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금융·보험·재테크

자녀 주식선물 1위 삼성전자, 미성년 주주 1인당 보유액은?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한 20세 미만 미성년 주주의 숫자가 4년 만에 21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삼성전자의 20세 미만 주주는 39만1869명으로 전체 주주의 8.38% 비중이었다. 이들은 전체 발행 주식의 0.3% 수준인 총 1960만5469주를 보유했다. 미성년자가 보유한 주식의 총 평가액은 작년 말 종가 7만8500원 기준 1조5390억원이다.20대 미만 주주 1인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은 평균 46주다. 이를 작년 말 종가(7만8500원)로 환산하면 1인당 약 361만1000원이다.삼성전자 미성년 주주는 매년 증가 추세를 이어왔다. 연말 기준으로 2010년 1.83%(2638명)에 불과했던 삼성전자 미성년 주주는 2018년까지 1%대에 머물다가 2019년 3.21%(1만8301명)로 뛰어올랐다. 2023년 39만1869명으로 늘어났으니 주주의 수가 4년 만에 21.4배로 증가한 셈이다. 삼성전자는 2018년 5월 주식 1주를 50주로 쪼개는 액면분할을 단행해고, 주식 선물이 용이해지면서 미성년 주주의 수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 투자 열풍과 더불어 자녀에 대한 '금융 조기교육' 필요성이 확산한 사회 분위기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앞서 신한투자증권이 올해 들어 3월 27일까지 자사 미성년 고객 거래 상위 10개 종목을 분석한 결과 미성년 고객이 가장 많이 거래한 국내 주식은 삼성전자(36.6%)이고, 2위는 삼성전자우(10.3%)로 집계됐다. 뒤이어 카카오(8.6%), NAVER(8.6%), 에이피알(8.6%), 현대차(7.4%)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증권사들은 이 같은 분위기에 맞춰 앞다퉈 자녀를 대상으로 한 주식 서비스와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다. 비대면 자녀 계좌 개설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증권사의 '주식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증여의 경우 성인 자녀는 10년 동안 5000만원, 미성년 자녀는 2000만원까지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한편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 주식의 연령별 소유 현황을 보면 40대(22.04%)가 가장 많았고, 30대(21.1%), 50대(20.8%), 60대(11.83%), 20대(11.63%) 등이 뒤를 이었다.삼성전자 주주 수는 총 467만2130명이다. 이중 내국인이 466만2758명(99.8%), 외국인이 9371명(0.2%)을 차지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6.10 08:48
금융·보험·재테크

올해 주식 선물하기 1위는 테슬라 아닌 마이크로소프트

올해 들어 국내 투자자들이 타인에게 가장 많이 선물한 해외 주식 종목은 마이크로소프트로 나타났다.10일 KB증권이 올해 들어 지난 6일까지 자사 해외 주식 선물하기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많이 선물한 종목을 분석한 결과 거래건수 기준 마이크로소프트(MS)가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테슬라였으며 아이온큐가 3위에 올랐다. 뒤이어 애플, 알파벳A가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테슬라는 지난해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물한 종목이었으나 올해 들어 1위 자리를 내줬다. 작년 선물하기 상위 종목 2위는 애플, 3위는 마이크로소프트였다. 4위부터 6위까지는 아이온큐, 스타벅스, 알파벳A가 이름을 올렸었다.지난해 월별로 보면 3개월(1·3·10월)을 제외하고 모두 테슬라가 1위를 차지했다.테슬라는 전기차 업황 부진 우려 속에 올해 들어 주가 낙폭이 커진 반면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손을 잡은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자들의 호감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테슬라 주가는 연초 이후 지난 8일까지 23.7% 하락했다. 반면 같은 기간 마이크로소프트는 10.1% 올랐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테슬라 주가 하락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황수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부정적인 전기차 시장 전망으로 인해 올해 들어 테슬라 주가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미국 대선에서 전기차 산업에 비우호적인 정부가 출범할 경우 이차전지 업황이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라며 "전기차 시장이 턴어라운드하기 전까지 테슬라 주가가 유의미하게 반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주식 선물하기 서비스란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해 주식을 선물할 수 있는 서비스다.기술주 고공행진이 이어지면서 미국 뉴욕증시의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종가 기준 5000선을 넘어섰다.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8.70포인트(0.57%) 오른 5026.61로 마감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2.10 11:58
금융·보험·재테크

투자자 가장 많이 선물한 종목 1위 삼성전자, 2위는 어디?

5월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물한 종목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11일 국내 7개 증권사(NH투자·삼성·하나·KB·신한투자·대신·토스)의 5월 주식 선물하기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거래 건수 1위를 차지했다. 이들 증권사는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해 주식을 선물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증권사별로 가장 많이 선물한 종목 2위와 3위는 다양했다. 하지만 7개사 모두 1위는 삼성전자로 동일했다. 또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 토스증권 등에서는 삼성전자 우선주가 3위에 올랐다.2위의 경우 4개 증권사(KB·신한·대신·토스)에서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 등 이차전지 관련주가 차지했다. 이차전지 대장주로 꼽히는 에코프로는 50만원대로 떨어졌다가 지난 9일 67만원까지 치솟으며 식지 않은 인기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NH투자증권과 하나증권, 토스증권 등에서는 올해 들어 5개월 연속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했다. 이차전지 열풍에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등에 대한 매수가 급증했던 4월에도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지켰다.이런 결과 삼성전자의 대표성과 안전성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선물할 종목을 고르는 것은 단기 수익을 노리는 투자와는 달리 해당 종목에 대한 우호적 인식이 반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삼성전자는 지난 5월 6만5500원으로 출발했던 주가가 5월 31일 7만1400원까지 상승했다. 그리고 지난 9일에는 1.55% 오른 7만2000원으로 장을 마감하는 등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반도체 업황이 하반기부터 살아날 거라는 기대감에 주가가 우상향하고 있다. 또 6월 들어 ‘8만 전자’를 회복 여부에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라는 인식에 국내 투자자들이 삼성전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배당 등 적극적인 주주 환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도 개인투자자들의 애정이 남다른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3.06.11 16:40
생활/문화

‘증권시장 아이러니 3제’ 기관 팔면 외국인 사고 왜 그럴까?

‘주식거래에 농특세가 왜 붙어 있을까?’ 주식을 하다 보면 궁금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인구의 10%가 주식을 하는 시대에 이러한 궁금증을 속 시원히 풀어주는 곳이 없다.증권전문 방송 이토마토(tv.etomato.com)에서 ‘야전사령관’이라는 필명으로 시황 설명을 하고 있는 허성욱씨를 통해 신용을 생명으로 하는 주식거래의 문제 제기를 해본다. 최근 온라인 주식거래 수수료 인하(0.015%)경쟁에 대해 “매도 금액의 0.3%인 세금에 비하면 큰 의미가 없다”며 관점을 달리한다. ▲주가지수‘조절’ 가능성증권거래소는 오후 2시 50분이면 주식거래가 끝나고 3시에 동시호가를 한다. 이 10분이 마의 시간이다. 허씨는 “이 10분은 수작업으로 거래를 하던 1970년대나 있을 법한 시간인데 첨단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요즈음 왜 10분이나 필요한지 모르겠다. 59분까지 거래하고 3시에 동시호가를 하면 되는데 기관이나 큰 손에게 장난칠 시간을 준다”며 의심하고 있다. 이 때 POSCO나 삼성전자가 상한가나 하한가를 갈 수도 있다. 물론 실 거래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주가지수를 ‘조절’할 여지가 있다. 주가지수선물·주가지수옵션·개별주식옵션 3가지 파생상품의 만기가 겹치는 날에는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결제일에 휴지와 대박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선물·옵션 등이 주가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해 만든 상품이지만 개인들은 주로 파생투자만 하는 상황에서 주가지수 옵션 하루 거래금액이 7000억 원이 넘는다. 그는“우리나라 개인 투자가들은 정말 돈이 많다. 거의 매달 깨지는데도 파생상품의 거래 규모는 점점 커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 5월부터 개별 주식선물이 생긴다. 개인에게는 또 하나의 사탕을 던져주는 셈이다.▲짜고 치는‘매매’SK에너지 3월달 한달간 거래를 보면 3월말 기관이 4일 연속 100만 주 이상을 팔면서 9만 5000원대 바닥을 만든다. 1000억 원 규모인데 외국인들이 약속을 한 듯이 사들인다. 그는 “어떻게 그 많은 물량이 나올 줄 알고 외국인이 돈을 준비하고 있었을까 의문이다”고 말한다. 그리고 보름 후 이번에는 외국인이 팔고 그것을 판 기관들이 미친 듯이 사면서 주가를 11만 원대로 끌어 올린다. 그는“이 대목에서 통정매매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다. 골병이 드는 것은 개인투자자라고 생각한다. 여기에 선물·옵션까지 얽히고설키면 과히 노름판은 저리 가라 할 정도로 개인은 취약하다”고 주장한다. 통정매매는 신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사자간의 담합에 의해 주식시세를 조작하여 시장을 혼란시키고 부당이득을 취한다는 점에서 불법으로 간주되고 있다.▲콜·풋 한쪽만 있는 ELW증권사 파생상품 중에 도박성이 강한 것이 ELW(Equity Linked Warrants)이다. 주어진 날에 행사가격보다 높거나 낮으면 이익을 볼 수 있는 상품이다. 콜은 행사가격보다 주가가 높아야 하고 풋은 낮아야 한다. 그는 “당연히 콜이 있으면 풋도 있어야 하는데 풋만 있는 종목만 있거나 콜만 있는 종목만 있다. 이것도 명백한 불공정 게임이다. 이렇게 일방 통행으로 발행하는 것은 ‘귀신도 모른다고 하는’ 주가의 행방을 기관들은 안다고 밖에 해석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주가가 상승하는데 콜을 발행할 기관은 없다. 주가상승에 따라 700원짜리가 7000원이 될 수 있다. 연일 상승세로 맹위를 떨치고, LG전자 발행가 1000원인 ELW는 1만 4000원 넘은 적도 있다. 발행한 증권사가 사야 하는 가격이다. 대림산업은 콜이 5종, GS건설은 콜이 8종, 현대건설은 콜이 27종이다. 세 종목 모두 풋은 없다. 건설업종은 이번 상승장에서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약자가 이기는 법개인은 시간과 돈에서 태생적 약자라는 점을 명심한다. 낮은 가격에 사서 2~5년씩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지금 시세를 분출한 종목들을 보면 거의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상승·폭락·매집의 과정을 거친 우량주들이다. 세력이 매집 기간에는 거래량과 주가의 등락이 거의 없이 장기간 횡보한다. 돈의 20%는 단기, 20~30%는 중기에 투자하고, 50% 현금보유를 원칙으로 한다. 바닥권에서 양봉(종가가 시가보다 높을 때)과 음봉(낮을 때)이 교차한 뒤 월봉(월단위 그래프)이 5일선을 뚫고 나올 때 조금씩 산다. 그리고는 원하는 금액만큼의 수익이 날 때까지 보유한다. 김천구 2008.05.06 10:56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