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중반만 해도 '떡먹는 용만이'를 떠올린다. 그 이후 세대에겐 '잘 나가던 방송인'으로 인식돼 있다.
김용만은 유행어 하나 없다. 그럼에도 2000년·2002년·2003년까지 MBC 연예대상 영예의 대상 주인공이다. 코미디언보다는 방송인 이미지가 큰 덕분이다. 지금의 10대에게는 생소할 수 있지만 그들도 기억하는 건 '올챙이송'. 신드롬처럼 전국에 울려퍼지던 '올챙이송'은 김용만이 진행하던 MBC '일요일일요일밤에-브레인 서바이벌'에 나온 노래다. 지금까지도 송일국의 아들인 삼둥이가 흥얼거리는 등 15년이 다 돼도 식지 않는 인기다.
자숙의 시간을 가졌던 김용만은 지난해부터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 '해피투게더' '런닝맨' 등에 나와 과거의 예능감을 되찾았고 고정 프로그램 MC로 이어졌다. JTBC '뭉쳐야 뜬다'에 출연 중이고 이달부터 올리브 '요상한 식당' MBN '황금알2' 진행을 맡는다.
누가 방송인 아니랄까봐 멈출 수 없는 '진행 본능'은 여전했다. 질문이 오가는 중간에도 되묻는게 많았다. '몇 살이냐' '결혼했냐' '관심사가 뭐냐' 등. 김용만과 지석진·유재석 등이 속한 사모임 '조동아리'. 아침부터 저녁까지 커피 한 잔 시켜놓고 수다를 떤다는 그들의 모임을 잠시나마 다녀온 듯 했다.
2편에 이어...
-'칭찬합시다' 등 공익 예능이 예전엔 많았어요. "그러게요. 요즘은 찾아볼 수 없는 당시의 트렌드죠. 그건 이경규 형님이나 제가 아닌 쌀집아저씨(김영희 PD)니깐 가능한 거였어요. 제작하는 PD의 힘이 상당한데 지금의 나영석 PD만큼 파급력이 있었죠. '이렇게 까지 판을 키우나' 싶을 때가 많았고 청와대에 들어가 대통령 내외 모시고 촬영했으니깐요. 당분간 그럼 프로그램은 나오기 쉽지 않겠죠."
-잘 된 프로그램이 많네요. "그건 아니에요. KBS 공채 코미디언으로 뽑히고 몇 년 지나 MBC를 갔는데 좋은 프로그램은 안 맡겼어요. 곧 폐지될 프로그램에 저를 투입시켰어요. '스타예감' '도전 추리특급' '토토즐'을 없앤 게 저였다니깐요. 별명이 '개그계 패전처리투수'였어요."
-공개 코미디에서 본 적이 없어요. "신인 때는 많이 했죠. 희한한게 코미디언 시험 합격 전부터 MC를 많이 맡았어요. 군대에서 3년 MC 보고 전역하자마자 자연농원(현 에버랜드) 장미 축제 MC도 보고요. KBS 공채되자마자 PD들이 코미디가 아닌 진행을 시키더라고요. 토요일 오후 7시, 염정아 씨와 2시간짜리 생방송을 했어요. 그땐 개그하고 싶다고 울면서 뛰쳐 나가기도 했는데 그럴 때마다 주변 친구들이 '복에 겨운 소리한다'고 했었죠." -김국진 씨와는 영원한 파트너이자 라이벌이에요. "라이벌도 아니에요. 항상 형의 뒤를 제가 따라갔죠. 데뷔 후 첫 신인상부터 MBC 코미디대상까지. 늘 형이 먼저 치고 나가면 전 그 뒤를 밟았어요."
-소속사 FNC엔터테인먼트는 좋나요. "너무 마음에 들어요. 사실 방송 활동 없이 있는 저를 기다려줬잖아요. 지난해 소속 아티스트 중 가장 적자가 큰 사람이 저일텐데 아무말 없이 지지해줬어요. 회사 입장에서는 그러기 쉽지 않은데 참 고마워요."
-2017년 시작이 얼마 안 됐지만 올해의 계획이 있나요. "새로 들어가는 프로그램이나 하고 있는 것들 모두 잘 되는게 우선이죠. 그리고 여력이 된다면 앞서 말한 감자골 4인방이나 음악 관련 예능도 해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