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나 혼자 산다'가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장수 예능의 위기를 딛고 새로운 제작진과 출연진의 꿀케미 전략이 통했다. 한때 시청률이 5%대까지 곤두박질치며 위기를 맞았지만, 현재는 10% 재돌파를 목전에 두고 쾌조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무한도전'·'라디오스타'·'세바퀴' 등을 연출했던 황지영 PD가 지난해 11월 '나 혼자 산다'의 새로운 연출을 나섰다. 그 후로 7개월 만에 이 같은 성과를 본 것.
황지영 PD는 "정말 파란만장했던 것 같다. 처음에 모델 이소라 씨부터 시작해서 좀 있다가 배우 다니엘 헤니를 바로 섭외해 촬영했다. 이후엔 200회 특집이 있었다. 200회를 걸치면서 멤버들을 바꿨다. 멤버들의 케미가 확 좋아지면서 시청자들의 반응 역시 좋아졌다"고 전하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섭외하고 싶은 사람은.
"궁금한 사람, 핫피플을 하고 싶다. 공유 씨나 송혜교 씨, 김혜수 씨 등 핫피플과 궁금한 사람들의 리스트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연락도 돌리고 있다. 하지만 섭외가 쉽진 않다.(웃음)"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찍고 또 찍는다. 스케줄이 너무 많다. 토크 녹화를 매주 고정적으로 하고 있고 편집도 신경을 많이 쓴다. 일상을 담는 프로그램이라 편집에 공을 많이 들여야 한다. 노동 강도가 센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관계가 참 중요하다. 담당 작가가 매일 연예인이 뭘 하는지 일상에 대해 물어봐야 한다. 그래야 어떤 걸 찍을지 결정되니 서로 얘기를 많이 한다. 제작진이 한마음으로 열심히 하고 있다."
-만나보고 반한 연예인은.
"누구 하나를 꼽을 수 없다. 지금은 각자 너무 역할을 잘해주고 있는 것 같다. 한명 한명 출연이 쉽게 되는 게 없었고 섭외부터 만다는 과정까지 너무 오래 걸리기에 다 애정이 간다."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고 싶나.
"스펙트럼을 넓히려고 노력하고 있다. 연령대와 직업을 다양하게 하려고 한다. 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의 일상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겠다."
-목표는.
"방송 초반엔 기러기 아빠나 이혼남·옥탑방에 사는 싱글남 등에 초점을 맞췄다. 짠내 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주된 웃음 포인트였다면 4년여 방송을 하면서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 혼자 살고 있고 그 전반적인 내용을 전해주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 혼자 살아도 멋있게, 많은 감정을 느끼면서 볼 수 있게 만들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