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협력사 작업자가 '올 인 세이프티' 모바일 앱으로 표준화된 작업계획서를 전산에 등록하고 AI의 검토 결과를 받고 있다. KT 제공
KT는 생성형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산업 안전 관리 플랫폼 '올 인 세이프티'를 구축했다고 30일 밝혔다.
올 인 세이프티는 통신 분야 공사 현장의 안전 수준 격차를 해소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솔루션이다. KT와 협력사의 공사가 안전에 대한 법적 의무 사항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고 위험성 평가를 해 자기규율적 예방 체계가 구축되도록 지원한다.
현장의 작업자가 올 인 세이프티 모바일 앱으로 표준화된 작업계획서를 전산에 등록하면, 1차적으로 AI가 위험성을 평가하고 자동으로 리스크 등급을 분류해 안전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이 플랫폼의 AI는 10여 년의 통신 공사와 안전 기준 등의 데이터를 학습했다.
안전 관리자는 작업계획서를 최종 검토하고 고위험 작업의 경우 승인됐을 때만 진행되도록 허가한다. 올 인 세이프티는 KT 외에도 190여 개의 협력사가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됐다. 작업계획서를 수기로 작성하는 불편함도 덜었다.
임현규 KT 안전보건총괄 부사장은 "중소기업은 안전보건 체계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관행적, 관습적으로 수행하는 산업 안전 관리 업무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업무 체계를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