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11건
산업

대기업 후계자 중 사내이사 최다 겸직 코오롱 이규호, 이유는

코오롱그룹이 새로운 시대를 알리고 있다.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회장이 ‘4세 경영’에 속도를 내면서다. 지난달 지주사 코오롱의 사내이사로 선임된 그는 그룹의 지휘봉을 본격적으로 잡았다. 특히 지주사를 포함한 핵심 계열사 4곳의 사내이사에 이름을 올리며 그룹 전반에 새로운 바람을 예고하고 있다. 재벌 후계자 중 사내이사 겸직 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그룹의 후계자 중 이규호 부회장이 가장 많은 사내이사 명함을 갖고 있다.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선임안이 통과되면서 이 부회장은 ㈜코오롱,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벌, 코오롱모빌리티 4곳의 사내이사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출범한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외 나머지 3곳은 올해부터 경영 최전선에 합류했다. 이 부회장은 그룹 전반에 깊숙이 관여하며 책임경영 강화에 나서고 있다. 재벌 후계자 중 최다 사내이사를 겸직하며 새로운 코오롱을 찾기 위한 밑그림 작업에 돌입했다. 지주사뿐 아니라 계열사의 이사회까지 참여하면서 그룹 전반에 영향력을 펼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주요 그룹 후계자 중 종전까지 가장 많은 사내이사 명함을 가진 인물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었다. 그는 ㈜한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솔루션 3곳의 사내이사를 맡고 있고, 한화오션에서는 기타비상무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은 HD현대와 HD한국조선해양 2곳의 사내이사를 겸직하고 있다. 코오롱은 이 부회장의 지주사 사내이사 선임으로 이웅열 명예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지 5년 만에 ‘오너 경영’으로 회귀를 알렸다. 오너가 중에는 법적인 책임을 피하기 위해 미등기임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부회장은 정면돌파를 선언했다. 그룹의 체질 개선과 신사업 발굴에 적극적으로 관여해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1984년생인 이 부회장은 이웅열 명예회장의 외아들이다. 2012년 코오롱인더스트리 구미공장 차장으로 입사해 경영 수업을 시작했고, 코오롱글로벌 부장, 코오롱인더스트리 상무보를 거쳤다. 2015년 당시 임원으로 승진하며 100대 기업 최연소 임원으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어 ㈜코오롱 전략기획담당 상무 등을 역임하며 그룹 내 주요 사업을 두루 경험했다. 2022년 말 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한 데 이어 1년 만에 부회장직에 오르며 후계자 입지를 다졌다. 코오롱 관계자는 “그룹의 미래 가치를 높이고 위기 속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는 과정에서 이규호 부회장의 역할이 더욱 확대됐다”고 했다. '뉴코오롱' 미래 먹거리 찾기 주력 코오롱그룹이 ‘오너 4세 시대’를 맞아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 수 있을지 관심사다. 코오롱은 한때 재계 10위를 넘봤지만 현재는 30위권에 머물고 있다. 이규호 부회장은 옛 영광을 찾기 위한 탄탄한 기초체력을 다질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은 2023년 공정거래위원회 발표 재계 순위에서 42위에서 39위로 3계단 순위가 상승했다. 2000년 재계 20위였던 코오롱이 가야할 길은 아직 멀지만 2021년과 2022년 하락 이후 다시 반등의 분위기를 연출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행보가 기대된다. 2023년 처음으로 공정위 집계 공정자산 총액 12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해 실적이 좋지 않았고,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해 올해 전망도 썩 밝지 않다. 코오롱은 지난해 매출 5조8895억원, 영업이익 103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이 66.6%나 감소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매출은 5조612억원, 영업이익 1574억원이었다. 코오롱글로벌은 건설경기 악화로 매출 2조6639억원, 영업이익 143억원을 기록했다. 그래도 이규호 부회장이 진두지휘했던 코오롱모빌리티는 출범 첫 해에 매출 2조4030억원을 달성하는 등 성장세를 보였다. 코오롱모빌리티는 라인업 확대와 사업구조 개편 등을 통해 2025년 매출 3조6000억원, 영업이익 1000억원 달성을 내걸고 있다. 코오롱글로벌도 2025년 매출 3조8000억원, 영업이익 2900억원 목표를 겨냥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사내이사를 맡은 계열사에 모두 몸담았고, 직접 부딪히며 현장 경험을 했기 때문에 누구보다 내부 사정을 잘 알고 있다는 평이다. 그는 “과감한 체질 개선으로 1등 DNA를 심는다”는 의지로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의 재편을 주도하기도 했다. 이제 코오롱그룹의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하며 미래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수소와 고부가가치 사업 등이 미래 먹거리로 꼽히고 있다. 이 부회장은 “코오롱은 2000년대 초부터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미래를 내다보고 핵심소재 개발과 수소경제 저변 확대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코오롱 관계자는 “이규호 부회장이 그룹의 사업 전반을 다양하게 검토하며 미래 전략을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해 탄탄히 토대를 다져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4.18 07:01
산업

LG전자 3년 연속 최대 매출...다만 4분기 개별 영업손실 1750억

LG전자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수요 감소에도 3년 연속 최대 매출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좋지 않았다. LG전자는 25일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3조5491억원으로 전년보다 0.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84조2278억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순이익은 1조1506억원으로 38.2% 줄었다.사업본부별로 보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는 작년 매출액 30조1395억원을 기록했다. 구독 등 새로운 사업모델을 도입하고 냉난방공조(HVAC), 부품, 빌트인 등의 기업간거래(B2B) 비중을 확대한 덕분이다.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6% 이상 늘어난 2조78억원을 기록했다.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작년 매출액 10조1476억원, 영업이익 1334억원을 기록했다. VS본부는 출범 10년 만에 매출액 10조원을 넘겼고, 실적 공시를 시작한 2015년 이후로 8년 연속 성장했다. 전체 연결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까지 올라갔다.LG전자에서 생활가전 사업과 전장 사업을 합친 매출 규모는 8년 전 18조원 수준에서 지난해 40조원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두 사업이 연결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5%에서 47.8%까지 늘어났다.다만 LG전자의 작년 4분기 실적만 놓고 보면 지난 1∼3분기 대비 수익성이 급감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351.8% 늘어난 3131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23조1041억원과 764억원이었다.H&A사업본부는 4분기에 115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고, HE사업본부와 BS사업본부도 각각 722억원, 89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VS사업본부는 5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자회사인 LG이노텍의 실적(4837억원)을 제외하면 LG전자의 4분기 영업손실은 1749억원으로 작년 동기(-1042억원) 대비 적자 폭이 커졌다.LG전자는 올해 미래지향적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사업 잠재력 극대화 차원의 한계 돌파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1.25 16:26
산업

KT&G, 3분기 매출 1조6895억원…"역대 분기 최대 매출"

KT&G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작년 동기보다 4% 증가한 1조6895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를 거둔 것으로 잠장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영업이익은 0.3% 증가한 467억원을 기록했고, 순이익은 3333억원으로 28% 줄었다.해외 궐련 중심의 담배 사업 부문이 매출 성장세를 이끌었다. 3분기 담배 사업 부문 매출액은 9727억원으로 3%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0.6% 증가한 2천694억원이다.해외 궐련 매출액은 3216억원으로 26.3% 늘었다. 수출과 해외법인의 판매량이 동반 성장하며 전체 해외 궐련 수량은 148.2억 개비로 작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국내외 전자담배 사업부문의 성장세도 지속됐다. 국내 전자담배 스틱 매출 수량은 14억5000만 개비, 해외 스틱 매출 수량은 20억3000만 개비로 각각 13.3%, 22.3% 증가하며 두 자릿수의 고성장을 이어갔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11.09 17:28
IT

카카오, 2분기 영업익 34%↓…톡비즈 부진

카카오가 핵심 수익원인 톡비즈의 부진으로 역성장했다.카카오는 2023년 2분기 영업이익이 113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다고 3일 밝혔다. 매출은 2조425억원으로 12% 늘었다.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9887억원이다.이 중 톡비즈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 감소한 5030억원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비즈보드와 카카오톡 채널 등 광고형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했다. 선물하기와 톡스토어 등 거래형 매출 전년 동기 대비 21% 성장했다.포털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895억원이다. 플랫폼 기타 매출은 카카오모빌리티의 성장과 카카오페이 해외결제 거래액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3963억원을 나타냈다.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1조538억원이다.스토리 매출은 일본과 북미 거래액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2310억원을 기록했다. 뮤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0% 증가한 4807억원이다.미디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한 735억원이다. 게임 매출은 26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다.올해 2분기 영업비용은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와 데이터센터 다중화, 연결 회사 편입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늘어난 1조9290억원으로 집계됐다.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3.08.03 09:58
경제일반

식품사, 물가 상승에 편승 주머니 채웠나

주요 식품업체들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해외 매출 상승이 호실적을 이끌기도 했지만, 가격 인상을 잇달아 단행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룬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12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롯데제과·SPC삼립 등 3사가 대형 식품기업의 척도로 여겨지는 매출 '3조 클럽'에 새로 가입했다.농심은 2022년 매출 3조1291억원, 영업이익 112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7.5%, 영업이익은 5.7%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1160억원으로 16.5% 증가했다. 농심의 연간 매출이 3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농심과 더불어 지난해 새롭게 SPC삼립도 3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SPC삼립은 매출은 3조3145억원으로 12.5% 증가, 영업이익은 895억원으로 전년 대비 35.3% 늘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532억원으로 31.6% 늘었다. SPC삼립은 “‘돌아온 포켓몬빵’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어 수익성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롯데제과도 지난해 매출 3조원을 넘겼다. 롯데제과의 2021년 매출액은 2조1454억원이었는데 롯데푸드 흡수 합병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액은 4조745억원을 기록했다.이에 연 매출 3조원을 넘기는 식품기업은 2021년까지 CJ제일제당, 동원F&B, 대상, 현대그린푸드 등 4개였는데, 지난해 3곳이 추가돼 7곳으로 늘었다.오뚜기는 아직 실적 공개 전이지만 지난해 매출액이 3조원을 넘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 오뚜기까지 포함하면 식품업계 3조원 클럽은 총 8곳으로 늘어날 전망이다.이미 ‘3조 클럽’에 진입했거나, 곧 진입할 기업들의 지난해 매출도 크게 성장했다.2021년 매출 3조를 돌파한 대상은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17.7% 증가한 4조854억원으로 4조원 돌파를 달성했다. 오리온은 지난해 매출액 2조8732억원, 영업이익 4667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식품사들의 호실적은 가격 인상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대부분의 식품업체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커진 원자재가 부담 등을 이유로 가격을 잇따라 올렸다.1분기에는 주류 업체와 음료 업체가 가격을 올렸고, CJ제일제당의 간편 냉동식품 등의 가격이 올랐다. 2분기에는 농심, 롯데제과, 오뚜기, 풀무원, CJ제일제당 등이 과자와 냉동피자, 햄류 등의 가격을 조정했고, 3분기에는 식용유, 라면, 김치 등의 가격이 인상됐다. 4분기에는 우유 등 유제품과 간장 등의 가격이 상승했다. 이중 농심은 지난해 3월 스낵 가격을 올린 데 이어, 6개월 뒤인 9월 라면 26종, 스낵 23종의 출고 가격을 각각 평균 11.3%, 5.7% 인상했다. 롯데제과도 지난해 4월 과자와 빙과류 등 제품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이달 1일에도 빙과류와 제과류 등 일부 제품 가격을 올렸다.업계 관계자는 "식품 업체들의 가격 인상 주기가 지속 짧아지고 있다"며 "판매 가격 조정은 원부자재 상승 비용을 포함해 향후 상승할 수 있는 가격 폭을 고려해 이뤄지는데, 이런 원칙보다 기업 이윤을 앞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식품 업계의 도미노 인상이 지속될 경우 소비자들이 외면할 수 있다"며 "제품 가격 인상에 대해 불만을 가진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빈도를 줄여 결과적으로 식품 업계의 실적이 곤두박질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식품 업체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식품 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매출 대비 크게 상승하지 않았다"며 "이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 여파가 여전히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즉 올해도 여전히 소비자 가격 인상 요인이 다분하다는 얘기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3.02.13 07:00
IT

SK스퀘어, 2분기 영업익 5093억원…반도체 신규 투자 준비

투자전문회사 SK스퀘어가 올해 연간 매출 5조원을 어렵지 않게 달성할 전망이다. SK스퀘어는 2022년 2분기 매출 1조5290억원, 영업이익 5093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상반기 누적 매출은 2조8501억원, 영업이익은 8895억원이다. 2분기 기준 회사의 차입금은 0원이다. 무차입 경영으로 미래 투자를 위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가져가고 있다. 바이오∙헬스기업 나노엔텍은 약 580억원에 매각했다. 관련 금액은 하반기 재무제표에 반영할 예정이다. SK스퀘어는 올 하반기부터 반도체∙ICT 영역 신규 투자와 국내외 투자자본 유치, 수익 실현 등으로 기업 가치를 증대하고 주주 가치를 제고할 방침이다. 반도체∙ICT 영역에서는 신규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국내외 투자자본을 유치해 전체 투자 규모를 늘리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산하 포트폴리오 회사들의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한 투자 유치와 전략적 제휴 성과를 잇달아 공개할 예정이다. SK스퀘어는 올 상반기까지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3D 디지털휴먼 제작사 온마인드·국내 최대 농업 혁신 기업 그린랩스·글로벌 게임사 해긴에 투자해 포트폴리오 회사를 총 19개로 늘렸다. 투자 대상 기업들은 글로벌 거시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투자 시점 대비 높은 기업 가치를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또 자회사 티맵모빌리티는 사업 혁신을 위해 공항버스 업체 2곳을 인수하는 등 볼트온(연관 기업 인수) 투자 성과도 있었다. SK스퀘어는 유연한 수익 실현을 지속해 미래 투자를 위한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주주 가치 제고에 힘쓸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주주 환원이 법적으로 가능해지는 2023년부터 투자 수익 실현 시 자사주 매입∙소각 또는 특별배당으로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정재헌 SK스퀘어 투자지원센터장은 "글로벌 유수 투자전문회사들은 거시경제의 흐름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있다"며 "기업 인수·합병에 좋은 기회가 올 수 있는 시기인 만큼 활발한 신규 투자와 투자 수익 실현으로 주주 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kjkj@edaily.co.kr 2022.08.16 17:13
IT

'5G 효과' SKT, 1분기 영업익 15.5.% 증가…예상치 웃돌아

SK텔레콤이 5G·IPTV 선전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다. SK텔레콤은 2022년 1분기 영업이익이 43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2772억원으로 4% 늘었다. 당초 증권가는 SK텔레콤의 1분기 영업이익이 3000억원 후반대를 나타낼 것으로 봤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SK텔레콤은 "5G 가입자가 100만명 이상 증가하며 이동통신사업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했다"고 말했다. SK브로드밴드는 2021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IPTV 가입자 순증 1위를 달성했다. 올해 SK텔레콤은 5대 사업군을 중심으로 수익 구조를 다변화한다. 구독서비스 'T우주'는 최근 이용자 100만명을 넘어섰다. 총 상품 판매액(GMV)은 1분기에만 1300억원을 돌파했다.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서비스 '이프랜드'도 3월 기준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35만명을 찍었다. 현재 해외 통신사들과 글로벌 진출을 논의하고 있다. 미디어 사업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3% 성장했다. SK스토아는 1분기 매출 895억원을 기록하며 국내 T커머스 매출 1위에 올랐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엔터프라이즈 사업의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했다. 지난해 7월 오픈한 가산·식사 데이터센터는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한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차기 데이터센터도 준비 중이다. 이용량이 늘어난 클라우드 서비스의 매출도 오름세를 보인다. SK텔레콤은 5G 인프라 고도화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2794억원의 설비투자(CAPEX)를 집행했다. 4년 연속 3조 원대의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도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방침이다. 김진원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5대 사업군을 중심으로 성장과 혁신을 창출하는 한해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2.05.10 10:52
게임

넷마블, 해외 매출 2분기 연속 역대 최고 기록

넷마블이 지난 3분기에 선방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모두 늘었다. 특히 해외 매출은 2분기 연속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넷마블은 지난 3분기 매출 6423억원, 영업이익 874억원, 당기순이익 925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넷마블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1조8609억원, 영업이익 1895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매출(6,423억원)은 전 분기 보다 6.3%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3.6% 증가했다. 영업이익(874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3.6%, 전 분기 대비 7.0% 늘었으며, 당기순이익(925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9.2%, 전 분기 대비 8.6% 상승했다. 3분기 매출 중 해외매출(4787억원) 비중은 전 분기와 같은 75%로 2분기 연속 분기 기준 역대 최고 기록을 이어갔다. 올해 3월 북미와 일본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출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를 필두로 ‘마블 콘테스트 오브 챔피언스’와 ‘리니지2 레볼루션’, ‘블레이드앤소울 레볼루션’, ‘쿠키잼’ 등 인기 게임들이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4분기에도 해외 매출이 기대된다. 지난 10일 글로벌 마켓에 선보인 ‘A3: 스틸얼라이브’와 이달 18일 출시 예정인 ‘세븐나이츠2’, 전 세계 게이머들의 기대를 받고 있는 신작 ‘마블 렐름 오브 챔피언스’ 등이 글로벌 시장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넷마블은 내다봤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는 “4분기는 자체 IP인 ‘세븐나이츠2’와 자회사 카밤의 ‘마블 렐름 오브 챔피언스’ 등을 통해 긍정적인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며 “내년은 ‘제2의 나라’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마블 퓨처 레볼루션’ 등 신규 기대작들이 다수 포진한 만큼 글로벌 게임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시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oongang.co.kr 2020.11.11 18:42
경제

[비즈톡] SK하이닉스, 반도체 값 하락에도 1조3000억 벌어 外

SK하이닉스, 반도체 값 하락에도 1조3000억 벌어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에 반도체 가격 하락에도 1조3000억원을 벌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 8조1288억원, 영업이익 1조2997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작년 3분기 대비 각각 18.9%, 175% 증가한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와 원격수업, '집콕' 수요 증가 등으로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3분기에도 1조3000억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미국의 중국 화웨이 규제로 인한 긴급주문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2분기에 비해서는 각각 매출은 6%, 영업이익은 33% 감소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1조9467억원이었다.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이날 실적 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인텔 낸드 부문 인수로, 향후 3년 이내에 낸드의 자생적 사업역량을 확보하고 5년 내에는 하이닉스의 낸드 매출을 인수 전 대비 3배 이상 성장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SK하이닉스의 낸드 매출액은 45억5200만달러, 한화로 5조2000억원 정도다. 이를 감안하면 2025년에 낸드 매출만 15조원 이상의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것이다. 카카오게임즈, 3분기 역대 최고 분기 실적 기록 카카오게임즈가 지난 9월 상장 이후 처음으로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적이 역대 최고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카카오게임즈는 3분기 매출액 1505억원, 영업이익 212억원을 올렸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54.2%, 177.7% 증가한 것이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697%, 지난 분기 대비 약 60% 증가한 270억원을 기록했다. 김기홍 카카오게임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하면서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매출을 부문별로 보면 모바일 게임은 기존 주력 게임들이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는 가운데 신작 '가디언 테일즈'의 매출이 더해져 작년 3분기보다 104.1% 성장한 895억원을 달성했다. PC온라인 게임 부문은 코로나19 영향에도 해외 성과가 유지되며 전년보다 13.3% 증가한 43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자회사 카카오VX와 신사업 부문으로 구성된 기타 매출은 골프 수요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약 13.7% 늘어난 17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 3분기 순익 406억원…작년보다 600% 증가 카카오뱅크는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 406억원을 거뒀다고 4일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58억원)보다 600% 증가한 것이다.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859억원으로 전년 동기(154억원) 대비 458% 늘었다. 카카오뱅크는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흑자 기조를 이어갔으며 수수료 수익 확대로 비이자 부문이 흑자로 전환했다. 3분기 기준 순수수료이익은 41억원, 1~3분기 누적 순수수료이익은 3억7000만원이다. 작년 1~3분기 누적 수수료 순손실 규모는 391억원이었다. 3분기 기준 순이자이익은 1079억원으로, 대출 자산 증가로 인해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올해 1~3분기 누적 순이자이익은 2908억원으로 전년 동기(1732억원) 대비 67.9% 증가했다. 9월말 기준 순이자마진(NIM)은 1.64%였다. 2020.11.05 07:00
연예

자이글, 코스닥 상장 1주년 기념 이벤트 진행

웰빙 기업 자이글이 코스닥 상장 1주년을 맞아 고객사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자이글은 오는 30일까지 홈페이지 쇼핑몰에서 그릴류를 구매한 모든 고객에게 서서하는 목베개 ‘넥시블’(1개)을 주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구매 고객 중 10명을 추첨해 구매한 그릴을 1대 더 제공하는 ‘1+1’ 혜택도 마련했다. 당첨자는 오는 10월 18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2015년 1000억원대 매출기업에 오른 자이글은 2016년 9월 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2016년 기준 자기자본 813억원과 자기자본이익률(ROE) 16.8%를 기록했으며 최근 3개년 평균 순이익 및 매출액이 각각 112억원과 895억원이다. 자이글은 웰빙가전, 헬스케어, 외식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웰빙 기업으로 웰빙가전 ‘자이글 그릴’과 헬스케어 웰빙용품 ‘넥시블’이 대표 제품이다. 2009년 10월 첫 홈쇼핑 방송을 시작으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6대 홈쇼핑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권오용 기자 bandy@joongang.co.kr 2017.09.08 15:43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