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ma2024 ×
검색결과17건
산업

HD현대 조선 흑자 전환, 정유는 수익 감소

HD현대가 조선 부문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정유 부문의 영업이익 감소로 부진한 실적을 냈다.HD현대는 27일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10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4.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15조274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5.2% 증가했다. 순이익은 1920억원으로 65.1% 줄었다HD현대의 사업 구조는 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 건설기계 부문의 HD현대사이트솔루션, 정유 부문의 HD현대오일뱅크 3각 체제다.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기간 산업을 주력으로 하는 HD현대는 유가 상승 혜택을 누린 HD현대오일뱅크의 선전으로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유가 하락으로 올해 1분기까지 상승세를 이어가진 못했다.다만 부진했던 주력사업 조선에서의 수익성이 회복되고 있다. 먼저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 명절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매출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585억원의 영업이익으로 흑자 전환했다.매출은 4조842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9% 증가했다. 순손실은 811억원으로 적자 폭이 축소됐다.HD현대오일뱅크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59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3.2% 감소했다. 매출은 7조398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다. 순이익은 935억원으로 78.5% 줄었다. 정제마진 하락이 영업이익 감소의 이유로 지목된다.정제마진은 최종 석유제품의 가격에서 원유를 포함한 원료비를 뺀 것으로 정유사들은 원유를 수입해 정제한 뒤 휘발유나 경유로 판매한다. 정제마진이 높을수록 정유사 이익도 높아진다.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매출 2조3730억과 영업이익 231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7%, 73.1% 증가한 수치다.이 밖에도 HD현대일렉트릭은 중동과 북미 시장의 견고한 수요와 판매가 인상에 힘입어 매출 5686억원, 영업이익 463억원을 거뒀다.HD현대글로벌서비스는 선박 부품서비스와 친환경 선박 리트로핏(설비 개선)의 매출 증가로 매출 3211억원과 영업이익 455억원을 기록했다.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매출 1408억원, 영업이익 80억원을, HD현대로보틱스는 매출 309억원, 영업손실 28억원을 기록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4.27 18:02
산업

정유사 실적 발표에 '횡재세 논란' 재점화...세금 거둬 난방비 지원 맞나?

고유가로 ‘대박’을 터트렸던 정유사에 대한 ‘횡재세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에너지 대란 속에 초호황을 누린 정유사의 이익 일부를 세금으로 환수하자는 주장이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정유업계는 시장 논리에 어긋난 주장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횡재세 논란이 불거진 건 지난해 상반기에만 정유 4사가 12조원이 넘는 흑자를 내자 정치권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목소리가 나왔다. 다만 하반기 들어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논란도 잠잠해졌다가 최근 국내외 정유사들의 실적 발표가 잇따르며 논란이 재점화하고 있다.게다가 최근 난방비까지 폭등하면서 논란에 기름을 끼얹는 모양새가 됐다. 서민들이 '난방비 폭탄' 탓에 고생하는데 정유사들은 가만히 앉아 떼돈을 벌었다는 것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횡재세를 걷어 취약계층을 위한 재원으로 삼자며 정부와 정유업계를 압박하고 있다.국내 정유사들은 난방비 폭등과 관련 횡재세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국내 가정의 난방 연료별 비중은 액화천연가스(LNG)가 80%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주요 난방 연료인 LNG를 수입·판매하는 곳은 정유사들이 아니다. 국내 정유사들은 해외에서 들여온 원유를 정제한 뒤 이를 휘발유·경유 등 석유제품으로 만들어 판매하며 수익을 올린다. 정유업계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연간 매출 42조4460억원, 영업이익 3조408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규모로, 전년보다 각각 54.6%, 59.2% 증가했다.아직 실적을 발표 전이지만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도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해 1∼3분기 국내 정유 4사의 영업이익률은 9.4%였다. 하지만 산업연구원이 업종별 영업이익률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7∼2021년 정유업계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2.5%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반도체 업종의 영업이익률은 22.2%였다. 이어 통신기기(14.7%), 석유화학(9.2%), 철강(6.0%), 기계(5.9%) 등 순이었다.근본적으로 횡재세가 조세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유사들은 코로나 사태가 터진 2020년 석유 수요 급감으로 연간 5조원에 달하는 최악의 적자를 기록했다. 그렇다고 해서 당시 정유사에 대한 손실 보전 등 정부의 지원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2.06 10:27
산업

GS 현재·미래 중추...허세홍의 GS칼텍스 탄소중립 도전기

재계 8위 GS그룹에서 정유·화학 핵심 계열사인 GS칼텍스의 매출 비중은 50% 이상으로 절대적이다. GS칼텍스는 2005년 계열 분리 이후 중심축으로 그룹을 이끌어왔다. GS그룹의 미래 향방 열쇠도 쥐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등 비정유 부문에서 신성장 동력을 찾고 있는 GS칼텍스의 행보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정유사 GS칼텍스의 탄소중립 도전기 4일 업계에 따르면 GS칼텍스를 이끌고 있는 오너가 4세 허세홍 대표가 이사회 의장에 선임되면서 수소와 모빌리티 등 신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고 있다. 정유사 이미지를 벗고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허세홍 대표는 지난해 9월 한국판 수소위원회인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의 회원사 대표로 참여하기도 했다. 허 대표가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GS그룹의 친환경 수소사업을 책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정유 4사 중 GS칼텍스의 새로운 시도가 단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미 친환경 에너지 화학 기업 비전을 내세운 GS칼텍스는 2020년 4월 여수공장 생산시설을 가동하는 연료 전량을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했다. 기존 저유황 중유보다 LNG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4%로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미래형 주유소를 표방하며 ‘에너지플러스’ 브랜드를 론칭하기도 했다. 에너지플러스는 ‘에너지, 그 가능성을 넓히다’라는 의미로 에너지기업의 변화와 확장의 의지를 전달하고 미래 지향적 사업영역을 통합하는 브랜드다. 또 에너지에 공간가치와 모빌리티&라이프, 디지털, 혜택을 더한다는 이념을 바탕으로 에너지플러스의 세계를 확장하고 있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일상의 에너지들을 우리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 에너지플러스가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라고 설명했다. GS칼텍스는 그해 5월 수도권 최초로 휘발유·경유 주유와 LPG·전기·수소 충전 등 모든 연료 공급이 가능한 융복합 에너지 스테이션을 선보이는 등 모빌리티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GS칼텍스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1'에 정유사 최초로 참가해 미래형 주유소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2021년에는 국내 에너지 기업 최초로 탄소중립 원유를 도입하기도 했다. 탄소중립 원유 인증을 받은 스웨덴 에너지 기업 룬딘에서 200만 배럴을 도입하며 그 시작을 알렸다. 이 원유는 탄소 포획과 나무 심기 등으로 탄소중립을 인증받은 친환경 에너지로 알려졌다. 2022년 2월에는 국내 윤활유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식물 원료로 만든 친환경 엔진오일을 출시하기도 했다. 또 화이트 바이오 사업, 바이오 연료 등 친환경 연료 개발을 통한 바이오 사업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친환경 통합 브랜드인 ‘에너지플러스에코’를 론칭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친환경 경영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허세홍 대표는 “GS칼텍스의 모든 밸류체인 속에서 친환경의 가치를 실현하고, 고객에게 지속 가능한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자원 순환 생태계를 만들어 가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비정유 부문 신성장 동력 찾기 GS칼텍스를 비롯한 국내 정유사 4사는 지난해 유가 상승과 정제 마진 개선으로 특수를 누렸다. GS칼텍스는 2021년 매출 34조5384억원, 영업이익 2조18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22조3006억원 대비 54.9%나 증가했다. 그리고 9192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영업이익 2조189억원은 2016년 2조1404억원, 2011년 2조200억원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였다. 2020년 정유 4사는 5조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업계의 호황으로 2021년 합계 영업이익만 7조원 이상을 찍었다. 그렇지만 ‘석유시대’가 저물고 있어 마냥 기뻐할 수 없는 처지다. 정유사들은 탄소중립이라는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아 ‘비정유 부문’에서 다양한 변화와 시도를 통해 승부수를 띄워야 하는 상황이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세계 정유사들은 모두 비슷한 공정을 갖고 수익을 내는 구조다. 포트폴리오 비중의 차이가 크지 않다”며 “GS칼텍스도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 다양한 노력들을 하는데 아직 시작 단계다. 이로 인해 앞으로 친환경 사업 투자계획이 많이 잡혀있다”고 설명했다. 허세홍 대표도 정유와 비정유 사업 간 듀얼 코어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한 종합에너지기업을 겨냥하고 있다. 그는 “종합에너지기업의 변화와 확장 의지를 담은 에너지플러스로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GS칼텍스는 경쟁사 SK이노베이션과 비교하며 비정유 부문에서 차이가 있다. SK이노베이션은 SK에너지가 정유를 담당하고 있고, 이외 배터리·화학 등 비정유 사업의 파이가 크다. 이에 반해 GS칼텍스는 정유 매출 비중이 84.8%로 절대적이다. 윤활유 사업 3.4%, 석유화학사업 11.8% 비중을 갖고 있다. 또 GS칼텍스는 수출의 비중이 67%로 SK에너지와 비교해 높은 편이다. SK에너지는 수출보다 내수의 비중이 54.4%로 높다. GS칼텍스는 여전히 개발도상국에 기름을 수출하는 의존도가 강하다. 비정유 부문의 사업다각화의 일환으로 GS칼텍스는 바이오케미칼과 모빌리티 분야를 주목하고 있다. GS칼텍스는 LG화학과 손을 잡고 화이트 바이오 생태계 구축과 친환경 바이오 원료 상업화를 위한 실증플랜트 구축에 나선다. 지난 7월 GS칼텍스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의 핵심 원료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닉산(3HP) 시제품 생산을 위한 실증플랜트 착공식을 가졌다. 3HP는 친환경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바이오 원료로 아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생분해성 소재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개인 위생용품부터 전기차 경량화 소재까지 적용 분야 및 확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되는 물질이다. 2023년까지 GS칼텍스 여수공장에 3HP 실증플랜트를 구축하고 시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3HP 기술로 세계 최초의 상업화를 시도하며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진입을 노릴 전망이다. 고부가가치 친환경 바이오케미칼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알리고 있는 셈이다. 또 GS칼텍스는 지난해 카카오모빌리티에 300억원을 투자하는 등 주유소 거점 기반의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GS칼텍스 주유소에 카카오모빌리티의 모바일 플랫폼을 융합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GS칼텍스는 주유소 2300여개, LPG충전소 370여개, 수소충전소 1개, 전기차 충전기 100여기를 운영하는 국내 최대 에너지 네트워크 사업자 중 하나다. GS칼텍스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등 미래 기반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주유소, 충전소 등 보유 인프라 시설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08.05 07:00
산업

유류세 인하 첫날…휘발유·경유 가격 소폭 하락

유류세 인하 폭이 37%로 확대된 1일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경유 가격이 전날보다 소폭 내렸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전날보다 11.37원 내린 L당 2133.53원을 나타냈다. 전국 평균 경유 가격은 전날보다 7.38원 내린 L당 2160.28원을 기록 중이다. 유류세 인하 폭 확대에 따라 날마다 최고가 기록을 새로 쓰던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세는 일단 꺾였다. 석유제품에 적용되는 유류세 인하 폭은 이날부터 기존 30%에서 37%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L당 휘발유는 57원, 경유는 38원의 가격 인하 요인이 생겼다. 다만 유류세 인하 효과가 온전히 나타나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석유제품은 정유공장에서 나와 주유소로 유통되기까지 통상 2주가 걸리며, 유류세는 정유공장에서 반출되는 순간 붙는다. 이로 인해 유류세 인하분이 판매가격에 반영되기까지 시차가 발생한다. 결국 정유사들이 재고 관리와 주유소 협조 등을 통해 이런 시차를 최대한 줄여야 소비자들이 그만큼 빨리 유류세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 앞서 대한석유협회, 한국석유유통협회, 한국주유소협회 등 석유산업 관련 협회들은 유류세 인하 효과가 최대한 빨리 나타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고유가 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해 11월 12일부터 유류세를 20% 인하해왔고, 올해 5월 1일부터는 인하 폭을 30%로 확대했다. 인하 폭 확대에도 석유제품 가격의 고공행진이 이어지자 정부는 이날부터 인하 폭을 37%로 늘렸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07.01 11:13
경제

휘발윳값 8주 연속 상승…유류세 인하 효과 다음 주부터

이번 주 국내 휘발유 가격이 8주 연속 상승했다. 지난 12일부터 적용한 유류세 인하 정책의 효과는 다음 주에 나타날 전망이다. 1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격은 전주 대비 19.0원 오른 리터당 1807.0원이다. 경유 판매가격도 전주 대비 17.4원 상승한 리터당 1602.6원을 나타냈다. 11월 첫째 주 정유사 휘발유 공급가격은 전주 대비 52.3원 상승한 리터당 1756.3원, 경유 공급가격은 23.0원 오른 리터당 1521.7원이다. 휘발유 기준 알뜰주유소의 평균가격이 리터당 1777.5원으로 가장 낮았고, GS칼텍스 주유소가 가장 높은 1815.7원을 기록했다. 최고가 지역인 제주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40.7원 상승한 리터당 1895.4원으로 전국 평균 대비 88.4원 높았다. 최저가 지역인 부산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19.2원 상승한 리터당 1784.1원으로 전국 평균 대비 22.9원 낮았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미국 인프라 투자 법안 하원 통과,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개발, 인도 석유제품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인다. 정길준 기자 jeong.kiljhun@joongang.co.kr 2021.11.13 10:48
경제

오늘부터 유류세 20% 인하…휘발유 ℓ당 164원·경유 116원↓

유류세가 12일부터 6개월간 한시적으로 20% 인하된다. 정부 당국에 따르면 이날부터 휘발유에 부과되는 유류세가 리터(ℓ)당 820원에서 656원으로, 경유는 582원에서 466원, LPG 부탄은 204원에서 164원으로 각각 내린다. 유류세 인하분이 소비자가격에 그대로 반영된다고 가정하면 ℓ당 휘발유는 164원, 경유는 116원,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40원씩 내릴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소비자가격은 개별 주유소가 결정하기 때문에 반드시 유류세가 인하된 만큼 유류 가격이 내리는 것은 아니다. 정부 관계자는 "유류세 인하분이 최대한 가격에 반영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 주유소에서 유류 판매 가격에 인하분이 적용되기까지는 1∼2주가량 걸릴 전망이다. 유류세는 정유사 반출 단계에서 부과되는데 인하 전 반출된 기름도 시중에 유통 중이기 때문이다. 전국 주유소 단체인 한국주유소협회는 "재고 물량 소진까지 시간이 걸려 유류세 인하 시행 즉시 (유류 판매 가격을) 내리는 건 힘들지만 유류세 인하 시기에 맞춰 재고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최대한 이른 시기에 인하분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1.12 10:40
경제

유류세 12일부터 20% 인하 예고

정부가 오는 12일부터 유류세를 20% 인하한다. 유류세 20% 인하가 소비자가격에 100% 반영되면, 휘발유는 ℓ당 164원, 경유 116원, LPG 부탄은 40원씩 내려가는 효과를 낸다. 정부는 정유사 직영 주유소와 알뜰 주유소가 오는 12일부터 유류세 인하 조치를 판매 가격에 즉시 반영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주유소가 유류세 인하분을 즉시 반영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자영주유소도 자발적인 가격 인하를 요청하기로 했다. 정부는 소비자들이 알뜰주유소 등 유류세 인하 반영 주유소를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오피넷과 스마트폰 앱에 가격 인하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기로 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1.11.06 10:26
경제

[금융은 선택이다] 치솟는 기름값이 고민이라면

정부가 안정화에 직접 나설 정도로 기름값이 치솟았다. 유류 소비에 부과하는 세금을 인하하며 19주, 약 5개월 동안 꾸준히 오르던 기름값은 4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평균 29.7원 하락한 1660.4원이었다. 한 달 전인 지난달 첫째 주 수준으로 돌아간 것. 자동차용 경유도 한 주 만에 19.9원 내린 1475.4원에 판매되고 있다.하지만 기름값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었다고는 볼 수 없다. 등유값은 아직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고, 유류세 인하 전에 사뒀던 재고를 소진하느라 가격을 낮추지 않은 주유소도 상당하다. 현재 휘발유 유류세는 ℓ당 123원 내렸지만 아직까지 전국 휘발유 평균값은 인하값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게다가 가격 경쟁이 치열한 대도시에선 기름값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지방 주유소의 경우 기름값에 큰 변동이 없어 지역 간 격차도 커지고 있다.서울이나 부산처럼 주유소 간 경쟁이 심한 대도시에서 기름값이 훨씬 많이 내려 서울의 인하폭이 전북의 2배나 될 만큼 지역 편차가 크다. 조금이라도 알뜰하게 기름값을 지불하려면 카드사의 주유 서비스 할인 혜택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주유 할인 카드는 전월 카드 사용 실적에 따라 할인 한도가 다르고, 각자의 상황에 따라 유리한 카드가 다르니 비교해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대개 한 달에 2만~3만원의 할인 혜택이 보통이지만, 최근 나온 주유 할인 서비스를 활용하면 5만원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주위에 가격이 조금이라도 더 저렴한 주유소를 찾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많게는 휘발유 기준으로 ℓ당 400원 이상 차이 나는 곳도 있다. 1년간 모이면 할인이 얼마야… 내게 맞는 ‘주유 카드’는최근 KB국민카드는 주유·정비·보험 등 자동차와 관련한 다양한 할인 혜택을 한 장의 카드에 담은 자동차 할부금융 전문 상담사 채널 전용 ‘KB국민 오토(AUTO) 카드’를 출시했다. 이 카드로 전국 모든 주유소 및 충전소를 이용할 시 전월 이용 실적에 따라 매월 최대 5만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전월 이용 실적이 5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2만원까지 결제 금액의 10%, 120만원 이상이면 월 최대 5만원까지 결제 금액의 15%가 할인된다. 연회비는 5만원이다.올해 초 신한카드는 오르는 기름값을 고려해 주유소에서 10%를 할인받을 수 있는 ‘딥 오일(Deep Oil)’ 주유 카드를 출시했다. 기름값이 올라도, ℓ당 금액이 달라도 할인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그동안 제공한 ℓ당 할인 서비스가 아닌 주유 금액의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 주유 서비스는 GS칼텍스, SK에너지, S-OIL, 현대오일뱅크 중 고객이 정유사를 선정하고, 해당 정유사에서 기름을 넣을 때 이용 금액의 10%를 할인받을 수 있다. 정유사 선택은 4개 사 중 1개 사만 가능하며 연 1회 변경이 가능하다.딥 오일 카드 할인 혜택은 전월 이용 금액에 따라 할인 서비스별 월 이용 금액 한도 및 제공 횟수가 정해진다. 전월 이용 금액이 30만원 이상 70만원 미만의 경우 주유·차량·생활 서비스 월 이용 금액 한도가 각 15만원이며, 70만원 이상의 경우 한도는 각 30만원이다.전월 실적 기준이 낮은 카드를 찾는다면 하나카드의 ‘부자되세요, 더 오일카드’가 있다. 실적이 낮은 데 비해 할인이 비교적 많이 되는 카드다.전월 사용 금액이 30만원만 넘으면 월 4회 한도로 GS칼텍스 주유소에서 ℓ당 120원을 할인해 주는데, 일요일과 공휴일에 주유할 땐 150원을 할인해 준다. 월 할인 금액 한도도 따로 없다. 현대카드는 유류세 환급 대상이 아닌 경차 소유자도 주유비를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는 ‘현대카드M-경차전용카드’를 출시해 눈길을 끈다. 현대오일뱅크·SK에너지와 모든 LPG 충전소에서 결제 시 ℓ당 최대 400원 할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대카드M-경차전용카드로 매월 70만원을 사용할 시 연간 주유 혜택은 ℓ당 400원, 월 3만원을 12회 할인받으면 36만원을 아낄 수 있게 된다.주거래 카드로 주유 카드를 사용한다면, ℓ당 할인 혜택이 큰 카드 중 ‘에쓰오일 400 우리카드’도 있다. 이 카드를 소지한 고객은 에쓰오일 주유소에서 전월 실적에 따라 리터당 최대 400원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전월 실적이 30만원 이상이면 ℓ당 120원, 70만원 이상 ℓ당 150원, 100만원 이상 ℓ당 200원, 200만원 이상 ℓ당 400원이다. 월 할인 한도는 할인 혜택별로 각각 1만5000원, 2만원, 2만5000원, 5만원이다.가장 싼 주유소 찾기는 어떻게?쉽게 가장 싼 주유소를 찾으려면 포털 사이트 ‘네이버’에 ‘저렴한 주유소 찾기’를 검색하면 지역별로 구분해 주유소별 가격 비교가 가능하다.예를 들어 서울 동대문구를 선택해 휘발유 가격을 비교하면, 가장 저렴한 주유소로 1502원의 ‘GS칼텍스 재원에너지 용일주유소’가 맨 위에 나오고 지도에 그 위치가 표시되는 방식이다.동대문구의 주유소별 휘발유 가격은 가장 비싼 곳이 1987원으로 가장 저렴한 곳(1502원)과 485원의 가격 차이를 보였다.한국석유공사 오피넷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이용자들은 오피넷에서 지역을 선택해 검색하면 최저가 순으로 주유소를 찾을 수 있다.이 사이트를 이용하면 할인·적립 정보나 사은·오픈 행사, 세차장·경정비·편의점·24시간 등 다양한 주유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모바일은 ‘오일나우’를 설치해 두면 편리하다. 지난 5월 출시된 오일나우는 한국석유공사 오피넷과 제휴해 전국 실시간 주유소 가격 정보를 제공한다.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현 위치에서 인근에 가장 가깝고 저렴한 주유소를 자동으로 검색해 안내해 주는 기능도 있다. iOS 버전은 아직 출시 전이다. 권지예 기자 2018.11.16 07:00
경제

정부, 유류세 15% 한시적 인하

정부가 6일부터 내년 5월 6일까지 한시적으로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 부탄에 부과되는 유류세를 15% 인하한다.유류세 인하는 지난 2008년 금융 위기 때 단행된 뒤 10년 만이다.이에 정유사들은 이날 0시 출고분부터 내년 5월 6일 11시59분59초 출고분까지 유류세 15% 인하가 반영된 가격으로 주유소에 휘발유·경유·LPG 부탄을 공급한다.유류세 인하가 100% 가격에 반영될 경우 휘발유 가격은 1리터당 123원, 경유 87원, LPG 부탄은 30원 정도 싸진다.2000㏄ 중형 승용차를 기준으로 휘발유를 가득 주유할 경우 최대 8610원의 유류비를 아낄 수 있는 셈이다.다만 정유사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 주유소와 달리 일반 주유소들은 재고 물량 때문에 2~3일 뒤부터 기름값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정유소가 직접 운영하는 직영 주유소는 전체 주유소에 10%에 그친다.정부는 소비자들이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유류세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합동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할 계획이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 유류세 인하를 시행한 첫날인 6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정유사 직영 주유소에 전날(왼쪽) 대비 휘발유 123원, 경유 87원이 내린 시세표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2018.11.06 14:48
경제

휘발유값 ‘또 연중 최고’ 10주째 기록 경신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이 10주 연속 오르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 대비 리터(ℓ)당 평균 3.1원 오른 1623.4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 넷째주부터 10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진 기록이다. 2014년 12월 셋째주 1656.0원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이며, 주간 상승폭으로는 지난 6월 첫째주(4.7원) 이후 석 달 만에 가장 크다. 자동차용 경유도 전주보다 3.3원 상승한 1424.5원을 기록했다. 실내 등유는 950.1원으로 1.8원 올랐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가 3.6원이나 올라 1640.8원을 기록하며 가장 비쌌다. 알뜰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이 ℓ당 평균 1.9원 오른 1598.7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최고가 지역은 서울이었다. 서울의 휘발유 가격은 평균 5.9원 오른 1713.3원이었다. 대구는 전국에서 가장 쌌다. 대구의 경우 2.8원 오른 1597.4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주요 정유사의 휘발유 공급 가격은 월초 효과로 전주보다 ℓ당 24.1원이나 내린 1519.3원으로 조사됐다. 경유와 등유도 각각 35.6원과 22.7원 하락한 1316.8원과 816.4원에 공급됐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8.09.08 11:0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