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정우(37)의 대표작은 여전히 tvN '응답하라1994'다. 정우를 오랜 무명에서 벗어나게 해준 고마운 작품이자 '멜로'도 되는 배우임을 각인 시켰다.
하지만 비슷한 분위기로 선택한 영화 '쎄시봉(김현석 감독)'은 흥행에 참패했고, '히말라야(이석훈 감독)'는 사실 선배 황정민의 공이 더 크다. 때문에 '재심(김태윤 감독)은 오롯이 '배우 정우'의 매력을 다시 보여야 하는 작품으로 상당히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재심'은 대중이 원하는 정우, 정우가 원하는 정우의 목표를 달성한 작품이다. 연기 호평에 상업적 흥행까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았다.
※인터뷰 ①에서 이어집니다. - 강하늘과는 '쎄시봉' 이후 다시 만났다.
"친한 동생이고 '쎄시봉' 뿐만 아니라 '꽃보다 청춘'을 통해 여행도 같이 다녀와서 서로에 대해 잘 알고있다. '재심' 역시 즐겁게 작업했다."
- '쎄시봉' 성적이 아쉬워서 오히려 '재심'에 대한 기대가 높다.
"'쎄시봉'은 '응사' 이후 첫 차기작이었고 캐스팅도 어마어마했기 때문에 대중의 기대치가 높기도 했다. 같이 작품해서 높은 관심을 받고 사랑을 받으면 그것만큼 좋은 일이 어디 있겠냐. 그런 면에서 아쉬움이 남을 수는 있지만 또 그게 전부는 아닌 것 같다."
- 어떤 의미인가.
"어쩌면 흥행에 대한 기대와 바람은 하늘이가 아니어도 늘 품고 있는 마음일 수 있다. 하지만 성공을 위해, 흥행을 위해서만 작품을 택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모두의 노력이 있기 때문에 손익분기점은 넘어 줬으면 싶기는 하다. 딱 그 정도다."- 배우들과의 호흡은 어땠나.
"(김)해숙 선생님은 내가 말 할 부분도 아니고 말 할 필요도 없지 않을까. 현장에서 그저 계셔주시는 것 만으로도 너무 큰 힘이 됐다. 감독님이 '호랑이 한 마리가 있는 것 같다'고 했는데 정말 그런 느낌이었다. 호랑이 엄마 같은? 이경영 선배님도 마찬가지고. 선배님들에게 얻은 에너지로 선배님들이 안 계시는 현장에서 버텨낼 수 있었던 것 같다. 너무 감사하다."
- '더 킹'으로 주목받은 김소진 씨도 등장하더라.
"소진 누나는 나에게 굉장히 독특한 경험을 하게 해 줬다. 뭐라 딱히 말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짧게 호흡을 맞추는데도 남다른 느낌이 들었다. 에너지도 굉장히 강하고. 가족 이야기는 흐름상 많이 편집될 수 밖에 었었는데 그 점이 아쉽기는 하다."
- 현장에서 여러 번 재촬영을 요구했다고.
"엄살이 아니라 진짜 나만 잘하면 될 것 같았다. '쎄시봉' '히말라야' 때 선배님들께서 '한 번 더, 한 번 더'를 외치셨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외칠 수 밖에 없는 책임감이 어떤 것인지 '재심'을 통해 확실히 느꼈다. 예산이 풍요롭지 못했기 때문에 자칫 잘못 하면 쉽게 넘어갈 수 있는 부분들이 있었는데 그런 이유로 아쉬움과 후회를 남기고 싶지는 않았다."
- 만족감은 어떤가.
"전작에서는 의지되는 선배님들이 많이 계셨지만 특별히 '의지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지는 않았다. 근데 시간이 지나고 뒤돌아 보니 나도 모르는 새 의지를 했고, 의지가 많이 됐다는 것을 꺠달았다. 예전에는 원톱, 투톱에 큰 의미를 두지도 않았다. '바람'이라는 작품을 하긴 했지만 그 때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덤볐던 것이라.(웃음)" - 독립영화와 상업영화는 확실히 다를 수 밖에 없다.
"맞다. 상업영화라는 테두리 안에서 몇 십 억 이상의 제작비가 들어가는 작품을 이끌어야 한다는 부담감과 책임감이 상당했다. 내가 그런 것을 느끼게 될 줄 몰랐는데 생각을 안 할 수가 덦더라. 여전히 100% 안다고 말 할 수 없다. 조금씩 알아가는 과정에 있는 것 같다."
- 그래서 아쉬운 것인가.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많이 아쉽다. 테이크를 많이 간다고 해서 더 좋은 연기가 나오거나, 더 좋은 장면이 나오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최선을 다 한다는 마음으로 임했지만 다음 작품에서는 더 더욱 마음을 다 잡고 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 노력과 결과가 늘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신하지는 않는다고 하니까.
"물론 이번 작품을 허투루 했기 때문에 다음에 잘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정말 입에 발린 소리가 아니라 매 작품을 할 때마다 반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반성하는 나를 보면서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돌아보지 않는 순간 더 큰 문제가 발생할 것 같다."
- 어떤 점이 가장 아쉬운가.
"모든 신. 매 신이 아쉽다. 초·중반 때를 회상해 보면 확실히 내가 덜 풀려 있었다. 이제 좀 풀릴만 하니까 촬영이 끝났다. '히말라야' 이후 공백이 너무 길었나 싶은 생각도 했다. 또 여러 요인 때문에 순서대로 찍지 못했는데 편집을 하고 나니 어떤 장면에서는 내 연기가 너무 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따지고 보면 물리적 환경이 있는데 어떻게 모든 장면을 순서대로 찍을 수 있겠나. 마지막 신을 첫 날 찍을 수도 있다. 그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도 배우의 몫이라는 것을 새삼 깨우쳤다."- 작품 선택에 변화가 생겼나.
"그렇지는 않다. 가장 첫 번째 우선순위는 결국 관객이고 그 다음 내가 매력을 느끼는 작품에 끌린다. 그리고 그 작품이 알고보니 좋은 의미를 갖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고 하면 선택의 의미가 더 깊어질 수는 있을 것이다."
- 매력을 느끼는 기준이 있다면.
"난 시나리오를 받고 작품 혹은 캐릭터를 낱낱이 분석하고 파헤치는 것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다. 그저 '이 이야기에 공감 하느냐. 나에게 오는 감동이 있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그 다음이 '어떤 이와 함께 할 것이냐'다. 앞으로도 변함없을 것 같다."
- 지금의 어떤 배우인가.
"내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는 배우. 서른 살 이전에는 기회를 찾았던 것 같고 그 이후에는 과대평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정말이다. 점점 진짜 내 자리를 찾아가게 되지 않을까." >> ③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