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배구연맹(KOVO)은 지난주 포털사이트에 스포츠 기사 댓글 기능을 개선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신무철 KOVO 사무총장은 "단기간에 달라지기는 어렵겠지만, 이번 사건으로 인해 스포츠 댓글 문화가 달라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고유민 전 프로배구 선수가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고유민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스물다섯 꽃다운 나이에 세상을 등진 이유를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지난 3일 유튜브 채널 '스포카도'에 공개된 생전 마지막 인터뷰에서 그녀는 악플 때문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에서 고유민은 "14년 동안 레프트로 뛴 내가 (팀 사정 때문에) 리베로를 맡았다. '네가 배구 선수냐', '내가 발로 해도 그것보다 잘하겠다'는 등의 악플을 받으니 운동을 하기 싫었다. 왜 내가 노력을 해보지도 않은 포지션(리베로)을 맡아서 욕을 먹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이 영상은 "악플로 고통받는 선수가 더는 없길 바란다"는 고유민의 유족의 요청에 따라 공개됐다.
같은 날 유승민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선수위원은 "(포털 사이트) 스포츠 뉴스에서 댓글 금지법을 발의해줄 것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님들께 요청한다"고 요구했다. 사회 곳곳에서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네이버와 다음카카오, 네이트 등 국내 3대 포털 사이트는 스포츠 뉴스 댓글 서비스를 잠정 중단한다고 7일 발표했다.
21세기 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일방향 정보는 쌍방향 소통으로 진화했다. 그 핵심이 댓글이었다. 한 줄의 댓글은 한 시민의 목소리다. 작은 소리가 모여 아우성이 된다. 그렇게 형성된 여론이 천둥처럼 크게 울리기도 한다. 댓글은 온라인에서 '광장' 역할을 해왔다. 사람이 많이 모이자 광장은 오염되기 시작했다. 큰 소리로 욕하고, 상대를 물어뜯었다. 거짓 정보를 근거로 궤변을 늘어놓는 이들도 나타났다. 건설적인 비판과 번뜩이는 통찰을 담은 글도 있다. 그러나 많은 사례에서는 '악플이 선플을 구축(驅逐)'한다.
우리는 얼굴을 맞대고 논쟁하는 데 서툰 반면, 날 선 댓글을 다는 데에는 소질이 있다. 특히 정치 뉴스 댓글을 보면 해학과 분노가 치열하게 엉켜있다. 본인 부고가 아니라면 뉴스에 나오는 것은 다 좋다는 정치인들도 '온라인 광장'에서 뒹군다. 욕먹는 게 일상인 그들조차 때론 고통을 호소한다.
정치 기사 이상으로 댓글이 많은 곳이 연예 뉴스였다. 악플의 향연 속에서 여러 연예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해 설리, 구하라 등 오랫동안 악플에 시달렸던 유명 연예인이 세상을 등지자 포털 사이트는 연예 뉴스 댓글을 폐지했다. 그리고 스포츠 선수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자 스포츠 뉴스 댓글 서비스 중지라는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스포츠는 한 생명을 잃었다. 어쩌면 스포츠가 잃은 것은 한 명만이 아닐지도 모른다. 스포츠 팬들은 거의 20년에 걸쳐 생명력 있는 스포츠 뉴스를 잃어가고 있다.
스포츠 스타들을 취재하면서 그들의 말과 태도가 계속 바뀌고 있다는 걸 느낀다. 선수들은 "개인 기록은 중요하지 않다. 팀 승리만 생각하겠다"고 말한다. "FA 계약은 신경 쓰지 않는다. 팀 우승이 먼저"라는 소감도 전한다. 팀을 생각하는 선수의 마음을 의심하고 싶진 않지만, 그들의 말을 온전히 다 믿기 어렵다.
선수들도 아마 이렇게 말하기 민망할 것이다. 그래도 시행착오 끝에 완성한 '모범답안'을 말한다. 그게 악플을 받지 않는 길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튀는 발언', '솔직한 심정'은 두고두고 악플의 사냥감이 된다는 걸 선수들은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트집 잡히지 않을 말로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선수 인터뷰에서 개성과 신념을 발견하기가 그래서 어렵다.
감독도 자신과 자기가 언급한 선수에게 비난이 쏟아지지 않도록 아주 조심한다. 자신의 지휘철학을 말하는 데에도 방어적이다. 한 전직 감독은 "과거 감독들은 성적만 올리면 됐다. 지금은 성적을 잘 내더라도 말 한 번 잘못하면 욕을 먹는다. 그런 뜻으로 말한 게 아닌데도, 본의가 왜곡되는 경우도 많다. 여론을 신경 쓰는 데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한다"고 말했다.
한국 스포츠에서 악플을 가장 많이 받는 직업은 축구대표팀 감독과 프로야구 감독일 것이다. 그 자리에 오른 사람은 예외 없이 '온라인 광장'에서 분노의 화염을 경험했다.
프로야구 제리 로이스터(롯데), 트레이 힐만(SK) 등 외국인 사령탑은 좋은 성과를 올렸다. 그래서 악플의 공격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반대로 생각해 보면 그들은 한글로 쓰이는 여론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 역대 감독들이 극심한 악플 공격을 받았던 KIA의 지휘봉을 잡은 맷 윌리엄스 감독은 무난하게 올 시즌을 보내고 있다. 윌리엄스 감독에게는 여러 장점이 있지만, 그중 하나는 한글을 모르는 것(기사와 댓글에 민감하지 않은 것)인 것 같다.
스포츠를 취재하면서 강인한 체력과 최고의 기술을 가진 스포츠 스타들을 만났다. 산전수전을 겪은 감독들과 대화할 기회도 많았다. 그들은 단단해 보이지만 멘탈까지 강철은 아니라는 걸 느꼈다. 조금 덜 그래 보일 뿐, 그들도 우리처럼 연약한 존재라는 사실을 오래지 않아 깨달았다.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사임하거나, 심지어 경기 중 쓰러진 감독도 우리는 목격했다.
악플의 역사가 긴 만큼 악플러의 정체는 꽤 드러났다. 익명의 가면을 벗자, 그들은 평범한 이웃 같은 경우가 많았다. 개인적인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혹은 스타에 대한 질시 때문에 악플을 쏟아냈다. 여기에 갈 곳 없는 사회적 분노가 더해지면 그 에너지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런 과정을 거쳐 2018년 한 국회의원은 "야구를 댓글에서 배운다"며 야구 대표팀 감독과 한국야구위원회(KBO) 총재를 차례로 국정감사장에 세웠다. 악플이 기반이었던 국감장에선 댓글보다 낮은 수준의 말만 오가다 끝났다.
익명의 폭력성은 스포츠의 재미와 의미를 위협했고, 끝내 한 생명까지 앗았다. 광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면 폐쇄하는 게 맞다. 그래서 포털 사이트의 결정에 찬성한다.
비극에는 악플러의 책임만 있는 건 아니다. 미디어가 정확한 팩트와 올바른 논점을 제시했다면, 뉴스보다 익명의 댓글을 신뢰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포털 사이트가 우수한 콘텐트와 건전한 여론을 담아냈다면, 가짜가 진짜를 밀어내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광장의 폐쇄를 앞두고 스포츠 구성원들은 고민해야 한다. 우리는 진실을 말하고, 진위를 가려낼 준비가 돼 있는지를 스스로 물어야 한다. 건전한 비판이라면 수용할 자세가 돼 있는지도 생각해야 한다.
포털 사이트는 "악성 댓글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며, 실효성이 있다면 스포츠 뉴스 댓글 서비스 재개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만 보완해 댓글 창을 다시 허용한다면, 우리가 바라는 광장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 또 다른 희생자를 막기 위해서 우리는 더 고민하고, 많이 반성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