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9건
자동차

[IS시승기] 넓고 조용하고 잘 달리고…'흥행질주' 르노 콜레오스의 3가지 매력

르노코리아가 함박웃을 짓고 있다. 야심차게 선보인 신차 그랑 콜레오스(이하 콜레오스)가 날개돋친 듯 팔리고 있어서다. 지난 9월 9일 판매 개시 이후 지난달까지 콜레오스의 누적 판매량은 9330대에 달한다. 이에 힘입어 르노코리아는 올해(1~10월) 총 2만2115대를 판매하며 한국GM(2만1099대)를 제치고 판매량 꼴찌에서도 벗어났다. 르코노리아의 부활을 이끌고 있는 신차 콜레오스를 최근 직접 몰아봤다.첫 매력 포인트는 '실용성'콜레오스는 디자인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강력함과 우아한 라인이 돋보인다. 르노의 상징인 다이아몬드를 연상시키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날카롭게 뻗은 헤드램프, 일자형 리어램프 등도 인상적이다.특유의 실용성은 콜레오스의 첫 번째 매력 포인트다. 길이 4780㎜, 폭 1880㎜, 높이 1680㎜의 큰 차체에 더해 2820㎜ 휠베이스를 갖춰 동급 최고 수준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2열은 320㎜의 무릎 공간을 제공하며, 폴딩이 가능해 트렁크 공간이 최대 2034L에 달한다. 특히 내부 공간이 넓다 보니 키 180cm인 기자가 2열에 앉아도 무릎 앞 주먹 두세 개 정도의 공간이 남을 정도로 쾌적했다. 캠핑 등 여행 목적의 패밀리카로도 손색이 없어 보인다. 실내에도 실용적이긴 마찬가지다. 먼저 12.3인치의 스크린 3개가 눈길을 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는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이중 조수석 디스플레이에선 유튜브, 디즈니플러스 등을 볼 수 있다. 조수석 장거리 여행에 지루해 하는 자녀들이 좋아할 만한 옵션이다. 단 운전석에서는 이 화면을 볼 수 없다. 안전을 위해서다.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하면 차 스피커와 별도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어 운전자는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다. 돋보이는 정숙성정숙성은 콜레오스의 또 다른 매력이다. 주행 동안 놀랄 만큼 조용했다. 이에 대해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그랑 콜레오스에) 동급 최초로 '액티브 노이즈 캔슬레이션'을 적용했기 때문"이라며 "3개의 마이크가 엔진·타이어·도로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지하면 차량 내 보스 사운드 스피커가 반대파를 보내 이를 상쇄한다"고 설명했다.더욱이 하이브리드 차량은 동력이 전기에서 엔진으로 전환될 때 이질감이 느껴지는데, 콜레오스는 엔진이 가동하고 있는지 모를 만큼 정숙했다. 순수 모터로 주행 중 엔진이 개입하더라도 소음과 이질감이 적었다. 현재 시판매 중인 하이브리드 차량 중 가장 우수한 수준으로 보인다.또 요철을 통과할 때 실내로 전해오는 진동도 덜했고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의 서스펜션도 부드러웠다. 잘 달리면서도 기름 적게 먹는 '다재다능'주행성능은 발군이다. 콜레오스는 출력 100kW의 구동 전기 모터, 발전 기능을 겸하는 고전압 스타트 모터(출력 60kW)로 이뤄진 듀얼 모터 시스템과 4기통 1.5L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이 결합돼 있다. 최고 출력은 245마력, 최대 토크는 33.2kg·m다.가속 페달에 발을 얹으면 부드럽게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이다. 주행 모드는 다섯 가지다. 에코 모드, 컴포트 모드, 스포츠 모드, 스노 모드를 제공한다. 특히 소비자의 운전 형태를 분석 후 모드를 전환하는 인공지능(AI) 모드도 탑재하고 있다. AI 모드를 통해 기존 컴포트, 에코, 스포츠 등 운전 모드로 자동 전환이 이뤄진다.도심 주행에선 최대 75%까지 전기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 차가 가다 서기를 반복하는 도심 주행에서는 대부분 전기차 모드로 운전이 가능했다. 주차장 코너를 뱅글뱅글 돌 때, 좁은 골목을 천천히 지날 때, 고속 주행을 할 때 모든 상황에서 안정감을 유지했다. 가파른 오르막길에서도 가속페달을 밟자 막힘없이 경사면을 올랐다.또 응급 상황을 제외한 모든 과정을 운전자의 개입 없이 평행, T자, 대각선 주차 등 다양한 주차 상황에 적용이 가능한 ‘풀 오토 파킹 보조 시스템’은 편안한 운행을 돕는다. 연비도 나쁘지 않다. 이날 시승은 주로 도심 구간에서 이뤄졌는데 100km를 달린 결과, 평균 연비 13.7km/L를 기록했다. 공인 연비 15.0km/L에 비해선 낮지만, 다양한 모드에서의 주행이 줄곧 이어졌음을 감안하면 충분히 납득 가능하다.가격은 별도의 매력의 포인트. 2.0 가솔린 터보가 3495만원, 1.5 하이브리드가 3777만원, 최상위 트림인 에스프리 알핀의 풀옵션 모델 4567만원 등이다. 쏘렌토 하이브리드가 4028만원부터 시작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런 저런 차를 시승하다 보면 특정 용도에 특화된 차는 많지만 여러 장점을 동시에 지닌 차는 만나보기 힘들다. 콜레오스는 그런 올라운드 플레이어에 가장 가까운 차로 평가된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11.22 13:45
경제일반

르노코리아, 신차는 하반기에…상반기 부진 불가피

르노코리아자동차(이하 르노코리아)가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가운데 판매 최하위를 기록한데 이어 올해도 반등의 기회를 만들지 못하는 분위기다. 17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르노코리아는 지난해 내수에서 2만2460대를 신규 등록했다. 전년 대비 57.0% 급감한 수치다.이에 지난해 국내 완성차 브랜드 중 르노코리아의 점유율은 1.8%로 압도적 꼴찌를 기록했다. 1위 기아의 22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차종별 신차 등록대수 역시 QM6(1만1146대), XM3(9082대), SM6(2232대) 순서로 3개 차종 모두 출시 이후 연간 신차 등록대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더욱이 하이브리드 전성시대에도 불구하고 XM3 하이브리드는 동급 수입차인 토요타 라브4(RAV4) 하이브리드에도 미치지 못하는 초라한 성적을 거뒀다.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신차의 부재, 기존 모델의 재탕 삼탕 우려먹기식 변경, 성과 없는 마케팅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철저히 외면 받았다"며 "2022년 르노삼성에서 르노코리아로 사명 변경 이후 브랜드 이미지 하락한 것도 판매량 하락의 보이지 않는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올해 초반 성적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르노코리아의 1~2월 누적 판매량은 3514대로 여전히 업계 최하위다. 바로 위 한국GM(4897대)과의 격차는 1300대가 넘는다. 로노코리아는 2020년 XM3 출시 이후 4년 만에 신차를 출시, 내수 점유율을 회복하겠다는 각오다. 주인공은 '오로라 프로젝트'의 첫 번째 모델인 '오로라1'이다. 오로라 프로젝트는 르노코리아가 중국 지리자동차와 협업을 통해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특히 오로라1은 르노의 E-테크 하이브리드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문제는 오로라1의 출시 시점이다. 조기 출시가 필요해 보이나, 르노코리아는 내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아직도 개발 중이다. 실차의 모습은 오는 6월 부산국제모터쇼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올해 상반기는 기존 세 차종(XM3, QM6, SM6)으로 버텨야 한다는 얘기다.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르노코리아가 결국 올해 상반기는 XM3, QM6, SM6 등 세 차종으로 버텨야 한다는 얘기인데, 가격 인하 카드가 오히려 브랜드 가치를 추락시키는 독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4.03.18 07:00
자동차

'빠른 출고' 한목소리, 자동차 업계 연말 판촉전 후끈

자동차 업계가 연말 판촉 경쟁에 돌입했다. 약속이라도 한 듯 '빠른 출고'를 판매 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금리 인상, 원자재 가격 인상, 인플레이션 확대 등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연말 한 대라도 더 팔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양새다. 연내 자동차를 출고하면 올해 12월 31일 종료되는 개별소비세(개소세) 인하 혜택도 온전히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기 수입차까지 한 달 이내 출고 지난달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4분기 시작과 함께 주요 모델의 연내 출고를 보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 시장에서 한국GM 차들은 계약 후 한 달 이내 인도받을 수 있다. 현재 가장 빨리 받을 수 있는 모델은 쉐보레의 플래그십 모델인 타호와 트랙스, 말리부, 스파크다. 4개 모델 모두 계약 후 2주 이내 고객이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 더불어 수출에서 맹활약 중인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도 계약 후 한 달 이내 차량을 받아볼 수 있으며, 트래버스와 콜로라도 등 수입 인기 RV 차들도 한 달 내 인도가 가능한 상황이다. 빠른 출고에 한국GM의 판매량은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GM은 지난달 총 2만6811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29.0% 오른 실적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실적 상승세다. 쉐보레는 수입차 시장에서도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쉐보레는 10월 1586대를 판매하며 수입차 브랜드 판매 4위를 기록했다. 8월 4위, 9월 5위에 이어 3개월 연속 베스트셀링 브랜드 톱5 자리를 지켰다. 또 프리미엄 브랜드를 제외한 메인스트림 브랜드 가운데서도 수입차 시장의 전통 강호인 폭스바겐을 제치며 판매 1위 브랜드에 올랐다. 르노코리아자동차도 빠른 차량 출고를 무기로 연말 판매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QM6를 계약하면 연말까지 출고가 가능하다. SM6, XM3 가솔린 등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르노코리아는 전국 시승회를 통해 연내 출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이슨 에어랩, 비스포크 청소기 등 사은품을 증정하는 행사도 진행 중이다.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모회사인 르노그룹의 우선 공급 정책에 따라 반도체 부품들을 바로 수급받고 있어 출고 지연이 없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수입차 업계에서는 스텔란티스코리아가 적극적이다. 지프 브랜드의 즉시 출고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국 지프 공식 전시장에서 시승부터 출고까지 동시에 이뤄지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연말 차를 바꾸려는 소비자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이를 위한 프로모션도 진행 중이다. 엔트리 제품인 레니게이드는 최대 650만원을 할인해 3000만원대에 구매 가능하며, 체로키는 4000만원대에도 소유할 수 있다. 속사정은 판매 부진 업체 고육책? 완성차 업체의 빠른 출고 보장은 올해 개별세인하 혜택이 종료되는 상황에서 더욱 매력적이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침체한 국내 소비시장을 부흥시키기 위해 2020년 7월부터 개소세를 기존 5%에서 3.5%로 낮췄다. 덕분에 출고가 2000만원의 차량을 살 경우, 약 43만원 정도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주머니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일부 경우 대기기간만 1~2년에 달할 정도 출고 지체 현상이 심화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빠른 출고 여부가 중요한 요소가 됐다"며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종료와 맞물려 빠른 출고는 자동차 회사의 '최고 무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에서는 업체들의 속사정은 다르다는 얘기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빠른 출고를 보장한 업체들의 올해 실적을 살펴보면 하나같이 부진의 늪에 빠졌다"며 "인기 브랜드의 경우 대기 수요가 넘쳐 빠른 출고는 꿈도 못 꾼다. 판매가 부진한 업체들이 인기 업체의 수요를 가져오기 위해 빠른 출고를 마케팅 포인트로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한국GM은 올해 1~10월 내수 시장에서 전년 동기(4만9156대)대비 32.2% 감소한 3만3340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국내 완성차 업계 압도적 꼴찌에 해당한다. 르노코리아도 한국GM과 마찬가지로 내수에서 좀처럼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2020년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M3의 출격과 SUV 유일 LPG 모델이라는 장점을 지닌 QM6가 활약하며 9만5939대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XM3 인기가 식으며 6만1096대를 기록했고, 올해도 10월까지 4만3825대 판매에 그치며, 좀처럼 내수에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3위 자리도 쌍용차(5만6725대)에 내준 상황이다. 지프도 마찬가지다. 지프는 올해 10월까지 국내 시장에서 5994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1.1%나 떨어진 수치다. 지금 추세로라면 제이크 아우만 스텔란티스코리아 사장이 올해 지프 목표로 제시했던 '1만대 클럽' 유지는 불가능할 전망이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2.01 07:00
자동차

완성차 3위에서 '꼴찌'로…한국GM의 날개 없는 추락

한국GM의 추락이 심상치 않다. 내수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해 3위에서 올해 꼴찌로 추락했다. 연말 수백만 원의 할인과 즉시 출고를 무기로 판촉에 나서고 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렇다 할 신차가 없어 분위기 반전은 어려울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보다 31% 판매 '뚝' 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올해 1~10월 내수시장에서 전년 동기(4만9156대)대비 32.2% 감소한 3만3340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이는 국내 완성차 업계 압도적 꼴찌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쌍용자동차는 5만6725대, 르노코리아자동차는 4만3825대의 누적 판매실적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10월만 해도 한국GM은 이들 두 회사를 제치고 현대차·기아에 이어 업계 3위에 올랐다. 그나마 위안은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GM의 올해 누적 수출은 총 18만4923대로 전년보다 14.1% 늘었다. 한국GM의 문제는 내수 시장에 주력 모델이 없다는 데 있다. 경차 스파크는 올해 10월까지 전년 대비 38.8% 하락한 9856대 판매에 그쳤다. 말리부와 트랙스도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 각각 전년 대비 판매량이 45.7%, 42.1% 줄었다.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래버스 등도 힘을 못 쓰기는 마찬가지다. 트레일블레이저는 올해 1만3039대의 판매고를 기록, 전년 대비 23.3% 하락했다. 트래버스는 전년 2858대보다 무려 1300대가량 판매가 준 1470대를 기록 중이다. 한국GM 라인업 중 지난해보다 판매량이 증가한 모델은 이쿼녹스 단 1대뿐이다. 그마저도 올해 누적 912대로 1000대를 밑돌고 있다. 예고된 꼴찌 한국GM의 올해 부진은 예고됐다. 마땅한 핵심 모델이 없었기 때문이다. 올해 한국GM은 볼트EV·볼트EUV 등 전기차를 비롯해 타호 등 대형 차량도 국내 선보였다. 하지만 모두 수입 모델인 데다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내수 시장 확대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주력 모델인 트레일블레이저의 경우 출시한 지 2년이 넘어갔으며, 타사에서도 경쟁 모델이 계속 등장해 예전과 같은 힘을 쓰기는 어려웠다. 말리부, 트랙스, 스파크 등 예전 주력 모델의 생산 중단 소식 역시 악재가 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한국GM은 지난달 스파크의 생산을 중단했다. 남은 재고가 소진되면 스파크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말리부와 트랙스도 이달 생산이 중단될 예정이다. 한국GM은 이달 말을 끝으로 말리부와 트랙스를 생산하는 부평2공장의 문을 닫기로 했다. 앞서 한국GM은 올해 초 다마스·라보 생산도 중단한 바 있다. 잘 안 팔리는 차종은 사업을 접고 주력 차종에 올인하겠다는 행보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곧 생산 중단될 모델을 구매하기는 쉽지 않다"며 "한국GM의 올해 부진은 예고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했다. 한국GM은 내수 판매를 조금이라도 끌어올리기 위해 최근 수백만 원의 할인 카드를 꺼내 들고 있다. 지난달에는 트래버스 구매 고객에 최대 400만원의 현금을 지원했다. 최대 72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도 제공했다. 하지만 판매량이 늘지 않았다. 오히려 전년 대비 판매량이 16.1% 줄었다. 한국GM은 이달에도 트래버스 400만원, 타호 300만원, 트레일블레이저 80만원 등 차종별 최대 400만원의 현금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GM, 생산 기지 전락? 업계에서는 한국GM이 본사 GM의 수출 모델 생산 기지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한국GM은 스파크, 말리부 등의 생산을 잇달아 중단했지만, 내수 시장을 공략할 신차를 생산할 계획이 없다. 내년부터 창원공장에서 연산 50만대 규모로 글로벌 신차 크로스오버유틸리티 차량(CUV)을 생산키로 했지만, 이 모델은 수출이 주목적이다. 트레일블레이저와 마찬가지인 셈이다. 한국GM의 수출·내수 판매를 분석해 보면 트레일블레이저는 국내는 10%, 수출은 9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GM은 단종되는 국내 생산 모델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수입 물량을 더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들어 초대형 SUV 타호와 새 전기 SUV인 볼트EUV의 국내 판매를 개시한 데 이어 연내 GM 산하 GMC 브랜드의 픽업트럭 시에라를 선보이고 내년에도 새로운 수입 모델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 경우 한국GM의 판매 차량 중 수입 모델은 기존 6대에서 7~8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한국GM이 국내에서 생산하는 모델 라인업보다 수입해 판매하는 모델 라인업이 더 다양하다 보니 실질적으로 '국산차'라는 타이틀을 달기 모호해졌다"며 "그러다 보면 모기업인 GM도 이들을 아시아 생산기지로 인식할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GM 관계자는 "최근 아웃도어 열풍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에 맞춰 SUV와 픽업트럭 중심의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전략화하고 있다"며 "향후 생산되는 차세대 CUV의 내수 판매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데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mg9@edaily.co.kr 2022.11.03 07:00
경제

반도체 없어 차 판매 뚝…깍아준다지만 글쎄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하며 완성차 업계가 10월에도 국내 시장에서 일제히 두 자릿수 감소를 나타냈다. 4개월 연속 감소세다. 연간 내수 판매 목표 달성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부랴부랴 이달 할인 판매에 나서는 등 막판 총공세를 예고했지만, 반도체 수급 부족 여파가 이어지고 있어 실제 성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업계 일부에서는 '반도체 때문에 올해 장사를 망쳤다'는 말까지 나온다. 10월 내수판매 21.5% 폭락 3일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 5사의 10월 내수 판매실적은 총 10만6424대로 전년 동월 대비 21.5% 감소했다.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이 판매감소로 이어졌다. 현대차의 경우 10월 국내 시장에서 5만7813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12.0%의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다. 그나마 이 수치가 완성차 5사 중 가장 작은 낙폭인 덕에 현대차의 완성차 5사 내 점유율은 54.3%까지 확대됐다. 인기 모델 그랜저 판매량이 9448대까지 확대됐고, 10월 들어 본격 판매가 시작된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위탁생산 차종인 경형 SUV 캐스퍼도 2506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기아의 10월 국내 판매 대수는 3만7837대로 전년 동월 대비 21.2% 감소했다. 기아의 최고 인기모델 쏘렌토 판매가 5363대에 그쳤을 정도로 생산 차질 여파가 컸다. 같은 기간 르노삼성은 30.0% 감소한 5002대의 내수 판매량을 기록했다. QM6 판매량이 3487대로 버텨주고 있지만, XM3(792대)는 수요만큼 생산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 XM3의 대기 물량은 1300대에 달한다. 르노삼성은 이달부터는 XM3를 비롯한 부산공장에서 생산하는 내수 차량의 정상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쌍용차는 10월 국내 시장에서 3279대를 판매했다. 전년 동월 대비 56.9% 감소한 물량이다. 인기 모델인 더 뉴 렉스턴 스포츠&칸 약 5000대를 포함, 내수에서만 총 7000여 대의 출고 적체를 보이고 있다. 한국GM의 10월 내수판매는 2493대로 완성차 5사 중 가장 적었다. 전년 동월 대비 감소 폭도 64.7%로 가장 크다. 한국GM은 주력 수출 차종인 트레일블레이저를 생산하는 한국GM 부평 1공장이 반도체 부족으로 10월 중 2주간 가동을 멈췄었다. 트레일블레이저는 가뜩이나 수출 수요도 많은 차종이라 국내 판매는 697대에 그쳤다. 연간 내수 목표 달성 어려울 듯 반도체 여파가 이어지면서 업계에서는 올해 판매량이 연간 목표량은커녕 작년 수준에도 못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실제 현대차의 올해(1~10월) 누적 판매량은 59만8655대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7.8% 뒷걸음질을 쳤다. 기아 역시 같은 기간 44만1185대를 팔아 지난해 대비 4.7%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나머지 3사의 실적을 더욱 심각하다. 지난달 내수 꼴찌를 기록한 한국GM은 올해 4만9156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전년 대비 26.8% 떨어진 수치다. 쌍용차도 4만4276대로 지난해보다 36.9% 떨어졌다. 르노삼성은 올해 4만7805대의 판매고를 기록, 지난해보다 무려 40.8%나 후진 기어를 놨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연간 내수 판매 목표 달성은 사실상 물 건너간 셈이다. 현대차는 당초 올해 내수 목표로 74만1500대를 제시했다. 월평균 6만1800대가량을 팔아야 달성할 수 있는 수치다. 하지만 현재 현대차의 월평균 판매량은 5만9800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나마 기아만 연간 목표(53만5000대) 중 82.4%를 채웠다. 월평균 판매량이 4만4000대인 것을 고려하면 남은 기간 목표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후발주자 3사는 올해 대외적으로 내수 목표를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으로 잡았을 것으로 업계는 예상한다. 하지만 3사의 올해 판매량을 보면 지난해 판매량에 한참 못 미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GM은 8만2954대를, 르노삼성은 9만5939대를, 쌍용차는 8만7888대를 각각 팔았다. 이들 3사의 올해 월평균 판매량이 4000대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작년과 비교해 60% 수준에 머물 전망이다. 눈물의 세일…효과는 미지수 연간 판매 실적 달성이 어려워지자 쌍용차와 한국GM·르노삼성 등 후발 주자들은 벌써 연말 출혈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GM은 이달 트래버스, 말리부 구매자를 대상으로 3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 할부와 현금 지원이 결합한 캄보 할부로 구매할 경우 트래버스 250만원, 말리부 180만원의 현금 지원 혜택을 제공한다. 또 7년 이상 된 노후차를 보유한 트래버스, 말리부 구매자에게는 각각 30만원, 2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쌍용차는 구매 차종에 따라 개소세 인하 혜택을 한 번 더 제공하는 ‘더블 업 찬스 페스티벌’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를 구매하면 할부 조건에 따라 최대 80만원을 지원하는 스페셜 할부 및 제로 할부, 장기저리할부, 로열티 프로그램, 노후차 지원 등 다양한 맞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르노삼성은 중형 세단 SM6 현금 구매 시 200만원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여기에 2020년 생산된 SM6에 대한 최대 100만원의 추가 할인과 7년 이상 노후차 보유 소비자에 대한 20만원 추가 할인도 제공한다. 이 경우 최대 혜택의 폭은 320만원까지 늘어난다. QM6는 편의 기능과 용품, 보증연장 구입지원비로 GDe 150만원, LPe 50만원의 지원 혜택이 주어진다. 여기에 7년 이상 노후차 보유자에게는 20만원 추가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QM6 구매 시 36개월까지 원하는 할부기간대로 무이자 혜택을 받는 ‘마이웨이’ 할부도 가능하다. 대대적인 할인에도 불구하고 전망은 어둡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업계가 여러 판촉 행사를 하고 있어 개별소비세 혜택 막차를 타려는 소비자들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차량용 반도체로 인한 출고 지연이 길어지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망설이다가 결국 구매를 포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1.11.04 07:00
경제

희비 갈린 '11월 국산차'…현대?기아 '약진', 르노·한국GM '후진'

지난달 국내 완성차 업계의 '안방판매' 실적 희비가 엇갈렸다. 현대·기아차는 신차 효과 등에 힘입어 호실적을 거두었지만, '꼴찌경쟁'을 벌이는 르노삼성과 한국GM은 노조 파업 등의 여파로 뒷걸음질을 쳤다. 이에 후발주자들은 연말인 12월을 맞아 대대적인 판촉에 나선 것은 물론, 코로나19 재확산세에 대응해 비대면 판매 채널을 강화하는 등 올해 마무리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내수 판매 늘었지만 '빈익빈 부익부' 6일 현대차·기아차, 쌍용차, 한국GM, 르노삼성차 등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 내수 실적을 종합한 결과, 14만3591대로 전년 동기 대비 5.3% 성장했다. 이는 지난 9월 이후 3개월 연속 성장이다. 하반기 신차 효과와 연말을 앞둔 판촉 경쟁이 증가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양극화' 현상은 뚜렷해지는 모양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웃었고, 한국GM과 르노삼성차는 울었다. 업체별 실적을 보면 현대차가 가장 돋보인다. 내수에서 7만35대를 팔아 지난해 11월보다 10.9% 뛰었다. 그랜저가 1만1648대가 팔리며, 지난달 카니발에 빼앗긴 '월간 베스트 셀링카' 자리를 되찾아왔다. 아반떼(7477대)·쏘나타(5038대) 등 세단도 반응이 좋았다. 또 투싼(7490대)·팰리세이드(5706대)·싼타페(5157대) 등 SUV도 판매 실적을 이어갔다. 기아차는 내수 시장에서 5만523대 팔아 지난해 11월보다 3.9% 증가했다. 카니발(9823대)과 쏘렌토(7009대) 등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선전했으며, K5·K7 같은 세단도 호실적을 이어갔다. 외자 3사 중에선 쌍용차의 실적이 호전됐다. 9270대를 팔아 전년 대비 0.3% 성장했다. 특히 지난달 선보인 올 뉴 렉스턴이 1725대 팔려, 견인차 구실을 했다. 렉스턴은 이전(1~10월)까지 한 달 평균 862대가 팔렸지만, 지난달에는 수치가 2배 이상 늘었다. 지난 16일 출시한 올 뉴 렉스턴이 좋은 반응을 보인 덕분이다. 반면 지난달 부분파업이 있었던 한국GM은 내수가 저조했다. 6556대를 팔아 전년보다 10.5%나 후진했다. 한국GM은 노조 파업으로 인해 11월 2만대가량의 생산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GM 내수 판매 중 가장 많은 판매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스파크의 경우 1987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7% 감소했다. 르노삼성도 지난달 부진했다. 내수는 7207대로 지난해 11월보다 10.8% 감소했다. 지난달 초 출시한 QM6는 3647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35.4% 감소했다. 여기에 올해 상반기 월 5000대 이상 판매하며 르노삼성 성장을 이끌었던 XM3도 2295대 판매에 그쳤다. 차급별 베스트셀링카도 현대·기아차 독식 판매 양극화와 더불어 올해 '베스트셀링카' 역시 현대·기아차의 독무대가 될 전망이다. 먼저 올해 베스트셀링카는 13만6384대(1~11월)가 판매된 현대차 그랜저가 유력한 상황이다. 차급별로 살펴보면 중형 세단에서는 기아차 K5가 7만9518대의 판매고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뒤를 이어 쏘나타(6만3078대), 한국GM 말리부(1만974대), 르노삼성차 SM6(8005대) 순이다. 또 준중형 세단에서는 현대차의 아반떼(7만9363대), 경차 부문에서는 기아차 모닝(3만5828대)의 1위 달성이 유력해 보이는 상황이다. 신차 출시가 이어진 SUV 시장도 마찬가지다. 소형 SUV에서는 기아차 셀토스(4만7165대)가 준중형 SUV에서는 투싼(2만9197대)이, 중형 SUV에서는 기아차 쏘렌토(7만6892대)가, 대형 SUV에서는 현대차 팰리세이트(5만8822대)가 베스트셀링카를 예약했다. 후발 3사 최대·파격 할인 '연말 판촉전' 이에 쌍용차·한국GM·르노삼성 등 후발 주자 3사는 연말을 앞두고 대규모 할인전에 나섰다. 작년보다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종료 시점마저 다가오자 공격적인 프로모션으로 남은 기간 판매량을 끌어올리겠단 전략이다. 쌍용차는 코란도, 티볼리, 렉스턴 스포츠&칸 등 ‘세일페스타’ 해당 모델 구매 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 코란도와 티볼리는 최장 60개월 무이자 할부 구매 프로그램이 시행되며, 최대 30만원의 재구매 할인 혜택을 추가로 누릴 수 있다. 세일페스타 미해당 모델에도 개별소비세 전액에 해당하는 최대 5% 할인을 준다. 한국GM은 할부와 현금지원이 결합한 콤보할부 이용 시 말리부, 트랙스, 이쿼녹스 대상으로 차량 가격의 최대 10%를 할인한다. 5년 혹은 10만km 무상보증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선수금과 이자가 없는 더블 제로 48개월 무이자 할부 또는 1%의 이율로 72개월까지 이용 가능한 장기 할부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르노삼성차는 QM6, SM6, 르노 캡처, 르노 마스터 15인승 버스를 18일까지 조기 출고하면 30만원 할인하고, XM3는 20만원 판매한다. 여기에 소상공인들에게는 15만원의 특별 할인 혜택을 추가 제공한다. 다만 업계 관계자는 “연말에도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와 대규모 할인 판매로 월간 최대 판매를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일부 업체들의 노사갈등에 따른 파업으로 생산 차질은 불가피해 수요만큼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12.07 07:00
경제

국산차 새해 첫 달 판매 '후진'…할인 경쟁 나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새해 첫 달 부진한 내수 시장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이 감소에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 종료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5개사(현대차·기아차·쌍용차·한국GM·르노삼성)의 올해 1월 내수 판매량은 총 9만9602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월과 비교해 15.2% 급감한 수치다. 업계 맏형인 현대차의 내수 판매는 4만7591대로 전년 동월 대비 21.3%나 감소했다. 그랜저와 쏘나타, 팰리세이드 등 인기 차종은 선전했으나 판매량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현대차그룹은 그나마 기아차가 신형 K5를 앞세운 K시리즈의 선전에 힘입어 총 3만7050대를 판매, 내수 판매 감소율을 한 자릿수(-2.5%)로 지켜냈다. 쌍용차는 지난달 내수에서 5557대를 팔았다. 전달보다 47.4%나 감소, 내수 실적이 거의 반토막 났다. 한국GM은 지난달 총 5101대를 팔아,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0.9% 증가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연이어 출시한 콜로라도, 트래버스 등이 자리를 잡은 것이 주효했다. 콜로라도 판매량은 전월 대비 20.3% 증가한 777대로, 3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르노삼성은 올 1월 전년 동기 대비 16.8% 감소한 4303대를 판매, 내수 꼴찌에 자리했다. 그나마 LPG(액화석유가스) 모델 활약이 위안거리다. 지난달 QM6는 전년 동월 대비 24.4% 늘어난 3540대가 판매됐는데 이는 LPG 모델 덕이다. QM6 LPG 모델은 2589대 팔리며, QM6 전체 판매의 73.1%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감면 종료와 함께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 수 감소가 실적 악화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신종코로나 사태에도 이미 예약된 물량이 있어 2월부터 차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실적 하락에 업계는 이달 주력 제품을 대상으로 구매비 지원, 무이자 할부 혜택 등 다양한 판촉 프로그램을 내놨다. 현대차는 이달 i30와 벨로스터에 한해 50만원의 기본 할인을 제공한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G70, G80, G90에 한해 1.25~25% 저금리 할부로 구매할 수 있으며 G80의 경우 품질체험 시승 후 구매하면 100만원을 깎아준다. 기아차는 차종별 기본 할인으로 모닝 50만원, K3 20만원, 스포티지 50만원, 쏘렌토 5%, 카니발 50만원 등을 내걸었다. 할인 대신 36개월간 1.0% 저금리 할부로 살 수 있으며, 일부 차종은 추가 할인도 적용한다. 한국GM은 쉐보레 제품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60개월 할부 또는 구매 지원이 가능한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스파크, 트랙스, 이쿼녹스 등 36개월, 카마로 SS 50개월, 볼트EV 60개월 등에 무이자 할부를 제공한다. 쌍용차는 이달 코란도, 티볼리, G4 렉스턴 등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무상장착 혜택을 제공한다. 티볼리와 코란도 구매고객의 경우 50만원 상당의 '딥컨트롤 패키지'를 무료 장착한다. 딥컨트롤 패키지는 사각지대 감지(BSD)·차선변경 경보(LCA)·후측방 접근충돌 방지보조(RCTAi)·탑승객 하차보조(EAF) 등으로 구성된다. 르노삼성차는 2020년형 SM6와 더 뉴 QM6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현금지원 등 혜택을 지원한다. SM6 가솔린 모델이나 LPG 모델을 사면 최대 250만원의 상당의 용품구매비를 지원한다. QM6는 노후차 보유 시 최대 80만원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oongang.co.kr 2020.02.06 07:00
연예

내수 3위 공고히 하는 쌍용차…한국GM·르노삼성은 악재에 울상

국내 완성차 후발 주자들의 실적 희비가 엇갈린다. 쌍용차는 지난달 실적에서도 완성차 3위 자리를 공고히 하며 상승세를 이어 가는 반면, 한국GM과 르노삼성은 여러 악재에 시달리며 월 5000대 판매선마저 위협받는 처지에 내몰렸다. 신차 효과, 쌍용차 '질주' 13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쌍용자동차는 지난달 내수에서 전년 대비 7.2% 늘어난 7579대를 판매했다.설 연휴에 따른 조업 일수 축소와 자동차 판매 비수기에도 현대·기아차에 이어 내수 3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특히 지난 1월 선보인 렉스턴 스포츠 칸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호조세를 보여 선방했다.렉스턴 스포츠는 지난달 3413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29.3% 늘었다. 렉스턴 스포츠 1744대, 렉스턴 스포츠 칸 1669대를 판매했다.베스트셀링 모델인 티볼리도 2960대를 판매하며 버팀목 역할을 했다.향후 전망도 밝다. 쌍용차는 최근 출시한 신형 코란도를 앞세워 판매 증가세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8년 만에 완전 변경으로 돌아온 신형 코란도는 지난달 26일 출시와 함께 사전 계약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3000여 대의 실적을 올리며 성공적인 시장 복귀를 알렸다.연간 판매 목표는 작년 3만 대로 잡았다. 업계는 대대적인 상품성 변화를 이룬 신형 코란도가 상대적으로 모델 노후화 위기에 처한 스포티지·투싼 등 경쟁작들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한편 신차 효과를 통한 실적 개선 여지가 충분할 것으로 내다본다.쌍용차 관계자는 "설 연휴로 인한 조업 일수 축소에도 오픈형 SUV 시장이 커지면서 렉스턴 스포츠 판매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며 "여기에 신형 코란도가 새롭게 출시된 만큼 강화된 라인업을 바탕으로 내수 판매를 더욱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GM·르노삼성, 나란히 '후진' 승승장구하는 쌍용차와 달리 한국GM은 지난달 내수 판매량이 5177대로 전년 동월 대비 10.8% 감소했다.이는 지난해 '국내 철수설' 사태를 겪었을 당시보다 판매량이 더욱 줄어든 수치다.업계에서는 지난해 군산 공장 폐쇄와 노사 갈등 문제가 있었지만, 한국GM이 '신차 효과'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것이 실적 부진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한다.실제 한국GM은 출시하는 신차들이 경쟁 모델에 비해 비싼 가격과 한발 늦은 출시로 줄줄이 쓴맛을 보고 있다.지난해 6월 출시된 중형 SUV 이쿼녹스는 비싼 가격에다가 4개월 먼저 출시된 현대 싼타페에 완벽히 밀렸다.지난달 역시 싼타페는 6776대가 팔리며 한국GM의 전체 판매량을 넘어선 반면 이쿼녹스는 132대 판매에 그쳤다.일부에서는 한국GM이 올해 출시할 예정인 대형 SUV 트래버스 역시 벌써부터 '출시 타이밍이 늦은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현대차가 지난해 대형 SUV 팰리세이드를 내놓았고, 올해 누적 판매 대수 1만2000대를 넘기는 등 시장을 선점했기 때문이다.또 올해 출시 예정인 픽업 트럭 콜로라도 역시 쌍용차의 렉스턴 스포츠와 얼마나 경쟁할지 미지수다.르노삼성자동차는 더욱 심각하다. 부정적인 대내외 상황에 봉착하며 완성차 꼴찌로 전락했다.임단협으로 인한 파업에 판매 비수기 요인이 겹치면서 지난달 내수 판매량이 8.0% 줄어든 4923대에 그쳤다. 르노삼성의 내수 시장 월간 판매량이 5000대 이하로 밑돈 것은 2016년 2월 이후 3년 만이다.향후 전망도 어둡다. 주력 모델의 노후화로 판매량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갈수록 낮아진다.올해 마땅한 신차도 없다. 마스터 15인승 정도가 상반기 대기 중이다. 사실상 현재 라인업으로 올해를 넘겨야 하는 처지다.여기에 노사 갈등까지 겹친 상황이다. 실적 부진이 길어지고 있으나 노사는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금 인상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노조는 지난해 10월부터 부분 파업에 돌입해 누적 파업은 총 42차례 160시간에 달하며, 손실 금액은 1700억원에 육박한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9.03.14 07:00
연예

무너지는 한국GM… 반사이익은 수입차가?

한국GM이 군산공장 폐쇄 등으로 판매량이 급감한 가운데 쌍용차·르노삼성차 등 경쟁 국산차 업체들이 그 반사이익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벤츠와 BMW 등 수입차들이 신바람을 내고 있다. 한국GM의 철수 가능성 등이 불거지면서 국산차에 실망한 소비자들이 수입차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 토막' 한국GM… 동반 하락 국산차4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지난달 내수에서 6272대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지난해 같은 달(1만4778대)보다 판매량이 57.6%나 줄어든 수치다. 완성차 5개 사 중 내수 판매량 기준 '꼴찌'다.이처럼 한국GM의 판매량이 줄었지만 다른 완성차 업체의 판매량은 늘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달 내수 3위에 오른 쌍용차는 9243대를 판매, 전년 동월 대비 0.2% 증가한 수준에 머물렀다.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내수 4위에 오른 르노삼성차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지난달 내수 7800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25.8%나 감소했다.지난달 장사를 잘해서 내수 4위에 오른 것이 아니라 한국GM이 반 토막 나면서 어부지리로 꼴찌를 면했다.그나마 현대·기아차는 신차 효과에 힘입어 내수 판매량을 늘렸다.현대차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6만7577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6.0%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랜저가 4개월 만에 월 판매 1만 대에 복귀(1만598대)한 가운데 완전변경(풀체인지) 된 신형 싼타페가 1만3076대의 판매 실적으로 단숨에 국내 전 차종 1위에 오르면서 전체 판매 실적을 견인했다.기아차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4만8540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1.9%의 증가세를 보였다. 현대·기아차의 차세대 엔진을 장착한 신형 K3는 본격적인 판매가 이뤄진 첫 달 5085대로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알렸다.현대·기아차의 선전에도 쌍용차·르노삼성차 등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국내 완성차 5개 사의 지난달 내수 판매 실적(13만9432대)은 전년 동월(14만5903대) 대비 4.4% 줄었다.완성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GM 여파로 당장 판매 측면의 반사이익을 보긴 어렵다"면서 "시장이 좋아야 시너지를 내면서 완성차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데, 상황이 악화될 경우 산업 수요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승승장구 수입차, 전국 도로 다 메울라국내 완성차 업계가 주춤하고 있는 반면 수입차 업계는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차량 데이터 조사 기관인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차 판매 대수는 2만6650대(국토교통부 등록 기준)로 집계됐다. 2015년 12월에 기록한 역대 최대 월 판매량(2만4812대)을 뛰어넘은 수치다.지난달 판매량은 전년 동월(2만2399대)과 비교해 19.0% 증가했다. 전월(2만102대) 대비로는 32.6% 늘었다.1분기(1~3월) 판매 실적은 6만7993대를 기록했다. 이런 판매량을 유지한다면 연간 판매량이 27만 대에 달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특히 메르세데스 벤츠는 지난달 전년 동월(6747대)에 비해 17.9% 증가한 7954대를 팔아 국내 완성차 4위 르노삼성차(7800대)와 5위 한국GM(6272대)의 내수 판매량을 넘어섰다.3위 쌍용차(9243대)와 비교해도 1289대밖에 차이가 안 난다. 국내 내수 판매량 3위에 오르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전망도 나온다. 벤츠와 수입차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BMW도 지난달 7053대를 팔아 한국GM의 판매량을 넘어섰다.업계는 '한국GM 철수설'이 수입차의 시장점유율을 높인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있다.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GM 차량을 사려고 생각했다가 철수설 때문에 포기한 이들 중 일부는 수입차를 선택했을 것"이라며 "이들 중 약 30~50%는 중소형 수입차를 구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벤츠와 BMW가 이 시기를 노려 강력한 할인 프로모션을 한 것도 판매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한국GM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수입차 시장점유율은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또 다른 수입차 관계자는 "국내시장은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수입차 점유율이 높은 편이 아니다"면서 "한국GM 사태에 따른 반사이익과 폭스바겐·아우디의 국내 복귀 등으로 올해 수입차 시장점유율은 20%에 육박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안민구 기자 an.mingu@jtbc.co.kr 2018.04.05 07:00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