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라진 밤(이창희 감독)'에 MBC 드라마 '데릴남편 오작두'까지 연타석 홈런이다. 오랜만에 스크린과 브라운과으로 동시 컴백한 김강우(41)가 어느 때보다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급변한 날씨와 계속된 산속 촬영 탓에 감기를 떨쳐내지는 못했지만 피곤함은 싹 씻겨 내려갈 정도의 호응과 호평이다. "요즘 연기가 한창 재미있게 느껴진다"는 말이 나올 법도 하다.
영화에서는 재벌 회장의 꼭두각시 남편으로, 드라마에서는 깊은 산 속에 사는 자연인으로 극강의 매력을 선보이고 있다. 몸에 착 달라붙는 블랙 수트에서 뿜어져 나오는 예민함은 물론, 맹추위 속에 살아 남겠다는 의지만 강한 야생 패션의 친근함까지 모두 '상남자'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섭렵할 수 있는 김강우다.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도 드라마를 시청하는 시청자들도 "잘생겼다"는 평은 빠짐없이 쏟아내고 있다.
'한번에 하나' 밖에 할 수 없다는 김강우는 일할 때는 오로지 촬영에만 매진, 남은 시간을 모조리 가족들에게 할애하려는 노력형 남편이자 아빠다. "배우라는 직업은 어쩔 수 없이 가족과 구성원의 희생이 뒤따라야 하는 것 같다"고 밝힌 김강우는 "그래서 미안한만큼 고맙고 그 이상의 보상을 해줘야 한다 생각한다"고 단언했다. 국민 남편, 국민 형부라는 애칭이 여전히 김강우를 졸졸 따라 다니는 이유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실제 성격은 어떤가. "시끄러운 것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사람 많은 곳을 천성적으로 싫어한다. 술을 마셔도 조용하게 마시고 여행을 해도 조용하게 한다.(웃음) 현장은 아무래도 캐릭터에 따라 변하는 것 같다. '사라진 밤' 때와 지금 하고있는 '데릴남편 오작두' 분위기도 극과 극으로 다르다. '사라진 밤'은 더 조용했고, '오작두'는 입을 풀기 위해서라도 일부러 수다를 많이 떨려고 한다. 톤도 높게 이야기 하고."
- 스트레스는 어떻게 푸는 편인가. "여행 밖에는 없는 것 같다. 일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나에게는 배우도 하나의 직업이다.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많은 직장인들이 매일 출근할 때마다 스트레스를 받는 것과 비슷하다. 근데 스트레스도 습관인 것 같다. 예전에는 한도 끝도 없이 스트레스만 받았다면 요즘에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려고 노력한다. 어쨌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고 그걸로 가족들도 부양하는 것 아닌가. 아침마다 다짐한다."
- 어떤 남편, 어떤 아빠인가. "정말 평범하다. 내가 멀티가 안 되는 스타일이라 일할 때는 특히 더 일만 해야 한다. 그래서 일을 하지 않을 땐 가족에 최대한의 시간을 할애한다. 불만? 있을 수 있다. 있지만 말은 안 하는 것일 수 있고, 모른 척 하는 것일 수도 있고.(웃음) 어느 순간 그런 생각은 들더라. 배우는 이기적인 직업이다. 본인은 몰라도 가족을 비롯해 주변 구성원의 희생이 엄청나게 뒤따른다. 모든 라이프 패턴이 그 사람의 스케줄에 좌지우지 될 수 밖에 없으니까. 그런 면에서 미안하고, 고맙고 그렇기 때문에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 유명 가족이 됐다. 주목과 관심에 따른 부담감은 없나. "사실 아이들은 평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버지마 부모의 삶 때문에 그들의 삶까지 영향을 받으면 안 된느 것 같다. 근데 뭐 그 친구들도 살다보면 자연스레 느끼지 않을까.(웃음) 아버지의 독특한 직업 때문에 감내해야 할 것들은 있겠지만 특별한 곳만 가고, 숨기고, 굳이 숨어만 다니는 것도 좀 아닌 것 같다."
- 아빠의 직업을 알고있나. "첫째는 아는 것 같다. 소꿉놀이 하는걸 봤는데, 아빠·엄마로 역할을 나눠 놀 때 회사에 다니는 아빠가 있는 아이들은 보통 '아빠 회사 다녀올게~' 하지 않나. 근데 우리 아이들은 '촬영 갈게!'라고 하더라.(웃음)"
- 자녀가 배우를 하겠다고 하면 허락할 생각인가. "아니. 아직은 전혀. 100% 반대할 것이다. 배우는 멘탈이 강해야 하고 그만큼 쉽게 무너지지 않아야 한다. 일이 없을 때 알아서 버텨 나가야 하고, 카메라가 돌아가는 순간에는 아무도 도와줄 수 없다. 심정적으로 여리면 상처를 많이 받게 될 것이다."
-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이겠다. "나 역시 슬럼프가 많았다. 얼렁뚱땅 16년이 됐지만 때려치고 싶은 순간도 수없이 많았다. 그 시간을 견디면서 나름 대책을 세우며 활동하는 것이다. 한 작품, 한 작품 평가를 받을 때마다 스트레스 받으면 일을 아예 못 한다. 일희일비 하지 않으려 한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훗날의 평가를 염두해 두면서 일단 쫙 해보려고 한다. 그러니 좀 편해지더라."
- 산 속까지는 아니더라도 최근 귀농을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지는 추세더라. 배우들도 제주도에 내려가 살고. "나도 가끔 '가 볼까?'라는 생각을 한다. 거기에 대해서는 여성 분들보다 남성 분들의 심리가 더 셀 것 같다. 근데 현실은 녹록치 않다. 나도 자연으로 나가는 TV프로그램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낀다. '데릴남편 오작두'를 보면서도 어느 정도는 해소되지 않을까 싶다."
- 촬영이지만 산 생활은 어떻던가. 스포츠 좋아하니까. "춥다. 엄~청 춥다. 어떤 작품보다 춥게 촬영했다. 산 꼭대기라 나에게는 에베레스트 같은 느낌이다.(웃음) 평소 산행은 안 좋아하고 언덕 정도는 좋아한다. 산 보다는 물이 좋다. 그리고 공으로 하는 운동은 다 좋아한다. 보는 것도 좋아하고. 밖에 나가 햇빛 받는 것 만으로도 좋을 때가 있더라."
- 도전 의식이 강한 편인가. "잘 질려하는 스타일이긴 하다. 그래서 배우가 맞는 것 같다. 자기 전 '난 왜 이 직업을 가졌을까?' 생각할 때가 있는데 곰곰히 고민하다 보면 이 길이 맞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