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감독의 새로운 좀비 시리즈 '반도'가 관객과 만난다. '부산행'과 '서울역'에 이은 연니버스(연상호와 유니버스의 합성어)의 확장이 담겼다. 15일 개봉한 '반도'는 '부산행' 그 후 4년, 폐허가 된 땅에 남겨진 자들이 벌이는 최후의 사투를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 2016년 '부산행'으로 전 세계를 강타하며 K-좀비 시대의 서막을 연 연상호 감독이 새롭게 선보이는 작품이다. 연 감독의 신작답게 전 세계의 기대를 얻고 있다. 올해 칸 영화제 공식 초청됐으며, 대만·싱가포르·홍콩·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일본 등 아시아부터 영국·프랑스·독일·스페인·스페인·이탈리아·러시아 등 유럽, 북미·남미는 물론 오세아니아·인도·중동 등 총 185개국에 선판매됐다. 배우 강동원·이정현·권해효·김민재·구교환·김도윤·이레·이예원 등이 새롭게 연니버스에 합류했다.
'반도'는 연상호의 복합적 면모를 담아낸 작품이다. 전작 애니메이션들에서 엿볼 수 있는 그만의 마니악한 취향과 '부산행'에서 보여준 대중 지향적 감성을 고루 섞으려 노력했다. 최근 빠르게 변하고 있는 영화 산업의 흐름 가운데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연출가로서의 생각도 담았다. '반도'는 "대중의 흐름과 공명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는 연 감독이 내놓은 '고뇌의 산물'이다.
-취향은 사실 더 염세적인 편 같은데. "내 취향이 무엇인지 따지자면, 나도 취향이 여러가지다. 영화를 만들 때 꽂혀 있는 게 있는데, 그렇다고 작품이 그 방향으로 가지는 않는다."
-전작 '염력'의 흥행 실패 이후, 취향을 고집하기보다는 대중적인 것을 더 추구했나. "이미 '부산행' 때 그런 걸 했다. 자본적인 것도 그렇고, 어느 정도의 관객을 만족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 확실히 있었다. 그건 '염력' 같은 경우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다. 영화를 만들 때 가상의 관객을 만든다. '사이비'는 그 가상의 관객이 연상호였다. '부산행'은 가상의 관객이 연상호여서는 안 될 것 같았다. 여러 명의 이미지를 넣었다. 영화를 만들 때 아주 개인의 취향과 가상의 관객 둘을 놓고 작품을 기획한다. 그리고 둘의 다툼이 존재한다. '염력' 같은 경우는 내 개인 취향이 많이 들어간 것 같다."
-'부산행'에서는 보호받았던 여성과 어린이가 이번엔 강하게 그려진다. "캐릭터가 달라져야 한다는 생각은 있었다. 아이에 대해 많이 달라졌다. 나도 아이를 키우고 있다 보니, 아이들이 생각보다 강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아이들은 적응력이 빠르다. 오히려 어른들보다 적응력이 빠르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이런 세상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은 더 그럴 거다. 나만 하더라도, 도시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서른살 때까지도 아기였다. 옛날 우화를 보면 5살짜리가 소를 끌고 다닌다. 그땐 더 거친 세상이었겠다. 어떤 환경에 있느냐에 따라 아이가 발현할 수 있는 능력이 무한대가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생각했다. (이정현이 연기하는) 민정이라는 캐릭터는 복합적이다. 정신적으로 강하면서도 가족이라는 공동체에 대한 집착이 있다. 그게 민정의 힘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여성과 어린이 캐릭터가 강하게) 그려졌다."
-연상호 감독의 유니버스, 연니버스라는 말이 생겼다. "연씨가 희귀해서 그런 것 같다.(웃음) 마케팅에서 그걸 포인트로 잡은 모양인데, 거기에 대해서는 아무 생각이 없다. 그냥 좀비물이다. 연씨가 희귀해서 그런가 보다. '돼지왕'과 '사이비'는 '부산행'과 너무 다르고, '부산행'과 '염력'은 너무 다르다는 그런 시선이 있다. 연상호가 하는 건 공통점이 있다고 보는 분들도 있다. 그 시선이 격렬하게 다르더라. 예술가는 존재 자체도 계속 논란 혹은 이슈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격렬한 반응을 해주시는 건 내가 운이 좋다는 것이다."
-'부산행'의 히트 이유를 늦게라도 찾아본다면. "명확한 답은 모르겠다. 명확하게 아는 사람이 있다면, 그분이 하는 일의 주식을 사야 한다.(웃음) 엔터 쪽은 명확한 답이 없다. 영화를 만드는 것은 대중의 흐름과 공명해야 한다. 단지 영화만의 존재 이유만으로 되지 않는다. 개봉 시점, 시대의 흐름 모두 중요하다. '부산행'이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해서 그렇게 됐나? 아니다. 대부분의 상업 영화에서 기술적으로 리포트를 낼 수 있는 건 많지 않다. 항상 그걸 리포트로 내지만, 절대 안 맞는다. 영화를 만들고자 할 때 그래서 항상 고민이 된다. 내년은 흐름이 무엇일지 항상 고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