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연예일반

'유방암+쿠싱증후군' 이은하, 음악회 행사 중 오열 "내년 50주년인데.."

가수 이은하가 '쿠싱증후군' 투병 중에도 행사에 나서 시민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주는 한편, 벅찬 마음에 오열을 쏟아냈다. 최근 한 유튜브 채널에는 "심곡암 산사음악회서 만난 가수 이은하"라는 제목으로 지난 10월 말 진행된 이은하의 산사 음악회 행사 모습이 영상으로 담겨 올라와 있었다. 이어 "이은하 가수가 노래하는 도중 오열을..촬영 내내 맘이 아팠다. 관객과 스님들도 눈시울이...응원 합니다.가수 이은하. 건강 회복되길 발원 기도합니다"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해당 영상 속 이은하는 몸이 무거운 모습이었지만, 심곡암 내 위치한 작은 무대에서 묵묵히 노래를 불렀다. 그러다 벅차 오르는지 노래 중간에 울먹였으며, 무대를 마친 뒤 그는 눈물의 이유에 대해 털어놨다. 이은하는 "죄송합니다. 마음이 너무 벅차고 올라와서, 제가 이곳에서 태어나고 올해로 노래한 지 49년차다. 내년이면 50주년인데 정릉에서 오랜동안 살아왔고, 78~79년도에 여기서 가수왕도 했는데 심곡산에는 오늘 처음 왔다. 그래서 마음의 눈물을 흘렸다"라고 옛 추억에 잠겼다. 그러면서 "이 밑에 살면서 여기를 못 와보고 부처님께 절을 안드려서 이 고통(쿠싱증후군)이 있었는지, 이 눈물을 기쁨의 눈물로 해석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은하는 지난 해 4월 유방암 판정을 받아 수술을 했으며, 스테로이드 과다 복용과 쿠싱 증후군으로 체중이 94kg까지 늘어난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 5월 TV조선 '건강한 집'에 출연한 이은하는 "쿠싱 증후군으로 볼이랑 목, 팔, 종아리 등이 볼록하게 튀어나왔다. 이후 고지혈증과 당뇨병까지 생겼다. 상체에만 살이 쪘다. 그러면서 무릎에 심한 통증이 왔다. 진통제를 과다 복용해 기절까지 했다"고 고백한 바 있다. 이지수 디지털뉴스팀 기자 이지수 2022.11.03 07:48
연예

쿠싱증후군 이어 유방암도…이은하, 속세 떠나 절로 갔다

호르몬계 질환인 쿠싱증후군을 앓았던 가수 이은하의 근황이 공개됐다.지난 14일 방송된 MBN ‘현장르포 특종세상’에서는 경기도에 위치한 한 사찰에 살고 있는 이은하의 모습이 그려졌다. 해당 사찰은 이은하가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단 시절 찾았던 곳이다.이은하는 “척추 분리증과 쿠싱증후군, 빚 등으로 힘들 때 기댈 곳 없는 나를 따뜻하게 품어준 사람이 사찰의 주지 스님이었다”고 밝혔다.이어 이은하는 사찰 내 자신의 방을 공개했고, 방 안에는 많은 약봉지가 발견됐다. 이에 그는 “올해 초 유방암 판정을 받았다. 수술도 잘 마쳤고 방사선 치료도 다 끝났는데 5년 동안 이 약을 먹어야 한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지난 4월 수술을 받은 후부터 본격적으로 사찰에 머물며 건강을 회복했다”고 덧붙였다.제작진은 “절보다는 집이 편하지 않냐?”고 물었고, 이은하는 “사실 어떻게 보면 집에 내 물건도 다 있고 편하지만, 요즘엔 집이 더 불안하다. 혼자 있는 게 오히려 더 두려울 때가 있다. 그래서 스케줄 있을 때 말고는 여기서 생활한다”고 털어놨다.이은하는 과거 한 방송에 출연해 쿠싱증후군을 앓고 있다고 고백했다. 그는 당시 몰라보게 달라진 얼굴로 놀라움을 자아냈다.방송에서 그는 빚을 갚기 위해 무리하게 활동을 하다가 쿠싱증후군이 발병했다고 밝혔다.이은하는 “아버지 빚을 모두 상환한 다음 음반을 제작하다가 빚이 생겼다”며 “수입은 한정적인데 갚을 길이 없었고, ‘가요무대’ 등 방송에 나오면 채권자들이 방송국에 찾아와 난리가 났다”고 설명했다.이어 “노래를 해야 돈을 벌 수 있는데 내가 누우면 당장 돈을 벌 사람이 없다. 척추분리증 때문에 허리가 너무 아픈데 수술을 하면 몇 달을 쉴지 기약이 없다”며 “버티기 위해서 통증을 없애는 스테로이드 주사를 많이 맞았더니 부작용 등으로 쿠싱증후군이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살이 찌면 보통 손부터 쪄야 하는데, 손은 날씬하고 팔뚝에 띠를 두른 듯이 살이 생긴다. 다리와 배, 광대뼈도…(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이후 지난해 5월 이은하는 한 방송에 출연해 쿠싱증후군을 극복하고 몸무게를 11㎏ 감량한 과정을 공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쿠싱증후군은 몸에 필요 이상 많은 양의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돼 얼굴과 몸통을 중심으로 갑자기 체중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호르몬 분비 조절의 뇌하수체나 부신에 종양이 생기거나, 진통제 스테로이드제 약물의 부작용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장구슬 기자 jang.guseul@joongang.co.kr 2021.10.15 15:27
연예

'사랑을 싣고' 이은하, "쿠싱증후군 이겨내고 다이어트 중"

가수 이은하가 건강한 삶을 위한 다이어트 중임을 밝혔다. 1일 방송된 KBS1 '사랑을 싣고'에서는 가요계 전설의 디바 이은하가 자신의 데뷔곡 ‘님 마중’을 작곡한 김준규를 찾았다. 1979년 KBS에서 최고 가수왕을 수상하면서 고급 세단을 선물로 받은 바 있던 이은하는 지병으로 투병하면서 지난 세월을 보냈다면서 오랜 시간 휴식을 취했다고 말했다. 2016년부터 척추분리증과 진통제 부작용인 쿠싱증후군으로 인해 건강이 급격하게 악화, 그로 인해 체중이 30kg이나 증가했다고. 힘겨운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알려진 이은하는 16kg를 감량하고 "현재 쿠싱증후군은 자연 치유가 됐고 건강하게 다이어트 중"이라고 근황을 공개했다. 그는 올해 예순이라며 결혼도 꿈꿨다. 매니저 역할을 도맡아 하며 연애도 마음대로 못하게 했던 엄한 아버지 탓에 아직 미혼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연애하고 싶다는 간절한 바람을 전해 솔직하고 유쾌한 매력을 보였다. 황지영기자 hwang.jeeyoug@jtbc.co.kr 2020.05.01 20:46
연예

[정수진의 톡톡 칼럼] 농구로 저신장증 고치기

성장이 지연이 되면 외모에 예민한 청소년들은 다른 스트레스와 성격적으로 위축감을 받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또래의 나이에 맞지 않게 느리게 성장하는 증상을 '저신장증'이라 합니다. 소아의 정상성장의 곡선에서 100명 중에 앞으로 3번째까지의 작은 신장을 가진 경우를 말하며 일년의 성장곡선을 그려보아 4㎝미만일 경우는 의심을 해보아야 합니다. 저신장의 원인은 유전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 성장 장애를 가져오는 원인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영양 불량·스트레스가 있습니다. 질환적인 원인으로는 소화기 장애·신장 질환·만성 호흡기 질환·심장질환과 성장 호르몬의 결핍·갑상선 호르몬의 결핍·당뇨병·쿠싱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장애가 원인이 됩니다. 특히 여아의 경우에는 '터너증후군'이란 유전성 질환으로 무증상으로 저신장만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저신장의 치료는 사춘기 변화 전에 필요하며 보통 남자아이는 11~12세, 여자아이는 10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저신장의 치료는 크게 운동·식이·성장호르몬 주사 로 실시합니다. 키가 성장하는데는 호르몬의 작용과 골격계가 상호작용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호르몬이 내재적으로 작용을 해 뼈와 근육이 생성되고 뼈 끝의 성장판이라는 곳을 활성화시켜 신장에 운동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이와 같은 경우 단백질·칼슘·지방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지 않으면 근육의 생성에 부실하게 됩니다. 뼈와 인대의 지지를 하지못하면 신장이 성장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따라서 성장시기의 다이어트는 많은 주의를 요합니다.키의 성장으로 성장호르몬을 활발히 분비시키고, 뼈와 근육의 생성을 돕는 운동은 무엇이 있을까요?그럴때엔!! 농구를 권해드립니다.한국의 '빅포(Big Four)' 스포츠 중 하나로 정착된 농구는 미국 YMCA의 우연한 실험 결과물이었습니다. YMCA 체육진흥 운동을 펼쳤던 귤릭은 제자 네이스미스에게 "겨울철에 할 수 있는 흥미로운 실내 게임 하나를 창안해보라"고 했습니다. 다루기 힘든 청소년들에게 흥미로운 놀이가 좋은 처방제가 될 것으로 믿었던 것입니다. 새로운 게임의 창안을 위해 고민하던 네이스미스는 18명의 학생들이 축구공을 바구니에 던져 넣는 게임을 창안하기 위한 실험을 계속했습니다. 그리고 초기 경기 규칙은 13개 조항으로 9인제 게임을 만들어 냈습니다. '바스켓볼(basketball)'이라는 명칭은 복숭아 바구니에서 비롯됐습니다. 성장기 아동에게 있어 여러 가지 건강의 이득을 위해 활발한 신체활동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필수적이며 규칙적이고 활동적인 신체 활동은 성장판을 자극합니다. 이것은 운동이 골격에 중력이 작용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나타나게 됩니다.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게 하여 근육과 각 장기의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그 중 성장에 있어 핵심 호르몬은 성장호르몬입니다. 이 호르몬은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GF-1) 분비를 활성화하게 하고, IGF-1은 골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골격 성장에 도움이 되는 운동은 수영과 같이 중력의 작용이 비교적 덜되는 운동보다는 줄넘기와 달리기와 같은 운동과 중량 운동이 좋습니다. 특히 농구의 슛동작은 점프와 스트레칭 효과를 가져와 성장호르몬 촉진과 키의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운동을 최소한 일주일에 3일, 1일 60분 이상으로 실시해야 아동의 원활한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농구운동으로 저신장의 예방과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 2013.06.10 08: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