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프로축구

유럽 빅리그처럼…K리그에서도 늘어나는 질적 데이터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등 유럽 빅리그에서 볼 수 있었던 고급 데이터를 K리그에서 만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양적 데이터를 넘어 질적 데이터를 K리그에 적용하려는 프로축구연맹 노력의 결과다. 올해도 새로운 데이터가 팬들을 찾아간다.프로축구연맹은 11일 주간 브리핑을 열고 올해부터 패킹(패스) 지수와 활동량(피지컬)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0년 활동량, 2021년 기대득점(xG)과 아디다스 포인트, 2022년 선방지수에 이어 K리그에 새로 도입되는 데이터다.패킹은 패스 혹은 드리블로 최대 몇 명의 상대 선수를 제쳤는지 알 수 있는 지수다. 만약 패스를 통해 상대 팀 선수 2명을 제쳐서 성공한 패스의 패킹지수는 ‘2’다. 그동안 집계됐던 패스 성공 횟수가 단순한 양적 데이터였다면, 패킹 지수는 그 패스가 얼마나 영양가 있는 패스인지 평가할 수 있는 질적 데이터다. 연맹은 공식 부가데이터 제공 업체인 비프로11과 함께 매달 패킹 지수를 공개할 예정이다.이 지수는 지난 2014년 국제축구연맹(FIFA) 브라질 월드컵에서 독일이 브라질을 7-1로 대파했던 준결승 직후 주목을 받았다. 당시 슈팅수나 점유율, 패스 성공률은 양 팀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패킹이나 상대 수비수 패킹에서 독일이 크게 앞섰다.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 2016에서도 총 51경기 중 패킹 지수가 높았던 팀의 승리는 34경기, 무승부는 14경기, 패배는 3경기였다.이날 연맹이 처음 공개한 2·3월 K리그1 패킹(패스) 지수 1, 2위는 김영권과 박용우(이상 울산 현대)였다. 김영권의 총 패킹 지수는 369, 박용우는 330이었다. 연맹은 이들이 울산 빌드업의 핵심적인 선수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 뒤를 이종성(수원 삼성·312) 안영규(광주 FC·296) 김오규(제주 유나이티드·294)가 이었다. 연맹은 또 광학 추적 시스템 기술을 활용해 K리그 선수들의 전체 뛴 거리(㎞) 최고 속도(㎞/h) 스프린트 횟수, 스프린트 거리 상위 5명도 월 단위로 공개할 예정이다. 스프린트는 최소 2초 이상 14.4㎞/h 이상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22.68㎞/h 이상의 속도에 도달하는 경우다.이 데이터는 지난 2020년에도 공개 됐지만, 당시엔 피지컬 코치의 선호 장비 등 구단별 GPS 장비가 달라 정확한 비교·분석이 어려웠다. 그러나 올해부터 모든 구단이 동일한 측정방식을 적용해 정확한 비교가 가능해졌다. 팬들은 EPL 등 유럽 빅리그에서 볼 수 있었던 선수들의 최고속도, 전체 뛴 거리 데이터 등을 보다 정확한 자료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2·3월 기준 최고속도 톱5는 서영재(대전 하나시티즌)가 1, 2위를 독식했다. 포항 스틸러스전 그의 최고 속도는 35.67㎞/h에 달했고, 강원FC전에서도 34.91㎞/h의 최고 스피드를 기록했다. 전체 뛴거리 1위는 고승범(수원 삼성·50.53㎞)이었다. 스프린트 횟수와 거리는 모두 김도혁(인천 유나이티드)이 139회와 2745m로 각각 1위에 올랐다.연맹 관계자는 “2015년 부가데이터 수집을 시작으로 2018년 데이터 포털을 구축, 대중이 언제라도 쉽게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나아가 아디다스 포인트, 기대 득점, 선방 지수 등 부가데이터를 활용한 2차 가공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2차 가공 데이터를 소개하여 K리그 경기력 향상과 팬, 미디어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질적 데이터를 개발해 공개할 것”이라고 전했다.김명석 기자 2023.04.12 06:01
프로축구

190cm 공격수 제카, 9월 K리그 ‘기대 득점(xG)’ 1위

9월 한 달간 K리그1에서 결정적인 장면을 가장 많이 만들어낸 선수는 제카(대구)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이 7일 발표한 2022시즌 9월 K리그1 선수별 기대 득점(xG) 자료에 따르면 제카는 2.90으로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제카는 9월 5경기에 출전해 15차례 슈팅을 시도했다. 득점 기록은 1골에 그쳤지만 슈팅의 질이 높았다. 문전에서 득점 가능성이 높은 장면을 가장 많이 만들어낸 공격수였다. 제카 외에 기대 득점 TOP 5에 든 선수는 한교원(전북, 2.25)-일류첸코(서울, 2.13)-바로우(전북, 2.09)-오현규(수원, 1.87) 순이다. 기대 득점은 슈팅 기회가 득점으로 연결될 확률을 뜻한다. 슈팅 1개의 기대 득점 값은 0~1이다. 일정 기간 또는 특정 경기에서 기록한 기대득점 합계가 높을수록 득점이 기대되는 장면을 많이 만들었다는 뜻이다. 팀별 기대 득점 기록에서는 대구FC가 9.58로 최고 자리에 올랐다. 전북(8.88), 제주(6.95), 서울(6.05), 포항(5.90)이 그 뒤를 이었다. K리그2에서는 전남의 공격수 발로텔리의 결정력이 눈에 띈다. 13개의 슈팅을 시도해 3골을 넣었다. 기대 득점값은 2.90이었다. 김정환(서울E, 2.40)과 까데나시(서울E, 2.33)의 분전은 서울이랜드의 뒷심을 상징하는 존재들이다. 그밖에 티아고(안산, 2.23)와 박인혁(전남, 1.88)이 기대 득점 TOP 5에 포함됐다. 기대 득점 수치는 슈팅 지점 좌표, 골문과 거리, 골문에 대한 각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산출한다. K리그 공식 부가 데이터 생산업체 비프로일레븐이 보유한 10만 회 이상의 슈팅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를 활용해 개별 슈팅 찬스의 기대 득점 값을 뽑아내는 방식이다. ▲ xG 순위 분석, 제카 승점 몰고 온 희망의 불쏘시개 제카는 190cm의 장신 공격수다. 제공권 싸움에만 강점이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공중과 그라운드를 가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슈팅을 시도한다. 골문 앞 위치 선정 능력이 탁월해 득점에 근접한 장면을 많이 만든다. 9월에는 자그마치 15개의 슈팅을 시도했다. 득점으로 완성된 것은 1골에 불과하지만 득점 가능성이 높은 슈팅이 많았다. 매 경기 골에 근접한 슈팅이 터졌다. 상대 골키퍼의 선방에 막히거나 골포스트를 살짝 비켜난 슈팅 등 문전에서 특히 위협적이었다. 기대 득점에서 최고 수치(2.90)를 기록한 배경이다. 제카의 영향력은 문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센터서클까지 내려서거나 좌우 측면으로 이동하며 연계 플레이에도 적극성을 보인다. 32라운드 제주전에서는 대구가 1-2로 끌려가던 후반 20분, 드리블에 이은 패스로 고재현의 동점골을 끌어냈다. 33라운드 서울전에서도 고재현의 선제골과 세징야의 연속골로 연결된 전진 패스와 오픈 패스로 팀의 3-0 승리에 기여했다. 제카가 공격 포인트를 기록한 날 대구는 어김없이 승점을 쌓았다. 9월 초까지 강등권(11위)에 머물던 대구는 꾸준히 승점을 확보한 덕에 9월 말 9위까지 올라섰다. 대구는 팀별 기대 득점에서도 최고 수치(9.58)를 기록했다. 5경기에서 모두 80개의 슈팅을 시도했다. 제카 외에 세징야, 고재현, 이근호 등 발 빠르고 침투에 능한 공격수들이 득점에 근접한 장면을 만드는 데 힘을 모았다. 역습 시 상대 지역에서 반드시 유의미한 슈팅으로 움직임을 마무리하는 팀 컬러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다. ▲ 득점/xG 순위 분석, 바로우 득점 활약, 파이널 라운드 동력으로 기대 득점 대비 실제 득점 기록에서 눈에 띄는 선수는 바로우(전북)다. 기대 득점 값은 2.09인데 실제로는 6골을 터뜨렸다. 기대 득점 대비 득점(득점/xG) 수치는 2.87에 이른다. 바로우는 득점보다 기회 창출에 주력해온 공격 자원이다. 폭발적인 스피드를 앞세워 측면과 중앙을 오가며 상대를 흔들었다. 9월에는 부쩍 집중력이 높아졌다. 볼 배달뿐 아니라 적극적인 슈팅으로 마무리에 욕심을 냈다. 전북이 결정적인 득점 기회를 잡을 때면 어김없이 바로우의 침투나 패스 혹은 슈팅 장면이 나왔다. 해결사로 거듭난 바로우 덕에 전북은 파이널 라운드까지 ‘우승 싸움’을 이어갈 수 있는 동력을 얻었다. 팀별 기록으로는 포항의 뒷심이 돋보인다. ‘득점/xG’ 수치가 1.53으로 나왔다. 9월 기대 득점 총합은 5.90이지만 실제 득점은 9골이었다. 슈팅의 질은 리그 평균보다 조금 높은 정도지만 실제 결정력이 타 팀을 압도했다는 뜻이다. 전북과 함께 9월 한 달간 K리그1에서 가장 많은 골을 기록한 팀이었다. ▲ 90분당 xG 순위 분석, 한교원, 시간을 지배하는 파괴력 바로우만큼 전북에 힘을 실어준 공격 자원은 한교원이다. 효율적인 움직임으로 팀 공격을 지원했다. 한교원은 9월 5경기에 출전해 275분을 소화했다. 경기당 평균 55분을 뛰었다. 아홉 차례 슈팅 시도에 2골을 터뜨렸다. 90분간 뛴 선수와 동일한 조건으로 산출한 90분당 기대 득점 값에서 0.74를 기록했다. 기대 득점 TOP20 내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출전 시간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득점 가능성이 높은 장면을 가장 많이 만들어낸 선수였다. ▲ 가장 어려운 골을 성공시킨 선수는 누구? 9월에 가장 넣기 어려운 골을 성공시킨 선수는 안현범(제주)이었다. 29라운드에서 수원FC를 상대로 탁월한 솔로 플레이로 골을 터뜨렸다. 하프라인 부근에서 긴 패스가 넘어온 순간, 미드필드 오른쪽에 있던 안현범은 상대 수비 두 명을 제치고 페널티 지역까지 침투했다. 박스 안에 상대 수비수들이 진을 치고 있었지만 타이밍을 빼앗는 슈팅으로 골망을 흔들었다. 사이드백이라는 포지션, 상대 수비 밀집도, 드리블에서부터 슈팅에 이르기까지 득점 가능성이 높지 않은 장면의 연속이었다. 그럼에도 골 맛을 보는 데 성공했다. 안현범의 기대 득점 값은 0.029였다. 김지현(김천)의 골도 인상적이었다. 31라운드 제주전에서 ‘원더골’을 터뜨렸다. 미드필드 오른쪽에서 중앙으로 이동하며 왼발 중거리 슛으로 골을 넣었다. 해당 슈팅의 기대 득점값은 0.033이었다. 인천의 이강현 역시 어려운 골을 넣었다. 31라운드에서 수원을 상대로 선제골을 넣었다. 아크 오른쪽에서 터진 이강현의 중거리 슛이 골망을 흔들었다. 기대 득점값은 0.033이었다. 김희웅 기자 sergio@edaily.co.kr 2022.10.07 10:44
프로축구

7월 K리그 ‘기대 득점’ 1위... 울산 중앙 공격수 레오나르도

7월 한 달 간 프로축구 K리그1(1부)에서 가장 위협적인 존재감을 보인 선수는 울산 현대의 공격수 레오나르도(브라질)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이 9일 발표한 2022시즌 7월 K리그1 선수별 기대득점 자료에 따르면 레오나르도의 7월 기대득점(xG)의 합은 2.48로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레오나르도에 이어 바로우(전북, 2.04), 라스(수원FC, 2.01), 발샤(강원, 1.95), 고재현(대구, 1.91)이 선수별 기대득점 상위 다섯 명 안에 들었다. 7월 기대득점 자료에서는 외국인 선수들의 존재감이 두드러졌다. 팀마다 상대 공격수에 대한 적응과 분석이 끝나고 집중적인 견제가 이뤄지는 시점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탁월한 테크닉 혹은 압도적 피지컬로 강점을 가진 외국인 공격수들의 마무리 능력이 좀 더 통했다고 볼 수 있다. 팀별 기대득점 기록에서는 대구FC가 7.74로 최고 자리에 올랐다. 울산(7.28), 전북(7.20), 서울(7.19), 성남(6.93)이 그 뒤를 이었다. K리그2에서는 경남의 베테랑 공격수 고경민이 7월 한 달간 결정적인 장면을 가장 많이 만든 선수였다. 5경기에 출전해 15차례 슈팅을 시도했고, 2골을 만들어냈다. 7월 기대득점값의 합은 3.54였다. 팀 동료 티아고(2.70), 박인혁(전남, 2.32), 김경준(2.13), 두아르테(이상 안산, 1.84)와 함께 기대득점 TOP 5에 들었다. 기대 득점은 슈팅 기회가 득점으로 연결될 확률을 뜻한다. 슈팅 1개의 기대 득점 값은 0~1이다.일정 기간 또는 특정 경기에서 기록한 기대득점 합계가 높을수록 득점이 기대되는 장면을 많이 만들었다는 뜻이다. 기대 득점 수치는 슈팅 지점 좌표, 골문과 거리, 골문에 대한 각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산출한다. K리그 공식 부가 데이터 생산업체 비프로일레븐이 보유한 10만회 이상의 슈팅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를 활용해 개별 슈팅 찬스의 기대 득점 값을 뽑아내는 방식이다. ▲xG 순위 분석, 레오나르도, 대권 도전 울산의 '마스터 키' 울산은 K리그1에서 가장 센 화력을 자랑하는 팀이다. 득점원이 다양하다. 뚜렷한 캐릭터를 가진 공격자원이 많아 다채로운 조합이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레오나르도는 개인 능력을 활용한 솔로플레이에 특화한 공격수다. 스스로 해결하는 능력은 물론 동료를 지원하는 패서로서의 역할도 곧잘 해낸다. 7월에는 팀의 최전방에서 공격 센스와 마무리 능력을 모두 부지런히 입증했다. 5경기에서 10차례 슈팅을 시도해 2개의 골을 만들었다. 레오나르도의 기대득점 수치는 2.48이다. 레오나르도는 스스로 득점에 가까운 기회를 가장 많이 만들어냈을 뿐만 아니라 동료들을 위한 연결고리 역할도 충실히 해냈다. 전형적인 타깃맨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수비를 등지고 버텨주는 힘과 센스가 탁월했다. 22라운드 수원전에서 이규성의 득점 과정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이청용, 바코, 엄원상 등 2선 자원들의 침투와 스위칭 플레이가 자유롭게 이뤄지는 것도 레오나르도의 존재감 덕분이다. 팀별로는 대구의 기대득점값이 가장 높았다. 7.74로 울산(7.28)보다 높았다. 골로 연결할 확률이 높은 슈팅을 많이 시도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실제 득점은 4골에 그쳤다. 결정적인 장면을 많이 만들어내고도 결정력에서 아쉬움을 보였다. 21라운드 울산전까지 12경기 연속 무패를 이어가면서도 화끈하게 반등을 이루지 못한 이유 중 하나다. ▲득점/xG 순위 분석, 김승대, 2골 받고 2골 더! 기대득점 대비 실제 득점에서 인상적인 선수는 김승대(포항)다. 기대득점값은 1.38인데 실제로는 4골을 넣었다. 기대득점 대비 실제 득점 수치는 2.89로, 기대득점 TOP 20 선수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김승대는 7월에만 4골을 기록했다. 19라운드 울산과 ‘동해안더비’에서 2골을 넣었고 20라운드 성남전에서 후반 45분만 소화하고도 2득점에 성공했다. ‘라인 브레이커’라는 별명답게 수비 뒷공간을 파고드는 움직임과 간결한 슈팅으로 득점 기회를 창출했다. 팀별로는 강원FC의 화력이 눈에 띈다. 7월 기대득점 총합은 6.46으로 리그 평균에 가깝지만 실제로는 11골을 기록했다. ‘득점/xG’ 수치는 1.70으로 K리그1에서 가장 높았다. 매 경기 득점을 기대할 수 있는 장면을 많이 만든 것은 물론 실제로도 경기당 평균 2골을 상회하는 집중력을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90분당 xG 순위 분석, 발샤, 강원 공격축구에 힘 싣는 존재감 7월에 큰 도약을 이룬 팀은 강원이다. 6월까지 하위권에 머물던 강원은 7월 들어 중위권으로 뛰어올라 파이널A 진입을 노리고 있다. 세밀함에 스피드가 더해진 공격축구가 폭발력을 드러냈다. 양현준과 김대원이 주도하는 측면 공격과 부상에도 활력을 더한 이정협의 분투가 빛났다. 여기에 힘을 싣는 존재가 시즌 중 합류한 외국인 공격수 발샤다. 발샤는 7월 5경기에서 201분을 뛰었다. 경기당 평균 40분 남짓 소화했다. 출전 시간은 많지 않지만 존재감은 뚜렷했다. 90분 간 뛴 선수와 동일한 조건을 산출한 90분당 기대득점값에서 0.87을 기록했다. 기대득점 TOP20 내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짧은 시간 동안 득점 가능성이 높은 장면을 가장 많이 만들어냈다는 뜻이다. 실제로는 2골을 넣었다. 기대득점값(1.95) 이상의 활약을 펼쳤다. ▲ 어려운 골을 성공시킨 선수는 누구? 7월에 가장 넣기 어려운 골을 성공시킨 선수는 김진수(전북)였다. 21라운드에서 인천을 상대로 왼발 중거리슛으로 골을 터뜨렸다. 센터서클 왼쪽 부근에서 공을 잡아 전방까지 직접 몰고 올라선 뒤 페널티박스 정면에서 왼발로 중거리슛을 시도했다. 해당 슈팅의 기대득점값은 0.025였다. 수비수라는 포지션 특성상 슈팅 기회가 흔치 않은 데다 드리블을 통한 소유와 슈팅에 이르기까지 과정, 골대와 거리가 먼 지점에서의 슈팅이었다는 점 등이 반영된 수치였다. 김진수 다음으로 낮은 기회를 골로 연결한 선수는 박수일(성남)이었다. 25라운드 인천전에서 환상적인 감아차기 중거리슛으로 득점에 성공했다. 골대에서 거리가 멀었고 상대 수비수들이 밀집한 지점에서 불시에 터진 슈팅이었다. 기대득점값은 0.026이었다. 수원FC와 대구의 25라운드 경기에서 나온 정재용의 골도 기대 이상의 완성도를 자랑했다. 라스의 슈팅이 골키퍼에 맞고 뒤로 흐르자 후방에 있던 정재용이 번개처럼 튀어나와 2차 슈팅으로 마무리했다. 역시 중거리 골이었다. 기대득점값은 0.030이었다. 김영서 기자 2022.08.09 18:33
프로축구

'기대 득점 최고' 포항 허용준, 6월 가장 위협적인 공격수

6월 한 달간 K리그1에서 가장 위협적인 존재감을 보인 선수. 바로 포항 스틸러스 공격수 허용준(29·포항 스틸러스)이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6일 6월 K리그1 선수별 기대 득점 자료를 발표했다. 허용준이 2.35로 기대 득점(xG)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그는 13개의 슛을 시도해서 한 골을 성공했다. 출전 시간을 고려하면 놀라운 활약상이다. 허용준은 6월 3경기에서 경기당 평균 55분을 소화했다. 90분간 뛴 선수와 동일한 조건으로 산출한 90분당 기대득점값에서 1.28을 기록했다. 짧은 시간 동안 결정적인 기회를 가장 많이 만들어낸 선수라는 의미다. 6월 기대 득점 값에서 2점대를 기록한 유일한 선수다. 허용준은 3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 득점은 한 골에 불과하지만, 슛은 13개에 달한다. 특히 18라운드에서 김천 상무를 상대로 홀로 8개의 슛을 시도했다. 팀 전체 슛(15개)의 절반을 상회하는 숫자다. 허용준 다음으로 기대 득점 값이 높은 선수는 주민규(제주 유나이티드)다. 주민규의 xG는 1.96이었다. 허용준과 주민규는 각각 4월과 5월, 이 부문에서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두 선수 모두 피니셔로서 존재감이 두드러진다. 문전에서의 마무리에 뛰어난 집중력을 보인다. 구스타보(전북 현대·1.75), 엄원상(울산 현대·1.71), 라스(수원FC·1.55)가 선수별 기대득점 TOP5에 들었다. 팀별 기대 득점 기록에서는 울산이 6.60으로 최고 자리에 올랐다. 전북(5.75), 제주(5.70), 포항(4,96), 강원(4.54)이 그 뒤를 이었다. 기대 득점 20위 내 선수 중, 기대 득점 대비 실제 득점 부문에서 최고 수치를 기록한 선수는 이승우(수원FC)다. 기대 득점 값은 0.99인데 실제로는 3골을 넣었다. 기대 득점 대비 득점(득점/xG) 값은 3.03이다. 3경기에서 시도한 이승우의 슛은 6개에 불과하다. 득점 기회가 많지 않았고, 그마저 골을 기대하기 힘든 위치와 상황이었음에도 득점을 완성했다는 의미다. 6월에 가장 어려운 골을 성공한 선수는 팔로세비치(FC서울)였다. 팔로세비치는 18라운드 울산전에서 전반 5분 선제골을 터뜨렸다. 조영욱이 내준 패스를 받아 페널티박스 정면에서 왼발 감아차기로 울산 골망을 흔들었다. 해당 슛의 기대 득점 값은 0.029에 불과했다. 골대와 거리가 멀었고, 상대 수비수가 5명 이상 포함됐다는 점 등이 xG 계산에 반영됐다. 팔로세비치 외에 장혁진(수원FC)과 바코(울산)의 골도 주목할 만하다. 장혁진은 18라운드 수원 삼성전에서 전반 5분, 2-0으로 달아나는 득점을 터뜨렸다. 코너킥 상황에서 흘러나온 공을 잡아 슛을 시도했다. 골문 앞에 15명의 선수가 모여 있었다. 기대 득점 값은 0.044였다. 바코 역시 17라운드 서울전에서 어려운 골을 완성했다. 기대 득점 값은 0.044였다. 페널티지역 내 밀집도가 높은 상황, 골문에 대한 각도 등이 반영된 수치다. 김영서 기자 2022.07.06 12:39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