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8로 전분기인 지난해 4분기 -8보다 10포인트 떨어졌다.
대출행태 조사는 금융기관의 대출태도에 대한 지난 3개월의 동향과 향후 3개월의 전망을 조사하는 것으로, 지수는 100에서 -100까지 분포한다.
대출태도지수가 양(+)면 금융기관이 대출을 완화하는 것이고 음(-)이면 대출을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특히 은행들은 중소기업과 가계에 대한 대출을 대출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올 1분기에 -7로 전분기 3이었던 것에서 마이너스로 전환했으며, 가계주택에 대한 지수는 -30으로 전분이 -27보다 3포인트 줄었다. 가계일반 대출에 대한 태도지수는 -13으로 전분이 -17보다 5포인트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어 금융기관들의 대출 강화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계에 대한 대출태도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신용위험 증가 등으로 주택담보와 일반자금 대출 모두 강화될 전망이다.
올 1분기 신 총부채상환비율(DTI)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등 도입으로 은행들이 대출 심사를 한층 깐깐하게 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 전분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올 1분기 중 은행들의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0으로 전분기 3에서 소폭 내렸다.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23으로 전분기 19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신용위험지수가 높을수록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차주별로는 가계 신용위험 전망이 27로 전분기 17보다 10포인트나 급증했다. 중소기업은 23으로 3포인트 증가했으며, 대기업은 10으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