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쥴 선점 막아라"…KT&G, 액상형 전자담배 '릴 베이퍼' 출시
KT&G가 27일 액상형 전자담배 '릴 베이퍼'를 선보인다. 미국 액상형 전자담배 점유율 1위인 '쥴'이 출시된 지 3일 만이다. 2017년 궐련형 전자담배의 출시가 늦어지며 시장을 '아이코스'에 내준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로 풀이된다. 쥴 단점 개선…가격은 1000원 비싸 KT&G는 27일 액상형 전자담배 기기인 '릴 베이퍼'와 전용 카트리지 '시드' 그리고 일회용 액상형 전자담배 '시드 올인원'을 동시에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릴 베이퍼는 길쭉한 USB 모양의 폐쇄형 시스템(CVS) 전자담배다. 지난 24일 출시된 쥴과 마찬가지로 기기 본체에 액상 니코틴 카트리지를 끼워 흡입하는 식이다.쥴이 기기 본체를 쥴, 카트리지를 '팟'으로 부른다면 KT&G 제품은 릴베이퍼와 카트리지 '시드'로 구성됐다. 시드 한 개는 팟과 마찬가지로 담배 한 갑에 해당한다.릴 베이퍼가 쥴과 다른 점은 사용자가 한 개비 분량을 흡입하면 진동으로 신호를 준다는 점이다.쥴 팟 한 개는 약 200회가량 흡입이 가능한데, 흡연 중간에 어느 정도 피웠는지 신호를 주는 장치는 없다.KT&G는 릴 베이퍼를 기본 흰색 보디에 상단 부분 색깔을 주황색과 은색 두 가지로 나눠 내놨다. 시드 종류는 일반 맛인 토바·아이스·툰드라 세 가지다.릴 베이퍼는 4만원으로 쥴보다 1000원 비싸고, 시드는 개당 4500원이다.일회용 제품 시드 올인원은 액상 카트리지가 내장된 일체형 제품이다. 담배 한 갑 분량이다. 별도의 충전이 필요 없어 휴대가 간편하다. 가격은 개당 7000원이다.릴 베이퍼와 시드는 27일부터 서울·대구·부산 지역 편의점 씨유(CU)와 ‘릴 미니멀리움’ 강남점·신촌점·동대문점·송도점·울산점 5개소, 인천공항 롯데면세점·김포공항 신라면세점 및 롯데면세점 소공점 등에서 판매를 시작한다. 시드 올인원은 서울지역 CU에서 우선 판매된다.KT&G 관계자는 "이번 출시된 ‘릴 베이퍼’와 ‘시드 올인원’은 소비자 의견을 반영해 기존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한 제품”이라며 “KT&G는 독자적인 기술로 일반 담배·궐련형 전자담배에 이어 액상형 전자담배 시장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코스의 아픈 경험에 발빠른 대응 릴 베이퍼의 출시에 앞서 쥴은 지난 24일 국내시장에 상륙했다. 쥴은 미국에서 2017년 출시된 뒤 2년 만에 시장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한 제품이다. 국내 애연가 중에서도 이미 해외 직구로 쥴을 구해 사용하는 이들이 많을 정도로 인기다.KT&G가 쥴 출시 3일 만에 신제품을 내놓은 배경으로, 업계에서는 2017년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 출시 당시 KT&G의 '아픈 기억'을 꼽는다.당시 KT&G는 2017년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이 새롭게 형성될 때 담배에 붙는 세금 결정이 늦어지며 후발 주자로 시장에 합류해 아이코스에 시장 주도권을 빼앗긴 바 있다. 이후 신제품 '릴 하이브리드' 등을 계속해서 선보였지만 지금도 시장을 되찾아 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릴 베이퍼의 이른 출시는 쥴이 액상형 전자담배 시장을 미리 선점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라며 "궐련형 후발 주자였던 '릴'이 국내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에서 나름 선전했듯 릴 베이퍼도 기본 이상의 성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다만 KT&G의 가세로 액상형 전자담배를 둘러싼 '세금 형평성' 논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현재 일반 담배와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의 한 갑당 가격은 4500원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붙는 세금은 제각각이다.일반 담배의 세금은 3323.4원, 궐련형 전자담배는 3004.0원으로 일반 담배의 90% 수준인 반면 액상형 전자담배는 니코틴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 1823.4원이 부과된다. 니코틴 함량이 0.7㎖인 쥴의 경우 1769원의 세금이 붙어 일반 담배의 53% 수준에 불과하다. 그만큼 제조사에 이익이 많이 돌아간다는 뜻이다.2017년 아이코스 출시 당시에도 같은 논란이 일었다. 과세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탓에 아이코스의 담뱃세가 일반 담배의 50~60% 수준에 그치자 세금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법률을 개정해 개별소비세·담배소비세·건강증진부담금 등을 잇따라 인상해 현재 일반 담배의 90% 수준까지 올렸다.업계 한 관계자는 "2아이코스 출시 직후 비슷한 논란이 일면서 1갑 가격이 4300원에서 4500원으로 인상됐다"며 "아이코스 사례를 감안해 이번에도 액상형 전자담배에 대한 담뱃세 인상이 재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5.27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