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경제

코로나가 바꾼 명절 편의점…설 자율 휴무제에도 문 연다

설 연휴에도 대다수의 편의점이 문을 열 전망이다. 명절 자율 휴무제 도입으로 설 연휴 휴점이 가능하지만, 코로나19 여파에 ‘혼설족(혼자 설을 보내는 사람들)’이 늘어난 데다 밸런타인데이까지 겹쳐 매출 기대감이 높기 때문이다. 업계는 문을 닫는 대신 도시락 상품을 강화하고, 밸런타인데이 상품 구색을 늘리는 등 설 특수 잡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설 당일에도 편의점은 '열일' 중 9일 업계에 따르면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이 지난달 1일부터 7일까지 설 당일 문을 닫는 가맹점의 신청을 받은 결과, 신청 점포는 총 1100여 곳으로 집계됐다. GS25의 작년 11월 말 점포 수가 1만4520개 정도로 추산할 때 대략 7.6%만 설 당일 문을 닫는 셈이다. CU도 같은 기간 휴무 신청을 받은 결과, 설 당일 점포의 10%가량만 문을 닫기로 했다. 작년 기준 CU 점포 수가 1만4898개인 것을 고려하면 올해 설에는 1500여 개가 문을 닫을 것으로 보인다. 세븐일레븐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해 연휴에는 전체 매장의 7.1%에 해당하는 750곳이 문을 닫았지만 이번 설에 쉬는 매장은 6.6%인 700여 곳으로 줄었다. 현재 전국에는 1만500여 개의 세븐일레븐 가맹점이 있다. 이마트24도 설 당일 영업하지 않는 가맹점 비율은 전체(5300여 점)의 26.4%(1400여 곳)로 지난해보다 1.3% 포인트(p) 감소했다. 이처럼 명절 자율 휴무제를 도입에도 불구하고 올해 설날 문 여는 편의점이 되레 늘어난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설 연휴에 가까운 편의점을 찾는 고객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있어서다. 실제 코로나19가 우리나라를 강타한 지난해 명절(설+추석) 기간 편의점 도시락 매출은 전년도 명절 대비 35.0% 증가했다. 2018년 25.9%, 2019년 23.5%보다 10%p(포인트)가량 높았다. 업계 관계자는 "2019년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열풍으로 명절 휴무제를 도입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휴점 대신 영업을 택하는 가맹점이 늘고 있다"며 "명절을 주말의 연장으로 생각하고 매출 활성화를 위해 정상 영업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욱이 구인·구직 업체 사람인이 직장인 14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올해 설 연휴에 고향 방문 대신 집에 머물 계획으로 나타났다. 문 열고 손님맞이 분주 편의점 본사는 설 당일 문을 여는 가맹점이 늘자, 먹거리 상품을 강화하는 등 적극 지원에 나서고 있다. GS25는 혼자 설을 보내는 이들을 위해 '새해복많이받으소' 도시락을 선보였다. 매년 명절이면 출시되는 제품이지만 올해는 특히 '혼설족'들이 늘어난 만큼 역대급 구성으로 준비했다. 도시락의 중량을 일반 도시락 대비 1.2배 수준으로 늘렸다. GS25는 특히 명절 연휴 중 긴급 구매가 이뤄지는 안전 상비 의약품 물량을 확대하고, 현금인출기(ATM/CD) 사전 점검을 완료하는 등 명절 맞이 준비에 착수했다. 이마트24도 명절 대표 음식인 떡국과 만두 도시락을 출시했다. 명절 기간에는 편의점 떡국과 만두 제품의 매출이 수직으로 상승한다. 지난해 설 연휴 떡국, 냉동만두 매출을 확인한 결과, 직전 주 동기간 대비 각 97%, 52% 늘었다. 이마트24가 올해 설을 맞아 출시한 떡만두국세트는 전자레인지만으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명절 음식으로 즐기기 좋은 피코크 직화구이 떡갈비나 빈대떡 등 피코크 간편 먹거리 상품도 많아졌다. 이마트24는 또 집에서 술을 즐기는 이들을 위해 주류와 안주 마케팅도 강화했다. 특히 특별한 기념일에 즐기기 좋은 감성맥주인 독일 프리미엄 크래프트 맥주 'SA.RANG.HAE(사랑해)'도 판다. 지난해 2월 대비 상품 종류를 70% 늘려 260여 종의 맥주와 와인 등 주류 할인도 한다. 업계는 설 연휴 편의점 최대 명절인 밸런타인데이(14일)가 겹친 만큼 관련 상품 출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GS25는 카카오프렌즈 7종·어몽어스 4종 등 총 17종의 단독 협업 상품을 선보이고, CU는 말표 구두약, 서울랜드 지구별 협업 상품을 내놨다. 세븐일레븐은 시멘트 브랜드 ‘천마표 시멘트 팝콘’를, 이마트24는 하이트진로 두꺼비와 손잡고 두꺼비 굿즈 2종(저금통세트·컵세트)을 출시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02.10 07:00
연예

추석 연휴, '피부 고민 대처법'이 필요하다

해마다 명절 연휴면 즐거운 마음으로 귀성이나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올 추석은 대체 휴무제가 적용되는 첫 명절로 장거리 여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즐거워야 할 연휴에 평소보다 과식을 하게 되거나 수면부족 혹은 취업이나 결혼에 대한 잔소리 등으로 오히려 몸이 지쳐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기름지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까지 피부에 적신호가 켜질 만큼 피부 고민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연휴에 맞는 피부 고민 대처법이 꼭 필요하다.뜨거운 가스레인지 불 앞에서 달아오르고, 연휴 내내 지쳐 푸석해진 피부는 수분을 공급해주는 수분 제품으로 관리할 것을 추천한다. 앰플 마스크나 수분 미스트는 즉각적으로 달아오른 피부의 진정을 돕는다.또한 명절에는 긴 연휴 동안 불규칙한 생활 패턴으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기 쉽다. 동물성 기름으로 높은 칼로리의 고기와 부침, 전 종류 등 명절 음식은 여드름 피부를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기름이 묻은 손으로 얼굴 여기저기를 만지는 버릇 또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뾰루지 등의 트러블이 발생했다면 깨끗이 클렌징을 한 후 스킨케어 제품을 바른 뒤, 즉각적으로 트러블을 진정시켜주는 트러블 스팟 케어 제품사용을 추천한다.내리쬐는 가을 햇빛 또한 피부에 자극을 주는 요소다. 특히 여행지에서 도보로 산책하거나 명절 성묘가 예정되어 있는 등 장시간 야외 활동이 있는 경우 자외선 차단제는 필수다. 아직은 30도에 육박하는 한낮 더위와 따가운 햇빛 속에서는 자칫 방심하면 피부가 울긋불긋 달아오르거나 건조한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특히 건조해지기 시작하는 가을철에는 피부를 고려해 크림이나 로션 타입 제품을 선택하면 좋다.피부과 전문의 안건영 원장은 “갑작스런 환경 변화로 외부 자극이 더해지면 트러블, 붉음증 등 자극에 따른 피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장거리 이동, 여행 등을 계획 중이라면, 피부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 꼼꼼한 관리법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유아정 기자 poroly@joogang.co.kr 2014.09.05 07:00
연예

길어진 추석 연휴, ‘집 떠난’ 피부 건강하게 지키기

해마다 명절 연휴면 즐거운 마음으로 귀성이나 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올 추석은 대체 휴무제가 적용되는 첫 명절로 장거리 여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즐거워야 할 연휴에 오히려 몸이 지쳐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들의 경우 피부가 푸석해지고 울긋불긋 달아오르거나 심한 경우 트러블 등이 올라와 명절 증후군으로 고민하기 부지기수다. 피부과 전문의 안건영 원장은 “갑작스런 환경 변화로 외부 자극이 더해지면 트러블, 붉음증 등 자극에 따른 피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장거리 이동, 여행 등을 계획 중이라면, 피부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 꼼꼼한 사전 대비책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올 추석, 장거리 여행에도 건강한 피부를 지키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았다.◆ 여행길 피부의 가장 큰 적 ‘자극’ 줄이는 저자극 제품 및 트러블 대비 제품 챙기면 좋아유독 여행길에서 피부 증상이 악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이 꼽는 가장 큰 원인은 ‘환경 변화에 따른 자극’이다. 장거리 여행 시 유리창을 통해 일정하게 피부를 자극하는 자외선 등 이동 중 수반되는 스트레스는 물론, 평소와는 다른 물이나 공기 등 외부 자극에 익숙치 않은 피부가 민감하게 반응하기 쉬운 것.기름진 명절 음식 또한 피부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귀성길에나 여행지에서 지방과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고지방 식품들을 무턱대고 섭취할 경우 피부의 피지 분비 체계에 교란이 일어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 음주도 문제. 오랜만에 만난 친인척과의 과음은 연휴기간 동안 받은 다양한 자극들과 함께 피부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따라서 여행용 화장품을 챙길 때는 이러한 상황 등을 고려,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고 진정시킬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스킨케어 제품은 피부 증상을 가라앉히고 건강한 개선을 도와 민감한 피부에도 안전한 저자극 제품을 챙기면 가장 좋다. 단, 여행지인 점을 고려해 100ml 이하 소용량 제품을 챙기면 짐을 줄이는데도 도움이 된다. ‘닥터지 레드-블레미쉬 수딩 앰플’ (30ml /33,000원)은 애플페논, 그린 캐비어, 녹차 EGCG 등 식물 유래 성분을 23% 이상 함유해 피부의 빠른 진정 및 트러블 흔적 케어까지 집중 개선 가능한 제품. 라로슈포제 '똘러리앙 울트라'(40ml / 40,000원대)는 극민감성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의 과민 반응을 즉각적으로 진정시켜주는 진정 케어 크림이다. 뉴로센신 성분이 피부 자극 생성 신호를 차단, 홍조, 발열감 등 자극 반응을 진정시키는데 효과적이다.뾰루지나 피치 못할 여드름 발생에 대비해 폼 클렌저 및 간단한 응급 키트를 챙기는 것도 요령. 특히 평상시와 기온이 다른 여행지에서는 피지가 평소보다 과량 분비되기 쉬운데다, 정체된 고속도로 속 미세먼지 등 외부 노폐물이 쌓이기도 쉬우므로 순한 폼클렌저를 준비해 아침 저녁으로 꼼꼼하게 피지와 노폐물, 트러블 유발 균 등을 닦아내면 좋다. ‘이니스프리 더 미니멈 페이셜 클렌저’ (70ml / 7000원)는 펌핑형 클렌저 제품으로 자극 없이 노폐물을 씻어내는데 도움을 준다. 진정 토너와 세럼, 압출기가 한 세트로 갖춰진 ‘닥터지 에이 클리어 3-스텝 솔루션’ (19,000원) 등도 트러블의 초기 단계에서 빠른 처치를 돕고 증상 악화를 막아줘 트러블 응급조치 필수품으로 제격이다.◆ 자외선 자극 대비한 차단제는 크림이나 로션 타입 유용해, 미스트도 수분 공급에 도움내리쬐는 가을 햇빛 또한 피부에 자극을 주는 요소다. 특히 여행지에서 도보로 산책하거나 명절 성묘가 예정되어 있는 등 장시간 야외 활동이 있는 경우 자외선 차단제는 필수다. 아직은 30도에 육박하는 한낮 더위와 따가운 햇빛 속에서는 자칫 방심하면 피부가 울긋불긋 달아오르거나 건조한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특히 건조해지기 시작하는 가을철에는 피부를 고려해 크림이나 로션 타입 제품을 선택하면 좋다. ‘닥터지 메디 UV 울트라 선’ SPF50+ PA+++’ (50ml / 33,000원)는 야외활동 시에도 자외선을 강력하게 차단해주는 크림형 제품.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3중 기능까지 갖췄다. 헤라 ‘선메이트 레포츠 SPF50+/PA+++’ (70ml, 32,000원) 또한 부드럽게 바를 수 있는 크림 타입 제품으로, 야외 활동 시 자외선을 강력하게 차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워터프루프 기능도 있어 땀에 녹거나 흘러내리지 않는다. 아벤느의 ‘트레 오뜨 프로텍씨옹 크렘 미네랄 SPF50+ PA+++’ (50ml / 34,000원)는 미네랄 필터(Mineral fiter, 무기 필터)를 사용한 자외선 차단제로 엷은 베이스 컬러가 들어있어 피부톤 보정도 가능하다.이 밖에 ‘멜비타 오가닉 로즈 미스트’ (50ml / 20,000원) 등 달아오른 피부에 청량감을 주는 미스트도 간단히 챙기면 지친 피부를 진정하고 열을 식히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작은 용량의 미스트는 건조한 기내에서 피부에 수분을 즉각적으로 공급하는데 도움이 된다. 유아정 기자 poroly@joogang.co.kr 2014.09.03 11:1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