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의 의류건조기 구조. 최근 LG전자의 콘덴서 자동세척 의류건조기에 대한 소비자 피해 상담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LG전자 의류건조기 관련 소비자 피해가 530건에 달했다고 9일 밝혔다.
특히 콘덴서 자동세척 기능 관련 피해는 지난해에는 2건에 불과했지만, 올해 6월까지는 29건으로 늘었고 이달에는 1일부터 8일까지 147건이 접수됐다.
피해 상담의 주 내용은 자동 세척을 해준다는 콘덴서 안에 먼지가 잔뜩 끼어있고 건조를 마친 의류에서 냄새가 난다는 것이다.
올 상반기까지 접수된 530건의 피해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하면 고장이나 하자 등 품질 관련 피해가 66%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건조기 작동시간이 계속 늘어나는 등 고장 관련 피해가 137건으로 가장 많았고 콘덴서 자동세척 관련 피해가 31건이었다.
건조기 사용 시 소음이나 진동(52건), 비린내나 탄내 등 냄새(31건)가 난다는 내용도 있었다.
한국소비자연맹은 LG전자에 원인 규명과 함께 피해 소비자들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LG전자는 이날 자동세척 콘덴서에 대해 10년 무상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LG전자 측은 "콘덴서에 일정 수준의 먼지가 있더라도 의류건조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며 "하지만 고객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세척 콘덴서에 대해 제품 구입 후 10년간 무상으로 보증하겠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또 "보증 기간 내에 불편함을 느끼는 고객의 경우, LG전자 서비스에 연락하면 서비스 엔지니어가 방문해 제품상태를 점검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했다.
LG전자는 먼지 문제는 대부분의 의류건조기에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 측은 "옷감의 습기를 빨아들인 고온 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콘덴서를 통과하면 습기가 물로 바뀌면서 먼지와 함께 배출된다"며 "일부 먼지는 콘덴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콘덴서에 남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류건조기의 콘덴서에 먼지가 달라붙는 것은 콘덴서 세척 방식이나 제조사에 관계없이 동일하므로 어떤 방식이든 건조효율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먼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권오용 기자 kwon.ohyong@j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