직에 들어있는 것과 혼자 발로 뛰는 것이 다르니까. 나는 일을 혼자 너무 오래 했다. 그런 데서 오는 스트레스는 덜할 것 같다.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도 있지 않을까. 지금은 매 순간 긴장하며 살아야하니까."
-자신을 꼰대라고 생각한 적은 없나. "계속 점검한다.(웃음) 꼰대 같다고 생각했던 때도 있다. 다행히 많이는 없었다. 남의 이야기를 항상 물어본다. 물론, 아주 없지는 않을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