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6시30분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점(부티크 104호)에서는 '제53회 백상예술대상 후보작상영제(이하 '백상 후보작상영제')'가 열렸다.
'백상 후보작상영제'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개최되는 이벤트로, 이번 상영제는 평론가·칼럼리스트와 함께 5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상 후보에 오른 다섯 작품 상영 및 관객과의 대화(GV·Guest View)가 진행된다.
23일 '아가씨' '아수라'에 이어 26일에는 김태훈 칼럼리스트와 함께 '곡성' 상영제가, 27일에는 신기주 에스콰이어 편집장과 민용준 에스콰이어 에디터 진행으로 '밀정' 상영제가 개최된다.
'백상 후보작상영제'가 소개한 첫 번째 영화는 '아가씨(박찬욱 감독)'. 지난 2016년 6월 1일 개봉한 '아가씨'는 배우 김민희·김태리·하정우·조진웅이 열연, 박찬욱 감독이 탄생시킨 또 한 편의 문제작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최종 누적관객수 428만8318명을 기록했다.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화제를 모은 '아가씨'는 전세계 6개 대륙 175개국에 판매되며 한국영화 역대 최다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또 69회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 진출을 시작으로 1년이 지난 현재까지 각종 해외영화제 초청 및 수상을 독식하며 글로벌 인기를 입증시키고 있다.
이 날 영화 상영 후 이어진 관객과의 대화 시간에는 김태훈 칼럼리스트의 진행 아래 약 30여 명의 관객들이 '아가씨'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김태훈 칼럼리스트는 "이 작품에 대해서는 워낙 많이 알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한다. 개봉 후 수 많은 평론가들이 자신들만의 해석을 내놨고, 박찬욱 감독도 여러 인터뷰를 통해 감독의 입장을 전했다"고 여전히 다양한 의미로 회자되고 있는 '아가씨'에 대해 논했다.
이를 증명하듯 관객들은 1년 후 다시 관람한 '아가씨'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궁금증을 쏟아냈다. 40분이라는 시간동안 십여 가지의 질문이 끊임없이 이어졌고, 김태훈 평론가는 관객들이 납득할 만한 답변을 통해 공감대를 자아냈다.
또 모든 행사가 끝난 후에는 추첨을 통해 4명(1인2매)의 관객에게 53회 백상예술대상 참석 티켓을 증정했다.
※'53회 백상상영제·아가씨②'에서 이어집니다.
- 관객질문 6 : 히데코의 초상화를 비롯해 여러 그림이 지속적으로 비춰진다. 어떤 의도였는지 의견을 듣고 싶다.
"시대적인 분위기를 묘사하려는 것 아닌가 싶다. 대부분 사진을 찍지 요즘 초상화를 그리는 사람은 없다. 과거에는 귀족들이 하는 데코 중 하나가 초상화를 남기는 것이었다. 또 다른 의미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시대를 표현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멋진 장면이었다. 박찬욱 감독은 기괴한 색감과 조형물 등을 자신만의 색과 스타일로 많이 배치하는데, '친절한 금자씨'의 방 인테리어, '올드보이'의 감금실 풍경 역시 기괴함을 띈다. 박찬욱 감독의 취향이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사진을 잘 찍는 감독으로도 유명하기 때문에 그런 영향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 관객질문 7 : 남성이 욕망을 숨기려 한다는데 현실은 반대 아닌가.
"단순하게 남성이 욕망을 숨기려 했다는 것은 아니고 왜곡돼 나온다는 것이다. 순수성으로써 보여지고 싶어 하지만 정상적이지는 않다. 힘을 통해 여성들을 통제하고 즐기려는 과정 자체도 관계의 이상함을 의미한다. 후반부에 가면 여성은 탈출·해방을 얻지만 남성은 공간 안에서 서로가 서로를 죽인다. 현실을 반영했다기 보다는 박찬욱 감독의 세계관이 담겨 있는 것 아닌가 생각한다. 남성이 성적 욕구를 드러내는 것은 많다. 하지만 정직하고 순수할 수 없다. 최근에도 얼굴 찌푸리게 만든 뉴스가 있지 않았나. 동남아 돌아다니면서 이상한 짓을 하는. 그러한 지저분함과 왜곡돼 있는 부분을 조롱하면서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
- 관객질문 8 : 히데코와 숙희의 관계는 단지 사랑 뿐이었을까. 단순히 동성애가 끝은 아닌 것 같다. 사랑과 우정을 명확하게 보여주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정확하게 보신 것 같다. 히데코와 숙희는 단순히 동성애적 사랑 뿐만이 아니라 연대를 통해 함께 운명을 개척하는 동료의식도 있다. 숙희가 백작에게 히데코를 말하면서 '천지간에 아무도 없는 애야'라는 말을 하는데 그 대사는 여전히 내 머릿속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굉장히 매력적으로 느꼈던 부분이 아닌가 생각한다.
과거 박찬욱 감독과 몇 번 인터뷰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박찬욱 감독이 영화를 만드는 방식은 먼저 아주 딜레마 가득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시작한다는 것이다. '공동경비구역 JSA' 같은 경우는 북한과 남한이 대치하고 있는 와중에 친구가 된다. 적군인데, 친구가 되면 안 되지 않나. '복수는 나의 것'을 봐도 송강호·배두나·신하균 씨 셋 다 사실은 좋은 사람들이다. 악당이 아니다. 근데 돌봐야 하는 누나가 있는 신하균 씨가 사기를 당하고, 평범한 회사원이자 아빠인 송강호는 딸이 희생 당하면서 싸운다. '박쥐'는 사람을 살려야 하는 신부가 뱀파이어가 된다. 불륜에 빠져 들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적인 딜레마, 복잡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그 안에 캐릭터를 투여해 곰곰히 생각한다는 것이 박찬욱 감독 식 영화 창작 방식이라는 것이다. '과연 그 속에서 이 캐릭터들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예술의 본질에 가까이 가 있는 감독이라 생각한다. 대중적 상업영화 감독이면서도 예술성을 잘 녹여내는 감독이 아닐까 싶다."
- 관객질문 9 : 개봉 당시에도 베드신이 큰 화제를 모았다. 처음에는 '너무 길고 노골적이지 않나' 생각하기도 했다. 만약 이 영화에서 베드신을 제거하고 등급을 낮췄다면 어떻게 됐을까.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웃음) 아마 그렇다면 만드는 방식이 바뀌었을 것이다. 근데 그 장면을 빼버린다면 중심 이야기가 사라지는 것과 다름 없다. 어떤 글귀에서 멋진 단어를 빼버리는 듯한? 장기를 둔다면 차포를 다 떼버린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많은 분들이 히데코와 숙희의 베드신을 보면서 '어색했다'고 말한다. 나 역시 낯설게 느낀 것이 사실이다. '내가 남성이라 여성들의 동성애 장면이 어색했나?'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따져보니 우리는 지금까지 그런 장면을 많이 못 봤다는 것이다. 익숙하지 않다는 것으로 바꿔 설명할 수 있다. 남성 중심의 베드신은 많다. 성인 야동 및 상업영화 속에서도 비일비재했고 많이 봐 왔다. 하지만 여성들의 정사신은 그렇지 못하다. 포르노를 자주 보는 사람들이 한 시간 내내 남녀 성행위 장면을 본다고 '아~ 어색해'라고 할? 아니다.
그렇다면 '왜 많이 못 봤지?'라는 궁금증이 들 수도 있다. 2016년까지도 대한민국 문화에서 여성 동성애를 다루는 태도이지 않았을까 싶다. 금기시 하고 많이 보여주지 않은. 앞으로 비슷한 장면이 많은 영화에 좋은 의미를 갖고 담긴다면 어느새 자연스러워 질 것이라 생각한다."
- 관객질문 10 : 다시 한 번 별점을 매긴다면 몇 개를 줄까 궁금하다.
"내가 이동진 평론가와 영화 프로그램을 오래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 번도 나를 '영화 평론가'라고 소개한 적은 없다. 그냥 글을 쓰는 칼럼리스트일 뿐이다. 내 방식대로 작품을 소개하고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즐긴다. 그 과정에서 이동진 기자가 혹독한 별점을 주면서 나도 줬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결과적으로 난 단 한 번도 별점을 매긴 적이 없다. 음반 리뷰는 본업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음반에 대해 별점을 준 적은 있지만 영화는 없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아쉽지만 별점으로 표현할 수는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