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감독의 새로운 좀비 시리즈 '반도'가 관객과 만난다. '부산행'과 '서울역'에 이은 연니버스(연상호와 유니버스의 합성어)의 확장이 담겼다. 15일 개봉한 '반도'는 '부산행' 그 후 4년, 폐허가 된 땅에 남겨진 자들이 벌이는 최후의 사투를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 영화. 2016년 '부산행'으로 전 세계를 강타하며 K-좀비 시대의 서막을 연 연상호 감독이 새롭게 선보이는 작품이다. 연 감독의 신작답게 전 세계의 기대를 얻고 있다. 올해 칸 영화제 공식 초청됐으며, 대만·싱가포르·홍콩·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일본 등 아시아부터 영국·프랑스·독일·스페인·스페인·이탈리아·러시아 등 유럽, 북미·남미는 물론 오세아니아·인도·중동 등 총 185개국에 선판매됐다. 배우 강동원·이정현·권해효·김민재·구교환·김도윤·이레·이예원 등이 새롭게 연니버스에 합류했다.
'반도'는 연상호의 복합적 면모를 담아낸 작품이다. 전작 애니메이션들에서 엿볼 수 있는 그만의 마니악한 취향과 '부산행'에서 보여준 대중 지향적 감성을 고루 섞으려 노력했다. 최근 빠르게 변하고 있는 영화 산업의 흐름 가운데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연출가로서의 생각도 담았다. '반도'는 "대중의 흐름과 공명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는 연 감독이 내놓은 '고뇌의 산물'이다.
-'반도'를 극장에서 보니 어떤가. "나는 이 영화를 너무 많이 봤다.(웃음) 시사회 전날 최종 컨펌을 위해 아이맥스, 스크린X, 4DX 등 연속 3번을 봤는데, 포맷마다 미묘하게 다르더라.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본 건 4DX다. 보면서 의자에서 떨어질 뻔했다."
-코로나19를 뚫고 월드와이드 개봉한다. "개봉 1년 전부터 7월께 개봉하겠다는 계획을 했다.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개봉일을 변경하거나 그러지는 않았다. 어떻게 하다 보니 이렇게 된 것 같다. 한국뿐 아니라 아시아 쪽 나라는 '반도'가 재개의 시작 같은 느낌이다. 언론배급시사를 하고 나니 실감이 나더라. '반도'라는 영화가 극장 산업과 밀접하게 책임감이 있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코로나19도 있지만, 이전부터 있었던 이슈와도 맞닿아 있다. 영화를 꼭 극장에서 관람해야 하냐는 것이다. 요즘 엄청난 OTT 붐이지 않나.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반도'라는 영화가 고민의 결과인 것 같다. 그런 측면이 코로나19 상황으로 더 부각된 것 같다. '부산행' 이후였다. 한국 극장 시스템에서의 영화는 무엇인가를 생각했다. 대학교 재학 당시 처음 영화를 해야겠다고 결심했을 때와 비교해 극장이 달라졌다. 나는 초등학생 때부터 애니메이션을 접하던, 비디오로 접하던 학생이었다. 영화라고 하는 것을 영화관에서 처음 봤을 때는 대학교쯤이었다. 그때 영화의 의미와 지금 영화의 의미가 달라졌다는 인상을 받았다. 본질로 들어가 보자며 고민했다. 어렸을 때 극장을 가는 건 일종의 이벤트, 나들이였다. 극장에 갔을 때의 느낌 같은 게 있다. '반도'는 '극장에서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영화가 무엇일까'를 생각하며 만들었다. 만들고 나니 자연스럽게 4DX 같은 여러 포맷에서 관심을 보이더라. 이 영화를 다양한 버전으로 다시 만들고 싶다고 하더라. 며칠 전에 처음 특수관에서 봤을 때 재미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예를 들어, 스크린X에서 보면 옆 화면에 이펙트 같은 게 들어간다. 그런 걸 보는 것도 굉장히 재밌었다. 내 연출을 해당 플랫폼에서 재해석해 만든 것이 한 명의 관객으로서 신기하게 느껴졌다."
-특별히 제작한 '반도' 티셔츠를 입고 다니던데. "인터뷰를 하면 인터넷에 사진이 돌아다니는데, 이게 언제 찍었던 건지 궁금하더라. 그래서 작품 티셔츠로 통일해서 입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일종의 영화에 대한 생각이 바뀐 것에 대한 작용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굿즈, 영화에 대한 굿즈다. 나 같은 경우도 제가 좋아하는 게임이나 만화책의 굿즈를 구입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극장에서 보는 것 말고 영화를 다른 방식으로 소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봤다."
-좀비가 '부산행'에 비해 크게 무섭지 않다. "'반도' 같은 경우 좀비가 아주 크게 위협적이지는 않다. (강동원이 연기한) 정석이라고 하는 주인공과 관객이 동일한 시선이라고 본다면, 폐허가 된 한국으로 돌아갈 때의 긴장감이 처음 존재할 것이다. 처음 한국을 떠날 때의 액션신 이후엔 그 긴장감이 끊어진다고 생각했다. 정석의 시점에서 이미 밖에서 4년간 살아온 시점으로 보는 한국과 좀비다. 그리고 아이들은 적응을 굉장히 빨리한다. (이예원이 연기한) 유진 같은 경우는 철이 들었을 순간부터 그 세상에 살고 있다. 일상의 시선으로 옮겨간다. 좀비가 위협적이라기보다는, 공간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위협 같은 것이 더 크게 퍼지지 않을까 생각했다."
-'부산행' 이후 좀비물이 많아졌는데, 속편을 내놓기 부담스럽지 않았나. "부담이 되지는 않았다. '부산행' 때가 오히려 더 까다로웠다. 좀비물이 마이너하기도 하고, 마이너한 걸 좋아하는 팬들은 더 '딥'하게 들어간다. '부산행'이 대중적으로 잘됐기에 기준점이 돼 버린 건 분명히 있지만, '부산행'이 나왔을 때만 해도 여러 말이 있었다. 그때도 이미 전 세계에서 좀비물이 많이 나왔었다. '부산행' 또한 조지 로메로의 영화들에서 파생된, 클래식한 좀비물의 특성을 따르고 있다고 생각하고 만들었다. '반도'는 '부산행' 이후 새롭게 하려고 많이 노력했지만, 또한 조지 로메로의 '랜드 오브데드'의 연장선에 있다고 생각하고 만들었다. 클래식한 부분에 발을 딛고 작업한다고 생각했다." >>[인터뷰②] 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