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7건
산업

현대차·기아 현금배당, 삼성전자의 1.8배

현대차와 기아가 합산 기준으로 지난해 주주들에게 현금 배당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의 현금 배당금은 4조4071억원으로 삼성전자 2조4530억원의 1.8배를 기록했다. 29일 한국예탁결제원의 2023년 12월 결산 상장법인(코스피·코스닥) 현금 배당 실적 집계 자료에 따르면 배당금 총액은 29조4711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집계는 주식·현금 동시 배당을 포함했고, 분기·중간 배당과 주식배당 실적은 제외했다.업종별 현금 배당 실적은 '자동차용 엔진 및 자동차 제조업'이 4조408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지주회사(3조7384억원), 반도체 제조업(3조370억원), 손해보험업(1조1968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2022년도 집계에선 현금 배당을 가장 많이 한 업종이 지주회사였고 반도체, 자동차, 손해보험이 2∼4위였다.순위 변동은 자동차 업종이 수출 호조와 친환경 차 인기 덕에 약진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현금 배당을 가장 많이 한 상장사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는 삼성전자(2조4530억원)였고, 코스닥시장에선 리노공업(455억원)이었다.코스피의 현금 배당 상위 종목 명단에는 현대차(2조2129억원)와 기아(2조1942억원), 삼성화재(6802억원), 삼성생명(6644억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코스닥에서는 SM엔터테인먼트(281억원), 골프존(276억원), 코엔텍(243억원), 메가스터디교육(232억원) 등이 상위권에 포함됐다.코스피 주가지수는 작년 한 해 18.7%가 올랐지만 같은 기간 코스피 종목의 현금 배당 총액은 4.2% 증가하는 것에 그쳤다. 코스닥 주가지수는 작년 27.6% 뛰었지만, 코스닥 상장사의 현금 배당 총액은 반대로 7.5%가 줄었다.코스피 상장사 중 현금 배당을 한 기업 비율은 작년 93.2%(575개사)로 전년 대비 1.2%p가 늘었다. 코스닥의 현금 배당사는 6.8%(611개사)로 전년보다 0.8%p가 줄었다.외국인 주주가 받은 현금 배당금은 9조3433억원으로 총액의 31.7%였다. 국적별로는 미국인 주주가 3조9718억원을 수령해 가장 금액이 컸고, 영국(8408억원), 싱가포르(5783억원), 룩셈부르크(5404억원) 등 순이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5.29 11:50
산업

10년간 여성 주식 배당 증가율 1~3위 이부진·이서현·구연경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10년간 여성 중 주식 배당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최근까지 작년도 결산배당을 발표한 상장사들을 대상으로 여성들의 주식 보유 현황과 결산배당을 포함한 2023년 전체 배당액, 10년 전인 2013년 배당액을 분석한 결과, 상위 10명의 배당 총액은 2013년 513억원에서 지난해 4731억원으로 9배 증가했다. 10년간 배당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인물은 고 이건희 회장의 장녀인 이부진 사장이었다. 이 사장은 2013년도에 삼성SDS 지분 3.9%에 대한 배당금 15억1000만원을 받았으나 이후 상속에 따른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등 지분에 대한 배당이 반영돼 2023년도에는 9571.7% 증가한 1459억9000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이어 2013년도에 언니인 이부진 사장과 동일한 15억1000만원을 받았던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지난해 6140.2% 늘어난 941억9000만원을 수령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증가율 3위는 고 구본무 LG 회장의 장녀인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다. 2013년 ㈜LG 보유 지분 0.7%에 대한 배당금으로 12억2000만원을 받은 그는 이후 상속으로 지분율이 2.92%로 상승했다. 또 주당 배당액도 1000원에서 3100원으로 늘면서 작년도 총 배당액은 10년 전 대비 1031% 증가한 121억6000만원을 받게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여성 중 총 배당액 1위인 이건희 선대회장의 부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은 2013년도 삼성전자 지분 0.75%에 대한 배당금 154억9000만원을 받았다. 올해 1월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지분 일부를 블록딜로 매각해 보유 지분은 줄었으나 배당금은 지난해 보유 기준에 따라 1464억원을 받아 10년 전 대비 845.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다만 홍 전 관장을 비롯한 삼성가 세 모녀는 지분평가액과 배당액은 늘었으나 이건희 회장 별세 이후 유족이 내야 하는 12조원 규모의 상속세 부담이 큰 상황이다.이밖에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이 13억6000만원에서 94억7000만원으로 증가율 5위(598.9%)에, 김주원 DB그룹 부회장이 28억8000만원에서 118억2000만원으로 6위(310.4%)에 올랐다. 김두용 기자 2024.03.12 11:31
산업

현대차·기아 역대 최대 배당, 주총 쟁점 '배당·자사주 소각'

국내 기업의 ‘청문회’로 불리는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에 따라 주주환원이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들은 배당과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상장사들이 조만간 차례로 정기 주주총회를 열어 재무제표 승인, 정관 변경, 이사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의 안건을 상정한다.현대차는 역대 최대 배당을 책정하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화답하고 있다. 21일 주총에서 보통주 기준 주당 8400원의 결산 배당을 승인할 전망이다. 현대차는 연간 총배당금은 1만1400원을 기록했다. 시가배당율이 보통주 기준으로 4.6%를 기록했고, 배당금 총액만 2조2123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최대 실적을 달성한 기아도 기말 배당금을 5600원으로 책정했다. 전년 대비 무려 2100원으로 올렸다. 기아의 시가배당율은 6.4%로 현대차보다 높았고, 배당총액은 2조2188억원이다. SK이노베이션은 2011년 출범 이후 처음으로 7936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삼성물산도 자사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1조원 이상 규모를 소각할 예정이다. HD현대건설기계, SM엔터테인먼트 등도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했다.동아쏘시오홀딩스도 11일 앞으로 3년간 합산 300억원 이상의 현금배당과 매년 3% 주식배당을 하겠다고 밝혔다. '2024~2026년 3개년 주주환원 정책'에 따르면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이 기간 영업현금 흐름에 유무형 자산 취득과 지분투자에 사용한 재원을 제외한 '별도 잉여현금흐름' 기준으로 50% 이상을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주주환원 규모 내에서 배당 후 잔여 재원은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활용할 예정이다. 주주환원 강화 의견과 관련해 마찰을 빚고 있는 금호석유화학은 경영권 분쟁까지 이어지고 있다. 행동주의펀드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이하 차파트너스)은 박철완 전 금호석유화학 상무로부터 권리를 위임받아 이사회 결의가 없어도 주총 결의만으로 자사주를 소각할 수 있도록 정관을 변경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기보유 자사주(18.4%)와 관련해 올해 말까지 50%를 소각한 뒤 내년 말까지 나머지 50%를 소각하는 안 등을 주주제안으로 제출했다.‘조카의 난’의 중심에 선 박철완 전 상무는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의 조카로 2021년과 2022년 주총에서 박 회장 측과 맞붙은 바 있다.금호석유화학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기존에 보유한 자기주식의 50%를 3년간 분할 소각하고, 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 목적으로 추가 취득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차파트너스 측은 "나머지 절반은 왜 소각하지 않는 것인지, 백기사에 넘겨 우호지분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고 주장했다.이에 금호석유화학은 지난 8일 입장문을 내고 "차파트너스가 사실상 박 전 상무 개인을 대리해 움직이는 것과 다를 바 없고, 차파트너스가 주장하는 소액주주 가치 제고와 무관하다"고 반박하는 등 22일 주총을 앞두고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4.03.12 07:00
산업

제약사들 '주주가치 제고'라지만 무상증자 효과는 미미

제약사들이 배당 성격으로 무상증자를 시행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고 있다. 매년 연말이면 무상증자를 시행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 한미약품, 종근당, JW신약 등이 올해 무상증자를 공시하며 주주환원 실천에 나서고 있다. 이들의 무상증자는 보통주 1주당 0.02~0.05주 수준이고, 신주 배정기준일이 내년 1월 1일로 유사하다. 유한양행이 제약사 중 무상증자의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무상증자를 시행한 지 약 20년 가까이 됐다. 또 2016년 이후부터는 7년 연속으로 무상증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올해도 0.05주를 배정했다. 종근당도 지난 8일 보통주 1주당 0.05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매년 12월 0.05주의 무상증자를 6년간 진행하고 있다. 종근당 관계자는 “주주친화 정책의 일환이다. 유한양행 등 많은 제약사들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과 한미사이언스도 지난 15일 보통주 1주당 0.02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공시했다. 이날 JW신약도 보통주 0.05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발표했다. 무상증자는 기업이 이사회 결의를 통해 준비금을 자본금에 전입하는 것으로 자본금과 발행 주식 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유상증자와 달리 주주가 주식 대금을 납입하는 것이 아니라서 기업 가치에 실질적인 변동은 생기지 않는다. 무상증자는 주주가 추가적으로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주식을 얻을 수 있어 배당적인 성격이 강하다. 반면 유상증자는 주주가 신주를 얻기 위해 대금을 지불해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을 활용해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개념이라 주로 제약사들이 시행하고 있다. 반면 자본금이 필요한 바이오 기업들의 경우 유상증자를 한다”고 설명했다. 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 재원을 활용해 주식 배정을 하는 것이지만 현금배당과는 차이가 있다. 무상증자는 이사회 결의만으로 가능하고, 현금배당은 주주총회를 통과해야만 한다. 소득세 부분에서도 차이가 있다. 주주가치 제고 차원이라지만 무상증자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무상증자는 자본잉여금을 재원으로 하기 때문에 잉여금이 주식으로 바뀌는 자본 변동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금융감독원은 “유상증자와 달리 무상증자는 외부 자본이 회사로 유입되지 않아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무상증자 비율이 높은 경우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하기도 하지만 실질적 기업가치 변동이 없다면 주가가 다시 하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무상증자의 효과도 미미하다. 최근 무상증자가 호재라는 인식을 심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주가 반등도 일어나지 않는 추세다. 이에 제약사들은 무상증자와 현금배당을 동시에 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고 있다. 유한양행은 무상증자와 현금배당을 모두 시행하고 있다. JW중외제약도 그동안 무상증자를 해오다가 올해 현금배당을 하기로 결정했다. JW중외제약은 올해 이익이 증가하면서 확보한 이익잉여금을 통해 현금배당으로 선회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총 주식수가 증가하는 무상증자 대신, 회사의 실적을 통해 확보한 현금 유동성을 활용해 현금배당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3형제(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제약)도 지난 16일 주식·현금 동시배당을 결정했다. 셀트리온은 보통주 1주당 375원의 현금과 0.04주의 주식배당을,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보통주 1주당 130원의 현금과 0.04주의 주식배당을 결정했다. 셀트리온제약은 현금배당이 없는 대신 1주당 0.05주의 배당을 실시한다. 업계 관계자는 “무상증자는 배당적인 성격이 있지만 주식가치가 유지돼야만 주주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으로 돌아갈 수 있다. 예전에는 무상증자로 인해 주식수 증가가 주가 변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2young@edaily.co.kr 2022.12.20 07:01
경제

셀트리온 배당 등 주주가치 제고, 소액주주 '주주연대 선언문'으로 대치

셀트리온이 현금 및 주식 배당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에 나섰지만 소액주주들은 주주연대 선언문을 발표하는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셀트리온그룹의 3개 상장사인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은 17일 각각 이사회에서 현금 및 주식 배당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배당 기준일은 이달 31일이다. 셀트리온은 보통주 1주당 750원의 현금과 0.02주의 주식배당을 결정했다. 현금배당 총액은 약 1025억원이고, 주식 배당 발행 총수는 273만2479주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보통주 1주당 260원의 현금과 0.02주의 주식을 배당한다. 현금배당 총액과 주식배당 발행 총수는 각각 399억원과 306만5845주다. 셀트리온 측은 “회사의 미래가치를 주주와 공유하는 동시에 이익을 주주에 환원하기 위해 현금과 주식을 동시에 배당한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제약은 현금 배당 없이 보통주 1주당 0.03주의 주식을 배당하기로 했다. 주식 배당 발행 총수는 109만4265주다. 셀트리온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 성향을 늘리고 있다. 배당 성향 16%로 두 자릿수를 보이고 있다. 배당금 및 배당주식은 모두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을 거쳐 주주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지난 15일 셀트리온 주주연대는 ‘주주연대 선언문’을 발표하는 등 항의를 이어나가고 있다. 주주연대 선언문에서는 “주주간담회나 서정진 명예회장 면담 등이라도 수용했다면 이렇게 처절한 심정은 아니었을 것”이라며 투쟁을 선언했다. 주주총회에서 발표한 매출 2조원 목표 미달 시 경영진에 대한 책임 추궁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했다. 주주연대는 “기우성 셀트리온 부회장에 대해 경영능력 부족 및 주가 하락을 방치한 책임을 물어 퇴진을 요구하겠다. 이어 서진석 이사회 의장의 경영진 관리감독 부실 책임을 물어 이사회 의장 퇴진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2021.12.18 12:06
경제

'매도 금지' 경고에도 '유령 주식' 판 삼성증권 직원들… 도덕적 해이 심각

삼성증권 일부 직원들이 '유령 주식 배당 사고'에서 심각한 도덕적 해이(모럴해저드)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회사의 '매도 금지' 경고에도 '유령 주식'을 팔아 주식시장의 혼란을 야기했다.9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의 기자브리핑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지난 6일 오전 9시39분 증권관리팀장이 본사 부서에 배당 입력 오류 사고를 유선으로 알리고, 9시45분 착오 주식 매도 금지를 공지했다. 9시51분에는 사내망으로 '직원 계좌 매도 금지' 긴급 팝업 공지 뒤 5분 단위로 2차례 더 팝업창을 띄웠다.그러나 직원 16명은 이를 무시하고 당일 오전 10시5분까지 약 26분 동안 주식을 팔았다. 이들은 잘못 입고된 주식 28억1000만 주 중 501만 주를 주식시장에 매도했다. 이 때문에 삼성증권 주가는 한때 전일 종가 대비 약 12%가량 급락했다.주식을 판 직원 중에는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도 포함됐다. 애널리스트는 시장과 기업의 분석 내용을 투자자에게 전달해 올바른 투자 판단을 돕는 역할을 한다.원승연 금감원 부원장은 "일부 직원은 회사의 경고 메시지와 매도 금지 요청에도 불구하고 착오 입고된 주식을 매도하는 등 심각한 도덕적 해이를 보였다"고 말했다.삼성증권은 주식을 내다 판 직원 16명에 대해서 이날 대기발령 조치를 했으며 이후 감사를 진행해 문책을 결정할 계획이다.이번 사태로 삼성증권의 내부통제 허점도 드러났다.삼성증권 배당 담당 직원이 지난 5일 주식배당을 잘못 입력한 뒤 최종 결재자인 팀장이 이를 확인하지 않은 채 승인했고 다음 날인 6일 오전까지도 오류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 배당 착오 입고를 인지하고 주문을 차단하는 데까지 무려 37분이나 걸렸다.금감원은 이번 사태를 직원 개인의 잘못이라기보다는 회사 차원의 문제로 보고 삼성증권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특히 원 부원장은 이날 구성훈 삼성증권 대표를 면담하고 "증권회사로서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철저한 사고 수습을 촉구한다"고 말했다.삼성증권은 이날 '투자자 피해구제 전담반'을 설치했다.피해를 본 투자자는 삼성증권 홈페이지 내 민원신고센터, 콜센터(1588-2323), 각 지점 업무창구로 접수할 수 있다. 지난 6일 이후 이날 오전 11시까지 접수된 피해 사례는 59건에 달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 2018.04.09 16:24
생활/문화

지엠대우자동차, 우선주 배당이 2만 4499원

우선주 1주당 배당금이 2만 4499원.인터넷검색을 하던 직장인 김 모씨는 깜짝 놀랐다. 우선주를 샀다가 매도 타이밍을 놓쳐 팔지도 못하고 끙끙하고 있었는데 배당금에 눈이 휘둥그래졌다. 상장사들은 우선주 주주를 찬밥 대우한다. 의결권도 없는데다가 배당도 보통주와 같거나 0.5%정도 더 주는 정도가 고작이다. 보통주가 1000원이면 우선주는 1050원정도다. 그는 물량이 적어 거래에 애를 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지엠대우자동차가 금융감독원에 제시한 2007년 감사사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산업은행이 보유한 우선주를 대상으로 현금배당을 실시한다. 32만255주에 1주당 2만4499원씩, 총 78억여원을 지급한다. 주당 액면가가 400원인 것을 감안하면 배당률은 6000%를 넘는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들여다보면 결코 고배당이 아니다. 이 우선주들은 GM이 대우자동차를 인수하면서 채권단에게 발행한 주식이다. 채권 성격을 띤 우선주였다. 인수 후 6~15년 차까지 우선주를 대상으로 이익잉여금으로 연간 차등 비율의 현금 배당을 실시키로 했다. 지난 해에 이어 연속 현금배당을 실시했다. 지난해 현금배당은 우선주 한 주당 45.4원이었다. 이와 함께 2006년에는 주채무상환약정에 따라, 우선주 보유자에게 주식배당을 우선주 2만 5533주(8.7%)를 배정했다. 이 것을 합한 주식이 32만 255주다. 올해는 5159주(1.6%)를 추가로 지급했다.GM이 대우자동자를 인수하면서 갚아야 할 채권가액이 1조 6000여억 원이다. 우선주식 수로 채권가액을 나누면 주당 채권액은 500만원이 넘는다. 액면가가 400원이지만 우선주 가치는 500만 원짜리인 셈이다. 500만 원 주식 배당금이 2만 4499원이다. 결코 부러운 상황은 아니다.지난해에는 12조 5136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9조6041억 원을 기록했던 2006년 대비 30.9%가 증가했다. GM대우는 우선주에만 배당을 실시하고 GM이 보유한 72.0%의 보통주에는 배당을 하지 않았다. 산업은행이 신탁보수를 받고 우선주를 관리하고 있다. 27일 입금이 되면 각 주주에게 나눠준다. 김천구 기자 2008.04.11 09:21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