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3건
스포츠일반

'나이는 숫자' 올림픽 무대, 더욱 빛나는 노익장

한국 '탁구 신동' 신유빈(17)은 지난 25일 여자 단식 2회전에서 1963년생 노장 니시아리안(룩셈부르크)을 상대했다. 두 선수의 나이 차이는 무려 41살. 신유빈은 니시아리안을 상대로 세트 스코어 4-3(2-11, 19-17, 5-11, 11-7, 11-8, 8-1,1 11-5)으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다. 2000 시드니올림픽부터 5개 대회 연속 출전하는 백전노장을 상대로 뒤지지 않는 경기 운영 능력을 보여줬다. 1세트를 9점 차로 내준 뒤에도 무너지지 않고 반격을 모색했다. 경기 중에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비록 패했지만 니시아리안의 관록은 빛났다. 신유빈의 승리가 더 주목받은 이유이기도 하다. 도쿄올림픽에서도 노익장(老益壯)을 보여주고 있는 선수가 많다. 이번 대회 두 번째 고령 선수인 호주 마장마술 대표 메리 해나(67)는 70대에 출전하는 올림픽을 바라보고 있다.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부터 이번 대회까지 올림픽만 여섯 차례 나선 선수다. 그는 "승마는 나이나 성별과 관계없이 할 수 있는 멋진 스포츠"라며 "몸 상태가 허락한다면 계속하고 싶다. 승마는 내 삶이자 전부"라고 했다. 당장 내년 덴마크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대회 출전 의지를 드러낸 그는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에 대해서도 "당연히 목표로 삼고 있다"라고 했다. 종목마다 전성기와 쇠퇴기가 다르다. 베테랑이나 노장이라는 표현도 규정지어 쓰기 어렵다. 분명한 건 세계 최고의 무대에서 스포츠정신을 몸소 실천하고, 증명하고 있다는 것. 이번 대회를 끝으로 선수 생활을 접는 이들도 있다. 한국 태권도 간판 이대훈은 지난 25일 남자 68㎏급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한 뒤 "이제 선수 생활을 끝내겠다"라고 했다. 펜싱 여자 플뢰레 대표 전희숙도 도쿄 대회가 마지막 올림픽이다. 1969년생 사격 선수 니노 살루크바제(조지아), 1975년생 기계체조 옥사나 추소비티나(우즈베기스칸) 등 올림픽 무대를 빛낸 다른 국가 선수들도 한 여정을 마무리하고 있다. 현역 최고의 체조 선수 시몬 바일스(24·미국)도 도쿄올림픽을 자신의 마지막 무대로 삼았다. 20대 중반, 젊은 나이지만 바일스의 선택은 그랬다. 스포츠팬은 그들의 뒷모습에 박수를 보낸다. 어떤 선택도 값지다. 존중받을만하다. 메달 획득, 그 메달의 색깔만 중요한 게 아니다. 한 운동선수가 나아가거나 멈춰서는 선택을 지켜보고 응원하는 것도 스포츠의 묘미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1.07.26 21:16
스포츠일반

이대훈도, 전희숙도, 살루크바제도…"이제 은퇴합니다"

올림픽 금메달을 향한 마지막 도전이 끝났다.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최선을 다했기에 돌아설 수 있다. 한국 태권도의 간판 이대훈(29)과 펜싱 여자 플뢰레의 기둥 전희숙(37)이 나란히 은퇴를 선언한 이유다. 이대훈은 지난 25일 도쿄올림픽 태권도 남자 68㎏급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한 뒤 "선수로서 마지막 경기를 마쳤다. 이제 현역 생활을 끝내겠다"고 말했다. 이대훈은 고교 3학년이던 2010년 처음 태극마크를 단 뒤 11년간 세계 정상을 지켰다. 세계선수권에서 3회 우승했고, 아시안게임 태권도 사상 첫 3연패를 달성했다. 오직 올림픽 금메달만 손에 넣지 못했다. 2012년 런던에서 은메달, 2016년 리우에서 동메달을 각각 땄다. 이대훈은 "선수 생활의 마지막 장면을 올림픽 금메달로 장식하고 싶다"며 도쿄로 향했다. 그러나 결과는 노 메달. 이제는 미련을 버렸다. 그는 "예전에 더 잘하고, 더 열심히 했던 때의 이대훈을 기억해주셨으면 좋겠다"며 인사했다. 전희숙도 이날 펜싱 여자 플뢰레 개인전 8강에서 탈락한 뒤 "이제 더는 경기복을 입을 일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전희숙은 런던 대회 단체전 동메달을 일군 베테랑이다. 도쿄 대회가 세 번째 올림픽이지만, 개인전에선 끝내 메달을 따지 못했다. 그는 "선수 생활 동안 힘들기도 했지만, 즐거운 일도 많았다. 국가대표가 되는 것도, 국제대회에 나가는 것도 좋았다. 마지막 올림픽 준비를 도와준 후배들에게 고맙다"고 했다. 사격의 니노 살루크바제(52·조지아)와 기계체조의 옥사나 추소비티나(46·우즈베키스탄)도 기나긴 올림픽 역사에 마침표를 찍는다. 살루크바제는 1988년 서울 대회부터 9회 연속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서울에서 금·은메달을 땄고, 2008년 베이징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사격 선수인 아들 초트네(23)와 함께 리우 대회에 나와 사상 최초의 단일 올림픽 모자(母子) 출전 기록도 썼다. 살루크바제 역시 25일 10m 공기권총 결선 진출에 실패한 뒤 "시력이 예전만 못하다"며 은퇴를 발표했다. 29일 열리는 25m 권총이 긴 여정의 종착지다. 추소비티나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8회 연속 출전했다. 그 사이 국적이 소련→독립국가연합(CIS)→독일→우즈베키스탄 순으로 바뀌었다. 메달은 하나(베이징 대회 도마 동메달)뿐이지만, 20대 중반이면 '환갑' 소리를 듣는 기계체조에서 나이의 한계를 극복한 신화를 남겼다. 그는 25일 여자 도마 예선에서 체조 인생의 마지막 연기를 마친 뒤 포디움을 돌며 고별 인사를 했다. 배영은 기자 bae.youngeun@joongang.co.kr 2021.07.26 15:16
스포츠일반

조지아母子, 사격 국가대표 리우 동반출전

근대 올림픽 120년 역사에 또 하나의 새로운 기록이 추가된다.구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 독립한 조지아에는 벌써 28년째 올림픽에 출전하는 여자 사격선수 니노 살루크바제(47)가 있다.그는 구소련 출신으로 처음 출전한 1988 서울올림픽을 시작으로 오는 8월 열리는 2016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까지 8번이나 올림픽 무대에 나서는 명사수다. 28년간 8번의 올림픽에 출전한 것만으로도 혀를 내두를 만한 기록이지만, 살루크바제는 이번 올림픽에서 이제껏 없었던 새로운 기록에 도전한다. 바로 올림픽 사상 첫 '모자(母子) 동반 출전' 기록이다.영국 로이터 통신을 비롯해 복수의 세계 언론은 24일(한국시간) 살루크바제와 그의 아들 소트네 마차바리아니(18)의 사연을 소개했다.살루크바제와 마차바리아니는 조지아 사격 국가대표로 이번 리우 올림픽에 동반 출전한다. 살루크바제의 아들 마차바리아니는 지난 2월 열린 유럽사격선수권대회 10m 공기권총에서 자신의 역대 최고 기록을 쏘며 당당히 국가대표 자격을 손에 넣었다. 개인의 영광인 동시에 올림픽 역사에 전례가 없었던 어머니와 아들의 동반 출전 꿈도 이뤘다.120년 역사의 올림픽에서 가족이 함께 출전한 경우는 많았다.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출전한 경우가 56쌍으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와 딸이 함께 출전하거나(12쌍), 어머니와 딸이 함께 출전해(2쌍)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를 빛냈다. 하지만 어머니와 아들의 동반 출전은 살루크바제-마차바리아니가 처음이다.살루크바제는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조지아를 대표해 올림픽에 나갈 수 있다는 것은 기쁨이다. 그리고 어머니로서 아들과 함께 올림픽에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은 나의 행복이자 자랑"이라며 "우리는 올림픽에서 최고의 경기력을 보일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또한 살루크바제는 "솔직히 말하면 이번 리우 올림픽에서 나는 어머니로서 내 아들의 팬이 될 것"이라고 아들을 향한 애정을 과시했다.아들 마차바리아니 역시 "처음으로 올림픽에 나갈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 자리에 어머니와 함께할 수 있다는 사실에 두 배의 기쁨을 느낀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1988 서울올림픽 25m 권총 금메달·10m 공기권총 은메달리스트인 살루크바제는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 10m 공기권총 동메달을 따며 건재함을 과시한 바 있다. 또한 당시 조지아와 전쟁 중이던 러시아 선수와 시상대에서 키스를 나누며 정치와 갈등을 넘어선 스포츠맨십을 보여 주기도 했다. 김희선 기자 2016.07.25 06: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