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4건
야구

3번 포진 서건창·멀티 출루 오윤석...이적생 기대감 UP

재개된 KBO리그 관전 포인트 중 한 가지는 이적생 효과다. 13년 만에 LG 유니폼을 입은 서건창(32), 제2의 전병우(29)로 기대받는 오윤석이 새 출발에 나섰다. 키움 주축 타자였던 서건창은 올림픽브레이크였던 지난달 27일 LG로 트레이드됐다. LG는 선발 투수 정찬헌을 키움에 보냈다. 서건창은 2008년 육성선수로 LG에서 데뷔했다. 단 한 경기에 출장한 뒤 방출됐다. 히어로즈에서 새 출발 한 그는 2012시즌 127경기에 출전, 타율 0.266를 기록하며 신인왕에 올랐다. 2014시즌에는 사상 처음으로 한 시즌 200안타를 넘어서며 시즌 최우수선수(MVP)까지 받았다. 리그 대표 교타자로 인정받는 선수다. 공격력 강화를 노린 LG는 '공격형' 2루수 서건창을 영입해 대권 도전 의지를 보여줬다. 서건창은 리그가 재개된 10일 잠실 SSG전에서 4766일 만에 LG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 3번 타자·2루수로 나선 복귀전 성적은 4타수 1안타. 5회 말 SSG 투수 김택형 상대 내야 안타를 생산하며 선두 타자 출루를 해냈다. 득점 기회를 열었다. 항상 하위 타순에 배치되던 2루수가 3번에 있는 것만으로 LG팬은 설렘이 크다. 이강철 KT 감독도 이적생을 바로 출격시켰다. 오윤석 얘기다. KT는 트레이드 마감일을 앞두고 유망주 투수 이강준을 내주고 주전급 포수 김준태, 내야수 오윤석을 영입했다. 오윤석은 2020시즌 출전한 63경기에서 타율 0.298을 기록하며 주목받은 선수다. 주전 2루수이자 리그 대표 스타 플레이어인 안치홍의 부상 공백을 메웠다. 롯데가 지난달 30일 안치홍과 연장 계약한 뒤 그를 트레이드 카드로 활용했다. 이적 뒤 처음으로 맞이한 공식 경기에서도 8번 타자·2루수로 선발 출전했다. 오윤석은 볼넷 2개를 얻어내며 멀티 출루를 해냈다. 1득점도 챙겼다. 수비도 안정감이 있었다. KT 2루수는 경쟁 체제다. 베테랑 박경수의 뒤를 잇는 주전 발굴도 필요하다. 오윤석도 주전으로 도약할 기회를 얻었다. KT 내야 뎁스(선수층)도 두꺼워졌다. 안희수 기자 an.heesoo@joongang.co.kr 2021.08.11 08:48
야구

한화 김태균, 홀수해 징크스 극복 열쇠는 '조력자'

한화 김태균(35)은 2017년 '홀수 해 징크스'를 극복할 수 있을까.김태균은 지난 2012년 일본 생활을 정리하고 한화에 복귀했다. 2012시즌부터 지난해까지 다섯 시즌 연속 타율은 3할이 넘었다. 그런데 홀·짝수 해 성적이 판이하게 다르다. 짝수 해인 2012·2014·2016년에 김태균은 3할6푼대 이상의 타율을 기록하며 불방망이를 휘둘렀다. 2012시즌에는 타율 0.363으로 타격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반면 2013·2015년에는 각각 타율 0.319·0.316에 그쳤다. 짝수 해 성적보다 타율이 5푼 정도 하락했다. 김태균의 뒤를 받치는 '조력자'는 짝·홀수 해에 달랐다.짝수 해에 김태균의 뒤에는 최진행(2012년), 펠릭스 피에(2014년), 윌린 로사리오(2016년)가 버티고 있었다. 최진행은 김태균이 일본으로 떠난 2010~2011시즌 팀의 중심타자로 활약했다. 2011시즌 127경기에 출장해 타율 0.276·19홈런·85타점을 기록했다. 김태균이 복귀한 2012시즌 최진행은 5번에 자리했다. 2011년에 맹활약한 최진행은 투수들에게 김태균 못지않은 압박감을 줬다. 최진행이 부진할 경우 베테랑 장성호가 5번에서 뒤를 받쳤다.2014년 외국인 타자가 KBO 리그에 재등장하자 4번 타자 김태균의 뒤에는 자연스럽게 외국인 타자가 배치됐다. 2014년 한화는 중견수 피에를 영입했다. 피에는 그해 타율 0.326·17홈런·92타점을 기록했다. 빠른 발과 호쾌한 타격을 자랑하며 중심타선에 힘을 보탰다. 2016년엔 화려한 메이저리그 커리어를 자랑하는 외국인 야수 로사리오가 한화 유니폼을 입었다. 4월 적응기를 거친 로사리오는 KBO 리그를 폭격했다. 타율 0.321(19위)에 33홈런(4위)·120타점(5위)을 올리며 팀의 공격을 이끌었다. 반면 홀수 해의 김태균은 고군분투했다. 2013년 4번 타자 김태균의 앞과 뒤는 대부분 최진행이 맡았다. 최진행은 2013시즌 팀 내에서 3번(44차례)과 5번(36차례) 타순을 가장 많이 소화했다. 김태균·최진행과 함께 중심타선을 이룰 무게감이 있는 선수가 없었다. 2015년엔 외국인 타자의 부진이 김태균의 성적 추락으로 직결됐다. 빅리그와 일본 무대를 경험한 나이저 모건을 영입했지만, 김성근 감독과 불화 끝에 일찌감치 옷을 벗었다. 대체 선수로 데려온 제이크 폭스는 부상으로 38경기 출장에 그쳤다.김태균은 탁월한 선구안을 자랑하는 선수다. 유인구에 잘 속지 않고 스트라이크존으로 들어오는 공은 누구보다 능숙하게 안타를 만들어 낸다. 4번 김태균의 뒤에 강타자가 배치되면 투수는 김태균에게 승부를 걸어야 한다. 그러나 뒤가 약하다면 굳이 승부를 걸 필요가 없다. 올해 로사리오는 다시 한화에서 뛴다. 당초 메이저리그 복귀가 유력했지만 지난해 12월 한화와 재계약을 했다. 김태균은 로사리오라는 조력자의 도움을 인정한다. 그는 "로사리오가 뒤에서 좋은 타격을 해 준 덕분에 칠 수 있는 공이 많이 왔다. 타점을 많이 올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투수가 승부를 걸어 오면 타자는 단순해질 수 있다. 그러면 수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된다. 2016년 좋은 성적을 기록한 건 로사리오 덕분이라 생각한다"고 했다.2017년 김태균은 '홀수 해 징크스'를 깨뜨릴 수 있을까. 일단 조력자는 갖춰졌다. 유병민 기자 2017.01.24 06:00
야구

조아제약 대상 서건창 "득점왕이 가장 기쁘다"

"행복합니다. 그만큼 숙제를 안고 더 철저하게 내년을 준비하겠습니다."서건창(25·넥센)이 2014 조아제약 프로야구 대상(상금 1000만원·순금 도금 글러브)을 거머쥐었다. 박병호(28·넥센)와 양현종(26·KIA) 등 빛나는 경쟁자들도 서건창의 수상에 박수를 보냈다. 생애 가장 화려한 시즌을 보냈다. 올해 128 전 경기에 나서 타율 0.370, 201안타 67타점 135득점으로 타율, 안타, 득점 3관왕에 올랐다. 프로야구 최초로 정규시즌 200안타 고지를 넘어선 그는 첫 정규시즌 MVP를 수상하는 영광도 함께 안았다. 2루수가 MVP에 선정된 건 그가 처음이다. 서건창은 "평생 잊을 수 없는 시즌을 보냈다. 정말 기쁘다"며 "안타와 타율 1위, 정규시즌 200안타 고지를 넘긴 것도 참 기쁘지만 개인적으로 득점왕에 오른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 1번 타자로서 넥센이 이기는 데 도움이 되는 지표이기 때문이다"고 소감을 밝혔다. 바닥까지 떨어졌지만 다시 일어섰다. 서건창은 2008년 LG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가 이듬해 방출됐다. 상무나 경찰야구단이 아닌 일반병으로 군 복무를 마친 그는 2012시즌 또 한 번 신고선수로 넥센 유니폼을 입었다. 승승장구했다. 그해 127경기에서 타율 0.266, 115안타 70득점 40타점을 올리며 신인왕에 뽑혔다. 염경엽(46) 넥센 감독은 "서건창은 아픔을 아는 선수다. 어렵게 정상까지 올라왔기 때문에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 더 단단해질 것이다"고 칭찬했다. 현실에 안주할 생각은 없다. 성공적인 시즌을 보낸 만큼 상대도 더 철저하게 서건창을 분석하기 때문이다. 그는 "비시즌에도 개인 훈련을 이어갈 생각이다. 내 성적이 좋았다면 상대도 대비책을 세울 것이다. 내가 더 발전해야 내년에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 이번 겨울, 훈련을 통해 더 강해진 서건창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어 서건창은 "성적이 좋다고 더 잘하려는 욕심을 내면 안 된다는 걸 배웠다. 앞으로도 마음을 가라앉히고 팀이 이기는 데 몰두하겠다"고 말했다. 서지영 기자 saltdoll@joongang.co.kr 2014.12.03 11:04
야구

‘LG의 희망’ 정성훈 “신개념 4번 타자 되겠다”

“새로운 유형의 4번 타자가 되겠다” LG 베테랑 3루수 정성훈(32)이 올 시즌 4번 타자로의 새로운 도전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정성훈이 4번 타자로 유력하게 떠오른 이유는 김기태(43) LG 감독이 ‘지그재그 타선’을 구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감독은 “박용택, 이진영, 이대형, 큰 이병규(9번)와 작은 이병규(7번)까지 모두 왼손 타자이기 때문에 타선의 중심을 잡아줄 오른손 타자가 필요하다. 4번에 오른손 타자를 배치하면 좌-우-좌-우의 지그재그 타선을 짤 수도 있고, 1∼3번과 5∼6번을 모두 왼손 타자로 기용할 수도 있다. 또 왼손 투수를 상대하기 위해서라도 오른손 4번 타자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감독은 이어 “아직 오른손 타자 중 누구를 찍어서 말하기는 곤란한 상황이다. 올 시즌 LG만의 4번 타자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의중으로 김기태 감독은 지난 일본 스프링캠프에서 열린 16번의 평가전에서 4번 자리에 오른손 타자인 정성훈과 윤요섭(30), 나성용(24) 등을 번갈아 기용해 능력을 시험했다. 이중 단연 눈에 띄는 선수는 정성훈이었다. 그는 지난달 29일 세이부전에 4번 타자 겸 3루수로 선발 출장해 홈런 포함 2안타 3타점을 기록하며 김 감독에게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다. 지난 시즌 정성훈은 주로 3번이나 5번타자로 127경기에 출장해 10홈런 57타점, 0.291의 타율을 올렸다. 규정타석을 채운 팀 내 타자 중 타율 3위, 홈런과 타점 4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특히 그는 왼손 투수를 상대로 타율 0.305, 오른손 투수에게는 0.286을 올리며 왼손 투수에게 강한 면모를 보였다. 하지만 팀 타선의 구심점인 4번 자리를 맡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정성훈은 “오히려 지금이 나에게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야구를 하면서 내가 어느 팀에서 4번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겠는가. LG이기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한다”면서 “부담감이 느껴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사람들이 결코 나에게 다른 4번에게 원하는 것처럼 30홈런이나 100타점 이상을 요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4번 타자의 새로운 유형을 만들고 싶다. 홈런을 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결사 노릇을 한다는 데 의미를 두겠다. 또 팀 공격의 연결고리 역할을 확실히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2009년 프리에이전트(FA) 신분으로 히어로즈에서 LG로 이적한 정성훈은 이후 3년간 매 시즌 100경기 이상 출장하는 꾸준함과 안정된 3루 수비를 선보였다. 2012시즌 이후 다시 FA 자격을 취득하는 그로서는 두 번째 FA 대박을 위해 올 시즌 좋은 성적은 필수다. 정성훈은 “현재 컨디션이나 타격감은 나쁘지 않다. FA를 앞두고 있는 시점이라 신경도 많이 쓰이고 욕심이 나는 것도 사실이다. 개인적으로 좋은 성적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팀이 살아나는 것이 우선이다"며 ”나간 선수들에 대해선 안타깝게 생각한다. 하지만 다시 생각하면 오히려 지금이 다른 선수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어렵고 힘들 때일수록 선수들 모두가 하나가 돼 이겨내야 한다. 이제 더 이상 떨어질 곳이 없다. 올라갈 일만 남았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김유정 기자 kyj7658@joongang.co.kr 2012.03.13 10:02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