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금융·보험·재테크

11월 '은행 대출 연체율'…가계는 늘고 대기업은 줄어

지난해 11월 은행권 대출의 연체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감독원이 24일 발표한 '2024년 11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은행 연체율은 0.52%을 기록했다. 전월말(0.48%)과 비교하면 0.04%p 올랐고, 전년 동월(0.46%)과 비교하면 0.06%p 상승했다. 금감원은 "2024년 11월말 기준 국내은행 연체율은 연체채권 정리규모 증가에도 불구하고 월중 신규연체가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해 전월말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며 "다만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11월(0.48%)과 유사한 수준으로 코로나 이전 장기평균에 비해 여전히 낮다"고 설명했다. 은행 연체율은 2022년 6월 0.20%까지 내려갔다가 고금리와 경기침체 여파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다. 지난해 8월에는 2018년 11월(0.60%) 이후 69개월 만에 최고치인 0.53%까지 오른 바 있다. 11월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8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원 증가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도 2조원으로 전월대비 3000억원 늘었다. 신규연체율은 0.12%로 전월대비 0.01%p 상승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11월말 기업대출 연체율은 0.60%로 전월말(0.56%) 대비 0.04%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03%)은 전월말(0.04%) 대비 0.1%p 하락했다. 반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75%)은 전월말(0.70%) 대비 0.05%p 올랐다. 중소기업대출 가운데 중소법인 연체율(0.78%)은 전월말(0.74%) 대비 0.04%p 상승했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0.71%)은 전월말(0.65%) 대비 0.06%p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월말(0.38%) 대비 0.03%p 상승했다. 가계대출 중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0.27%)은 전월말(0.25%) 대비 0.02%p 올랐다.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의 가계대출 연체율(0.82%)은 전월말(0.76%) 대비 0.06%p 늘었다. 금감원 측은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취약부문에 대한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고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5.01.24 10:37
금융·보험·재테크

케이뱅크, 3분기 누적 순익 220% 증가… 1224억원으로 '역대 최대'

케이뱅크가 올 3분기 순이익이 220% 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3분기에 3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전 분기보다 이익 규모가 커지며 3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3분기까지 연간 누적 당기순이익은 1224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새로 썼다. 당기순이익이 분기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보다 180.6%,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220.2% 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갔다.외형 성장도 이뤄냈다. 3분기말 케이뱅크의 고객수는 1205만명을 기록했다. 금리 혜택을 확대해 업계 최고 수준의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플러스박스’와 입출금만 하면 리워드 카드를 통해 현금 혜택을 받는 ‘입출금 리워드 서비스’를 적용한 입출금통장이 인기를 끌며 고객이 몰렸다.3분기말 수신 잔액은 22조원, 여신 잔액은 16조 2000억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27.4%, 26.4% 늘어난 수치다.케이뱅크의 3분기 수신은 고객 혜택을 확대한 플러스박스가 성장을 이끌었다. 케이뱅크는 9월초 플러스박스의 고객의 고액 예치(5000만원 초과) 잔액에 대해 연 3% 금리를 적용하고, 기존 한도(10억원)를 폐지했다. 주력 고객인 대중부유층 공략 강화를 위한 조치로, 이후 두 달 만에 고액 예치 고객이 25% 늘어날 정도로 금융자산가들이 많이 몰리고 있다.여신은 담보대출의 호조가 성장을 이끌었다. 3분기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잔액은 각각 4700억원, 2000억원 늘었다. 아파트담보대출의 경우, 잔액 증가분의 70%가 대환대출로 기존에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고객의 이자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3분기말 케이뱅크의 전체 대출 중 담보대출(보증 대출 포함) 비중은 51.8%로 출범 후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케이뱅크의 3분기 이자이익은 1074억원을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120억원을 기록했다.케이뱅크는 비이자이익과 관련해 올 3분기에 국내 채권과 미국 국채 투자 서비스, ‘주식 모으기 서비스’를 출시하고 주식과 가상자산, 채권, 금, 미술품 조각 투자, 비상장주식, 공모주 투자 등을 한데 모은 ‘투자탭’을 신설해 투자서비스를 강화했다.또 해외에서 앱 내 QR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는 서비스로 ‘GLN 해외결제’ 서비스를 내놓고, 매달 3가지 혜택 중 내가 원하는 혜택을 골라 쓰는 ‘원체크카드’를 새로 출시하며 이익 기반 마련에 힘썼다. 꾸준한 안전자산 비중 확대와 고객 심사 강화로 3분기 건전성은 개선세를 이어갔다. 케이뱅크의 3분기 연체율은 0.88%로 세 분기 연속 하락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4.42%로 이익 성장, 안전자산 비중 증가 등을 통해 전분기보다 0.56%포인트 올랐다. 순이자마진(NIM)은 2.07%를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개인사업자 대출 시장을 선점해 지속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8월초 인터넷은행 최초로 최대한도 10억원의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인 ‘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을 출시했으며, 9월말 후순위 대출로 확대했다. 케이뱅크는 대환대출 고도화와 취급 담보 종류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케이뱅크는 3분기 건전성 제고를 바탕으로 상생 금융 실천에도 속도를 냈다.올 3분기 케이뱅크의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직전 분기(33.3%)보다 1.2%포인트 증가하며 34.5%를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심사 전략 고도화, 고객군별 맞춤상품 제공으로 중∙저신용대출 공급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케이뱅크 최우형 은행장은 “3분기에는 분기, 연 누적으로 모두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성장을 이어가면서도 건전성 개선, 상생 금융 실천이라는 여러 성과를 냈다”라며 "내년에는 상장을 통해 영업 저변을 확대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리테일 상품 개발과 SME(중소기업대출) 시장 확대, 테크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4.11.13 15:29
금융·보험·재테크

8월 은행 대출 연체율 상승세 지속… 0.53%로 올라

8월 은행권 대출 연체율이 상승세를 지속했다.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3%로 전월 말(0.47%) 대비 0.06%포인트(p) 상승했다.신규 연체가 3000억원 증가하고 상·매각 등 정리 규모가 1000억원 감소하면서 연체율이 올랐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부문별로 보면 8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이 0.62%로 전월 말(0.53%) 대비 0.09%p 상승했다.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78%로 같은 기간 0.11%p로 올랐다. 중소법인 연체율(0.84%)과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0.70%)이 각각 0.13%p, 0.09%p 올랐다.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05%로 전월 말과 유사했다.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38%)보다 0.02%p 상승한 0.40%였다.주택담보대출 연체율 0.26%로 전월 말(0.25%) 대비 0.01%p 상승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2%로 0.06%p 올랐다.금감원은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본격화될 경우 차주의 상환 부담은 완화될 것으로 보이나, 경기에 민감한 중소법인 및 개인사업자 중심으로 신규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당분간 신용손실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그러면서 "연체 우려 차주 등에 대한 자체 채무조정을 활성화함으로써 취약 차주의 채무부담 완화를 지원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권지예 기자 kwonjiye@edaily.co.kr 2024.10.18 09:47
경제

은행 예금금리 사상 첫 0%대 진입

은행 예금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0%대로 떨어졌다. 31일 한국은행이 집계한 6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저축성 수신금리는 0.18%포인트 내린 연 0.89%였다. 0%대 금리는 1996년 1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순수저축성예금 금리(0.88%), 시장형금융상품 금리(0.92%) 모두 0%대다. 6월에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정기예금 가운데 0%대 금리 상품의 비중은 67.1%로 역대 가장 컸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5%까지 낮추면서 금리가 0%대인 정기예금 비중이 급격히 늘었다. 신규 취급액 기준 은행권 대출금리는 0.1%포인트 하락한 2.72%였다. 가계대출 금리는 0.14%포인트 하락한 2.67%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중 일반신용대출(3.33%→2.93%)은 사상 처음 2%대로 진입했다. 주택담보대출(2.52%→2.49%) 역시 역대 최저치다. 기업대출 금리는 2.83%에서 2.75%로 내렸다. 역시 역대 최저치다. 다만 중소기업대출 금리는 2.88%에서 2.90%로 소폭 올랐다. 은행 수익과 직결되는 예대 마진(대출금리와 저축성 수신금리 차이)은 신규 취급액 기준 1.83%포인트로, 0.08%포인트 커졌다. 2018년 7월(1.85%포인트) 이후 가장 크다.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12%포인트에서 2.10%포인트로 소폭 줄었다. 제2금융권 예금금리 역시 일제히 하락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상호저축은행이 1.92%(-0.07%포인트), 신용협동조합이 1.79%(-0.07%포인트), 상호금융이 1.21%(0.13%포인트), 새마을금고가 1.74%(-0.05%포인트)였다. 일반대출 금리는 상호저축은행이 9.76%(-0.04%포인트), 신용협동조합이 4.01%(-0.03%포인트), 상호금융이 3.50%(-0.09%포인트)였다. 새마을금고는 0.06%포인트 오른 4.17%였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0.07.31 14:54
경제

하나금융, 지난해 지주설립 이래 최대 실적 2조4084억원 기록

하나금융그룹이 지난해 순이익 2조4084억원을 거두며 지주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4일 지난해 연결 당기순이익 2조4084억원을 거둬 전년대비 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 12월 지주 설립 이후 최대 실적이다. 이자이익(5조7737억원)과 수수료이익(2조2565억원)을 합친 핵심이익은 8조302억원을 거뒀다. 전년대비 2.1% 늘어난 수치다. 임금피크 특별퇴직금, 환율 상승에 따른 비화폐성 환차손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으나 명동사옥 매각익, 베트남 지분투자 관련 파생이익 등과 상쇄되면서 견조한 핵심이익 성장과 지속적인 자산건전성 제고 노력이 이를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양호한 대출자산 성장세, IB부문 경쟁력 강화 및 협업 증대노력 등의 결과로 이자이익(5조7737억원)과 수수료이익(2조2565억원)을 합한 그룹의 핵심이익은 전년 대비 2.1%(1689억원) 증가한 8조 302억원을 시현했다. 그룹의 핵심인 하나은행 역시 통합은행 출범 후 최대 실적을 내놨다. 4분기 3653억원을 포함한 2019년 연간 연결당기순이익 2조 1565억원을 시현하며, 전년대비 3.4% 증가한 기록을 세웠다. 이자이익(5조 4140억원)과 수수료이익(8864억원)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 또한 6조 3004억원으로 전년 대비 2.7%(1648억원) 증가했다. 핵심저금리성예금은 전년말 대비 13.3%(7조) 증가한 59조62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정기예금은 전년말 대비 11.2%(13조 4460억원) 증가한 133조3670억원이다. 2019년말 기준 예대율은 94.4%이다. 은행의 원화대출금은 218조 3850억원으로 우량 중소기업 중심의 자산 증대 전략에 힘입어 중소기업대출이 전년 대비 10.3%(8조 2430억원) 증가한 87조 9330억원을 기록했다. 자산건전성 지표 또한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연체율은 전년말 대비 5bp 개선된 0.20%로 통합은행 출범 후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년말 대비 13bp 개선된 0.39%로 통합은행 출범 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하나은행의 신탁자산을 포함한 총자산은 435조 7571억원이다. 이외에도 하나금융투자는 전년 대비 84.3% 급증한 2803억원의 연간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2018년 자본금 증자 이후 펀더멘털이 크게 개선되면서 인수주선ㆍ자문수수료가 전년대비 55% 증가했다. 하나카드는 가맹점수수료 인하 등으로 전년 대비 47.2% 감소한 563억원의 연간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하나캐피탈은 전년 대비 10.5% 감소한 1078억원의 연간 당기순이익을 나타냈다. 하나생명은 237억원, 하나저축은행은 161억원의 연간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20.02.04 16:27
경제

또 역대 최저 금리 ‘1.25%’…은행들 ‘실적 잔치’는 끝날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또 다시 낮춰 ‘역대 최저’ 금리 연 1.25%를 기록했다. 은행들이 또 한 번의 금리조정에 들어가야 할 상황에 맞닥뜨렸다.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며 실적 잔치는 끝났다는 ‘앓는 소리’도 나온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시중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지난해 말 1.67%에서 올 2분기 말 1.61%로 하락했다. 4대 은행만 봐도 신한·국민·우리·하나은행의 2분기 NIM은 1.49∼1.70으로, 1분기(1.52∼1.71)보다 상단과 하단이 각각 0.01%포인트, 0.03%P 떨어졌다. 7월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반영하면 3분기 말 NIM은 1.5% 안팎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은행 관계자는 “올해 7월에 이은 10월 금리 인하로 은행권 NIM은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축소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게다가 경기 부양 측면에서 추가 금리 인하 주장이 더욱 힘을 얻고 있어 은행은 저성장·저수익 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라는 우려도 등장했다. 금리가 내려가면 수신·대출금리가 모두 떨어지면서 은행의 이자수익은 줄어들게 된다. 이에 은행들은 대출을 늘려 수익성 방어에 나서는 모양새다. 기업 대출, 특히 중소기업대출을 확대하는 추세다. 중소기업 대출은 지난해 8월 405조178억원, 11월 415조4884억원, 올해 2월 418조8171억원, 5월 426조9055억원, 6월 428조8491억원, 7월 431조4008억원, 8월 434조510억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중소기업 대출의 확대는 정부 정책, 기업과 은행의 요구가 맞아떨어진다. 정부가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대출 등 금융지원을 적극 권장해왔고, 현금성 자산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대출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더구나 금융당국이 내년부터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금 비율)을 산정할 때 가계대출 가중치는 15%P 높이고 기업 대출 가중치는 15%P 내리기로 하면서, 은행들이 예대율 가중치가 낮은 중소기업 대출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마냥 늘리기는 어렵다. 대기업들은 은행에서 자금 조달을 하지 않고 있고,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은 경쟁이 심한 데다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높다. 실제로 주요 시중은행의 연체율은 올들어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다. 은행 상반기 이자이익만 20조원…"실적 잔치 꺾이지 않을 것" NIM 하락에 더해 마땅한 수익원도 찾지 못한 은행권의 이익 상승세가 꺾일 것이라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하지만 업황부진에 따른 실적악화의 칼날이 유일하게 빗겨간 은행들의 ‘실적 잔치’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이미 올 상반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총 8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8조3000억원)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이자이익만 20조원 가량을 벌어들인 데다, 금리 하락에 따라 은행이 보유한 채권 가치가 올라가면서 비이자이익도 1조원 증가했다. 신한·국민·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상반기 순익은 5조7123억원으로 그룹 전체 순익의 80.09%에 달했다. 국민은행이 1조3051억원의 가장 많은 순익을 냈고, 신한은행(1조2818억원), 우리은행(1조2460억원), 하나은행(1조338억원), 농협은행(8456억원)이 뒤를 이었다. 주력계열사인 은행의 호실적에 힘입어 5대 금융그룹의 상반기 성적도 역대급을 기록했다.올 상반기 금융그룹 1·2위 실적을 올린 신한·KB금융은 각각 1조9144억원, 1조8368억원의 순익을 거뒀고, 3·4위를 차지한 하나·우리금융은 1조2045억원, 1조1790억원이었다. 농협금융의 순익은 9971억원을 기록, 농협금융 출범 이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신한금융은 상반기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고, KB금융도 2분기로는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우리금융의 순익은 경상 기준으로 상반기 최대 수준이었고, 하나금융은 상반기에 이자이익과 수수료 이익을 합한 ‘핵심이익’이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가 올해 연간 기준 11조원대 실적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다만 여전히 주요 계열사인 은행의 이자이익에 실적을 기대는 측면이 크고, 증권·보험·카드 등 다른 계열사의 수익이 은행에 비해 크게 못 미쳐 새로운 먹거리 찾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oongang.co.kr 2019.10.23 07:00
경제

‘금리 부당산출’ KEB하나·씨티·경남은행, 최대 26억6900만원 환급

소득을 축소하거나 담보를 누락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출금리를 부당하게 올려 받아온 은행들이 빠르게 환급을 진행하고 나섰다. KEB하나·씨티·경남은행 등 3개 은행은 보도자료를 통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해당 대출 고객에 대한 이자 환급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또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전산 시스템 개선 및 직원 교육 등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금감원이 조사한 2012년부터 2018년 5월까지 기간 동안 약 690만건의 대출 취급건 중 일부 영업점의 최고금리 적용오류 건수는 총 252건(0.0036%, 가계대출 34건, 기업대출 18건, 개인사업자 대출 200건)이었다. 고객 수로는 가계대출 34명, 기업대출 159명으로 총 193명이었으며, 환급 대상 이자금액은 약 1억5800만 원으로 확인됐다. 씨티은행의 경우에는 2013년 4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취급한 대출 중 일부의 담보부 중소기업대출에 잘못된 신용 원가 적용으로 금리가 과다 청구된 대출은 총 27건, 고객 수로는 25명이며 과다 청구 이자 금액은 총 1100만원이었다. 씨티은행 측은 “이와 반대로 낮은 신용원가의 적용 오류로 실제보다 낮은 금리가 적용된 대출 건도 있으나, 한국씨티은행은 이에 대해서는 추가 이자 징구 등의 조치는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남은행은 연소득 입력 오류로 최근 5년간 취급한 가계자금대출 중 약 1만2000건(전체의 6%)이 이자가 과다하게 수취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환급 대상 금액은 최대 25억원으로 추정되며, 잘못 부과된 이자에 대해서는 내달 중 환급 예정이다. 당초 금감원이 올 상반기 KB국민·IBK기업·NH농협·BNK부산·신한·우리·SC제일은행·KEB하나·한국씨티은행 등 9개 은행들을 대상으로 대출금리 산청체계를 검사한 바 있다. 하지만 문제가 발견된 은행이 어디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들 중 일부 은행은 대출금리 핵심 변수인 가산금리를 산정할 때 대출자 소득 금액을 줄이거나 담보가 없는 것처럼 꾸며 실제보다 가산금리를 높게 책정해 적발됐다. 기업에도 전산 시스템에서 산정되는 금리가 아닌 적용 가능한 최고금리를 적용해 이자를 더 받은 사례도 있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은행권 전체 신뢰와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해당 은행은 피해 고객 수와 금액을 확정해 신속히 환급하라”고 주문한 만큼, 3개 은행 외 다른 은행들도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유사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또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구축하고 모범 대출금리 산정 규준의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권지예 기자 kwon.jiye@jtbc.co.kr 2018.06.26 11:47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