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의 핵심은 스토리이고, 이를 만드는 작가들은 방탄소년단(BTS)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자신감이 넘쳐요. K콘텐츠가 전세계를 주도할 저력은 여기에 있습니다.”
1996년 20대 초반 영화를 사랑한 청년은 무작정 업계에 뛰어들었고, 40여 편의 작품을 제작했다. 때로는 실패를 때로는 성공을 맛보며 지난한 시간을 견뎠고, 어느덧 30여 년 업계에 몸 담고 있는 베테랑이 됐다.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말 그대로, 살아남기 위해 드라마 제작에도 뛰어든 자칭 ‘드린이’의 길을 걷고 있다. 영화 ‘범죄도시’ 시리즈와 드라마 ‘킹덤’과 ‘악귀’의 공동 제작자인 장원석 BA엔터테인먼트 대표의 이야기다. 장원석 대표는 최근 서울 마포구 합정동에서 일간스포츠를 만나 K콘텐츠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를 이야기했다.
‘범죄도시3’까지 1000만 관객수를 돌파하면서 시리즈 도합 3000만의 관객수를 동원했다. 축하한다.
천운이다. 영화계가 이렇게 힘든데 흥행작이 됐다. 사실 한국영화들 중 흥행작은 손에 꼽히지 않나. 천운이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다. 기가 막힌 기회를 잡은 거다. 솔직히 ‘범죄도시’를 사랑해주셔서 너무 감사하지만 제작자 입장에선 이 정도의 흥행을 낼 만큼 재미를 보장했느냐, 기가 막히게 잘 만들었느냐 묻는다면 자신 있게 그렇다고 답 못한다.
한국영화가 관객들의 선택을 받기 더 어려워지고 있다. 제작자 입장에서 어떤 해결책이 필요하나.
정답은 있죠. 완성도 높고 밀도 있는 이야기를 가지고 더 많은 볼거리, 재미와 감동을 추구해야 한다. 뻔한 말일 수 있지만 이건 관객들에게 통한다. 꼭 영화의 사이즈와 결부돼 있는 것 같지 않다. 최근 개봉한 ‘밀수’, ‘콘크리트 유토피아’도 그렇지 않나. 그건 드라마도 마찬가지다. 그래도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1일 평균 관람객수는 전세계적으로 아주 높은 편이고 N차 관람을 할 정도로 영화를 사랑해주는 관객이 있기 때문에 서서히 극장가가 나아질 희망은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예전에는 영화들끼리 경쟁했다면 이젠 영화와 드라마가 경쟁하는 상황이다. ‘킹덤’을 시작으로 드라마 제작에 뛰어들었다.
“진짜 살아남기 위해 드라마 제작을 시작했다. 나 또한 제작자로서 OTT 등을 통한 콘텐츠 소비 행태 변화에 뒤처지면 안 되지 않나. 다만 너무 힘들었다.(웃음) 왜냐하면 아주 심플하다. 나보다 드라마를 잘 만드는 사람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영화만 주구장창 만든 사람이 드라마 현장에 갔더니 영화 현장과는 모니터와 스테이션 의자 위치, 촬영 속도, PD들의 담당 업무가 너무 다르더라. 슬레이트를 안 치기도 하더라. 정말 드라마에 대해 모르는 ‘드린이’였다. 지금도 배워가고 있다. 영화와 드라마의 다른 점은 반응이다. 사실 한국영화로 세계 1등은 사실상 쉽지 않다. ‘기생충’은 정말 예외다. 그런데 K드라마는 그게 된다. OTT에서 드라마 순위만 보더라도 1위를 수시로 하지 않나. 우리나라는 최소한 ‘동북아의 할리우드’다.
제작자로서 콘텐츠를 만들 때 가장 무엇을 염두에 두고 있나.
무조건 소비자 입장이다. ‘이렇게 만들면 사람들이 볼까’를 고민한다. 이렇게 계속 고민하다 보면 기획의 방향은 소비자 위주가 된다. 예전에는 내가 재밌으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결국 콘텐츠는 소비되고 많은 사람들과 나눠야 한다. 사실 소비자가 뭘 좋아하는지 찾는 건 쉽지 않지만 대본 테스트, 블라인드 시사 등 여러 단계를 더 거치려 한다. 그리고 협업이다.
사실 지난 1980~1990년대 전세계를 강타한 홍콩영화도 1990년대 후반부터 쇠락의 길을 걸었다. K콘텐츠도 단순히 장밋빛 미래만을 그릴 수는 없다.
K콘텐츠의 미래는 아주 밝다. 결국 콘텐츠의 핵심은 스토리텔링인데 우리나라 역사가 여기에 강점을 지닐 수밖에 없는 요인을 가지고 있다.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들의 사회적 DNA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봐야 한다. 콘텐츠 산업에서 트렌드를 모두 읽을 수 없지만 소비자의 기호를 파악하는 게 중요한데 우리나라가 그런 능력이 탁월한다. 식민지와 분단의 아픔, 그리고 지금의 세대는 외환위기 등 다이내믹한 한국을 겪으면서 기민함과 동시에 이런 여러 상황을 흡수해 스토리로 풀어낸다. 콘텐츠에 이게 곧바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 K콘텐츠는 우리나라가 겪은 다이내믹하고 다양한 사건들을 겪은 사람이 만들고, 때로는 그 소재가 녹아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스토리텔링을 하는 작가를 양성하는 거다. 내가 대학시절만 하더라도 문창과, 연극영화과는 전국에 손가락으로 꼽을 만큼 적었다. 그런데 지금은 무척 많지 않나. 문화산업이 돈이 된다는 걸 이제 모두가 안다는 거다. 이런 분위기에서 작가들이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환경이 더 탄탄해져야 한다. 그렇다면 K콘텐츠는 한때의 유행으로 그치지 않을 수 있다. 할리우드도 처음부터 지금의 할리우드가 아니었지 않나. 세계대공황을 거치면서 영상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점점 시스템화됐다. 또 앞으로 K콘텐츠를 이끌 작가들은 BTS, ‘기생충’, ‘오징어게임’을 보고 자랐다. 한국인이 1등하는 걸 보고 자란 만큼 자신감이 넘치다. 지금 K콘텐츠의 위상이 이들에게 기회가 되고 문화적 경험이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어질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