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5건
스포츠일반

은메달이라고 주머니에 넣어버린 英복싱선수..."은메달은 실패자야"

영국 복싱 대표선수 벤저민 휘터커(24)가 결승전에서 패배 후 받은 은메달을 목에 걸지 않고 주머니에 넣어버렸다. 휘터커는 4일 일본 도쿄 국기관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남자 라이트 헤비급(75~81㎏) 결승전에서 아를렌 로페즈(쿠바)에게 판정패했다. 휘터커는 메달의 기쁨보다 패배의 아쉬움을 더 크게 느꼈다. 결승전 이후 시상식에서 은메달을 받았지만 메달을 목에 거는 대신 주머니에 넣어버렸다. 휘터커는 기념 촬영 때에야 마지 못해 메달을 꺼내 들어 보였다. 옆에서 지켜보던 코치가 “즐겨 벤저민! 이 순간은 돌아오지 않는다!”라고 소리쳤지만 휘터커는 속상한 표정을 숨기지 못했다.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휘터커는 경기 후 인터뷰를 통해 “은메달을 딴 게 아니라 금메달을 놓쳤다”라며 “정말 실망스럽다. 실패자가 된 느낌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금메달을 따기 위해 올림픽에 참가했다. 오늘 같은 기분을 다시는 느끼고 싶지 않다”며 “이 일을 마음속에 새겨두고 다시 돌아올 것이다. 믿어달라”고 각오를 전했다. 시상식 후 마음을 가라앉힌 휘터커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한다고 밝혔다. 영국 스카이뉴스에 따르면 휘터커는 인터뷰를 통해 “무례하게 굴려고 한 의도가 아니다. 어렸을 때부터 성격이 그랬다”며 “친구들과 축구 게임을 하다 져도 몇 시간 동안 얘기를 안 하는 성격이다. 아를렌의 수상을 뺏으려 했던 것이 아니라 너무 속상하고 당황스러워서 그랬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아름다운 은메달을 목에 걸고 웃어야 했다. 나만을 위한 게 아니라, 나라를 위한 것이기도 했다”며 “몇 년 뒤 이날을 돌아보면 훌륭한 성과로 여겨지겠지만, 그 순간만큼은 너무 속상해 즐길 수가 없었다”고 전했다. 차승윤 인턴기자 2021.08.05 11:16
스포츠일반

육상 新 바르홀름, “최첨단 기술 탑재 기능성 운동화, 육상 신뢰 망친다” 비판

육상 세계신기록을 달성한 카르스텐바르홀름(25·노르웨이)이 단거리 황제 우사인 볼트(자메이카)에 이어 최첨단 기술을 탑재한 기능성 운동화 사용을 강하게 비판했다. 바르홀름은 3일(한국시간) 일본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육상 남자 400m 허들 결선에서 45초 94의 세계신기록으로 우승했다. 바르홀름은 자신이 보유한 세계신기록 46초 70을 0.76초 앞당기면서 ‘46초’의 벽을 깼다. 이날 허들 경기는 세기의 관심사였다. 본래 허들은 우사인 볼트가 지배하고 있던 남자 단거리에 비해 육상계에서 외면당해왔지만, 바르홀름과 그의 영원한 라이벌, 라이 벤저민(24·미국)의 박빙의 레이스가 남자 육상 초유의 관심사로 자리매김했다. 바르홀름과 벤저민은 여태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케빈 영(미국)이 세운 세계기록(46초 78)을 깨는 것을 두고 긴장감 넘치는 경기를 치러왔는데, 올해 엎치락뒤치락을 반복하며 세계기록을 경신해왔다. 이날 경기에서 벤저민은 46초 17의 기록을 세우며 은메달을 거머쥐었다. 벤저민의 기록도 종전 세계신기록을 갈아치운 기록이다. 한편 바르홀름은 자신의 라이벌인 벤저민을 겨냥하는 발언을 했다. 영국 가디언은 3일 바르홀름의 발언 중 기능성 운동화를 비판하는 발언에 집중 조명했다. 매체는 바르홀름이 최첨단 기술이 탑재된 기능성 운동화를 크게 비판하면서, 나이키의 슈퍼 스파이크 등을 신고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들이 “황당하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스파이크를 신고 경기에 임하는 벤저민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바르홀름은 “(벤저민은) 내가 싫어하는 것들을 그의 신발에 넣고 있다. 슈퍼 스파이크들이 경기에서 사용되는 것은 육상의 신뢰를 앗아가는 행동이다. 황당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또 “나는 육상 경기를 할 때 왜 무언가를 신발에 넣는지 모르겠다. 중간에 쿠션이 있는데, 이는 스포츠의 신뢰를 앗아가는 행동”이라며 분개했다. 지난달 20일 우사인 볼트가 육상 단거리 선수들이 기능성 운동화를 신는 것을 비판한 것과 상통하는 발언이다. 볼트는 당시 스파이크를 착용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며, 우스꽝스럽다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하지만 벤저민은 이에 대해 별일이 아니라는 듯 넘겼다. 그는 “내 신발은 매우 좋다. 부드럽고, 내게 주는 것도 많다. (신발을 신었을 때) 조건이 좋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다른 신발을 신고도 같은 경기력을 낼 수 있다.”며 기능성 운동화가 자신의 경기력에 이렇다 할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일축했다. 서지수 인턴기자 2021.08.04 07:35
스포츠일반

바르홀름, 400m 허들 ‘세기의 대결’서 세계 신기록 세우며 金 획득

육상 허들 종목에서 역사상 최초의 45초대 기록이 세워졌다. 3일 일본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육상 남자 400m 허들 결선에서 카르스텐 바르홀름(25·노르웨이)이 45초94로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신기록이었다. 자신이 한 달 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기록했던 47초70을 0.76초 앞당겼다. 400m 허들 종목에서 46초의 벽이 깨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위를 차지한 라이 벤저민(25·미국)도 46초17의 세계기록을 세웠지만, 바르홀름의 레이스가 더 빨랐다. 두 선수는 결승선 앞 직선구간부터 간발의 차이를 유지했다. 3위는 46초72를 기록한 앨리송 두스 산투스(브라질)가 차지했다. 바르홀름과 벤저민은 육상에서 최고의 라이벌로 평가받았다. 벤저민은 지난 6월 미국 오리건주 유진에서 열린 미국 육상대표 선발전 남자 400m 허들 결선에서 46초83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케빈 영이 세운 종전 세계 기록에 불과 0.05초 뒤진 기록이었다. 그런데 7월에 바르홀름이 오슬로에서 46초70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벤저민을 역전했다. 이날 결선 레이스는 바르홀름과 벤저민의 대결로 관심을 모았다. 두 선수는 세기의 라이벌답게 치열한 레이스를 펼쳤다. 6번 레인의 바르홀름과 5번 레인의 벤저민은 마지막 10번째 허들을 넘을 때까지 승부를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바르홀름은 직선 구간에서 벤저민과 격차를 유지하며 결승선을 통과했다. 신기록을 확인한 바르홀름은 유니폼 상의를 찢으며 기쁨을 표했다. 두 선수는 도쿄올림픽에서 동시에 세계신기록을 수립하는 대결을 펼쳤지만, 마지막에는 바르홀름이 웃었다. 도쿄올림픽 출전을 앞두고 바르홀름은 인터뷰를 통해 “금메달을 따내기 위해 세계 기록이 필요하다. 누군가는 해낼 것이다”라며 “나는 내 일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자신의 기록뿐만 아니라 세계 기록까지 갈아치우면서 자기 일을 충실해 해냈다. 한편, 바르홀름은 노르웨이 스포츠 역사상 첫 올림픽 육상 400m 허들 금메달리스트가 됐다. 원래 바르홀름은 육상 10종경기 선수로 활약했지만, 올림픽 출전을 위해 2015년 뒤늦게 400m 허들로 전향했고 6년 만에 올림픽에서 우승을 하는 감격을 누렸다. 바르홀름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준결선 4위에 그쳤고, 2017년 런던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2019년 도하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한 바 있다. 김영서 인턴기자 2021.08.03 15:33
스포츠일반

[행크&장석기의 하이!타이거]‘온 플레인’

PGA투어 통산 63승에 빛나는 `리틀 아이스맨` 윌리엄 벤저민 호건은 `판유리 이론`을 통해 골프스윙은 `하나의 스윙궤도`를 통해 이뤄진다고 설명한 바 있다. 여기서 `판유리`란 에 그려진, 볼과 양어깨를 잇는 가상의 면을 말한다. 주황색 실선으로 그려놓은 사각형 모양의 면이다. 호건은 이 가상의 판유리 밑에서 평행이 되게끔 스윙궤적을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얘기는 하나의 `스윙궤도` 또는 하나의 `스윙 면`을 뜻한다. 그러나 행크의 이론은 다르다. `온 플레인`은 왼팔이 지면과 수평이 되는 `하프웨이 백`을 지나 `스윙 톱`에 이르게 되면 클럽 샤프트는 과 같이 원래의 각과 평행이지만 그 위쪽에 자리잡아야 한다는 이론이다. 쉽게 얘기하면 호건의 `판유리 이론`인 하나의 스윙궤도와는 달리 두 개 이상의 스윙궤도가 존재하는 셈이다. `원각(샤프트와 지면이 만든 원래의 각도)은 하나이지만, 스윙하는 동안은 하나 이상의 플레인을 타게 된다`는 개념은 여기에서 나온 것이다. 하나 이상의 스윙 플레인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다시 말해 처럼 클럽이 높아질수록 클럽은 더욱 더 목표선의 위쪽과 바깥쪽을 가르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왼팔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9시 방향에서는 원각과 평행한 조각①의 면에 두 손이 위치하게 되고, 스윙 톱으로 이르는 10시 방향에서는 조각①과 평행한 조각②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조각`이란 `원각`에 평행을 이루면서 만들어진 각도를 말한다. 또 스윙의 최정점에 도달하면 11시 방향에서 조각③의 형태를 취한다는 뜻이다. 이들 조각①~③은 기본적으로 원각과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행크는 이를 `온 플레인(On Plane)`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한 가지 주의할 것은 클럽의 길이에 따라 스윙 플레인이 변화한다는 점이다. 긴 클럽은 볼에서 좀더 멀리 떨어져 스탠스를 취하기 때문에 플랫하고, 짧은 피칭웨지는 볼에 가깝게 셋업을 취하기 때문에 업 라이트한 플레인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포인트는 `클럽은 똑같은 플레인이 아니라 똑같은 플레인 각도로 스윙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골프스윙의 정석이다. 바로 이 기본적인 `온 플레인`을 벗어나 처럼 백스윙에서든 다운스윙에서든 너무 업 라이트한 스윙궤도를 형성하게 되면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가 `오픈`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결과는 불보듯 `슬라이스`다. 표면적인 이유는 백스윙 때 몸 주위로 충분히 스윙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운스윙 때는 `아웃사이드 인`의 궤도로 깎여 맞기 때문이다. 아주 흔하게 얘기하는 `팽이치기` 이론이 여기에서 등장한다. 이 같은 스윙궤도는 근본적으로 클럽이 볼에 대해 어프로치는 되는 각도가 완만하지 않고 너무 가파르기 때문에 뒤땅의 두꺼운 샷이 될 공산이 크다. 이와는 반대로 의 경우는 너무 플랫한 스윙궤도로 클럽 페이스가 `닫히게` 돼 훅이 발생할 개연성이 높다. 클럽 헤드의 정면에 볼이 맞더라도 이런 플랫한 스윙궤도에서는 악성의 훅이 나게 된다. 왜냐하면 폴로스루 역시 목표 방향으로 쭉 뻗어주지 못하고 몸의 왼쪽으로 플랫하게 이뤄지면서 마치 잡아채듯 볼을 가격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스윙의 기본적인 구조가 수평 타격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임팩트 순간 볼이 클럽 페이스의 힐 쪽에 맞기 십상이고, 거둬 치게 될 확률이 높아 `토핑` 샷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과 같이 `온 플레인`에서 스윙되면 클럽은 임팩트 때 볼에 자연스럽게 스퀘어 상태를 이루게 되고, 볼의 구질도 드로성으로 날아가게 된다. 정확한 궤도 안에서 처음 약속했던 `원각` 상태로 클럽이 어프로치되기 때문이다. 바로 볼만 `깨끗하게 히팅`하게 된다. 2006.02.08 13:48
스포츠일반

[임경빈의 내 골프가 달라진다] <58·최종회>

IS(일간스포츠)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 2004년 10월 `IS가 펼치는 1인 1스포츠 캠페인`에 따라 `내 골프가 달라진다`라는 골프레슨을 연재한 지 벌써 16개월여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일간지 가운데서는 처음으로 한 면 전체를 레슨 기사로 꾸미는 파격적인 지면 할애를 통해 여러분들과 오랜 시간을 함께 했습니다. 이 코너가 여러분의 골프실력 향상에 도움이 좀 됐는지 모르겠군요. 제 개인적으로는 그 동안 IS 독자 여러분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아주 간략하게 요약하면 `장타를 위한 파워스윙`과 이상적인 골프스윙인 `내뻗어 밀어치는 샷`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 드렸습니다. 특히 코킹과 체중이동, 몸의 꼬임, 연결동작(커넥션) 등 이 4가지가 장타 스윙의 절대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무려 14차례에 걸쳐 `당겨치지 말고 밀어쳐라`라는 부제를 달아 여러분의 골프스윙에 대한 개념에 변화를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 이유는 아마추어 골퍼들의 90% 이상이 왼팔이 접히면서 몸쪽으로 `당겨치는 스윙`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골프스윙은 `내려 찍어서 뻗어치는 동작`을 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럼 마지막 편인 `백스윙 톱에서 오른쪽 팔꿈치가 겨드랑이에 붙는 것이 좋은지, 띄워져 있어야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스윙 톱에서 오른쪽 팔꿈치는 겨드랑이에 붙여야 할까, 떼야 할까 여러분은 어느 쪽이 맞는 말이라고 알고 계십니까. 먼저 백스윙 톱 때 오른쪽 팔꿈치를 겨드랑이에 붙이고 잘 치는 선수들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PGA투어 통산 63승에 빛나는 `리틀 아이스맨` 윌리엄 벤저민 호건(벤 호건)은 겨드랑이에 붙이는 스윙을 구사했고, 현역선수인 스페인의 미구엘 앙헬 히메네스도 겨드랑이를 붙인 채 낮은 백스윙으로 볼을 잘 치는 경우죠. 즉 처럼 오른팔꿈치가 겨드랑이에 붙어 있어서의 장점이라면 다운스윙 때 `인사이드 아웃`의 스윙 플레인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고질적인 슬라이스로 고민하는 아마추어 골퍼들에게는 일시적으로 유용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달라붙게 되면 왼쪽으로 돌아가는 훅 샷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즉 `지나치면 부족함만 못하다`는 옛말이 있죠. 그렇습니다. 이 맛(훅 샷)에 너무 깊게 들리면 어느 순간 감당할 수 없는 `악성` 훅 구질이 되어버리죠. 슬라이스 구질 때는 그나마 OB가 잦지 않았으나 훅 샷이 되고 나면 전혀 예상치 못한 OB 때문에 곤혹스럽습니다. 일단 오른팔꿈치를 겨드랑이에 붙이게 되면 스윙 톱 때 오른팔이 만드는 상암과 하암의 각이 90도보다 작아집니다. 골프스윙의 톱에서 가장 이상적이라고 하는 90도 앵글을 형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죠. 문제는 스윙 아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거리 손실이 불가피합니다. 비거리를 확보하는 장타 샷을 구사하는 데는 아무래도 겨드랑이를 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문제점도 있습니다. 스윙 톱에서 오른팔꿈치를 띄게 되면 다운스윙 때 오른손에 힘이 집중돼 엎어 치는 샷(아웃사이드 인의 궤도)이 되기 쉽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다운스윙 때 하암을, 지면을 향해 자연스럽게 떨어뜨릴 수 있다면 오른팔꿈치를 겨드랑이에 붙이는 것보다 처럼 떼는 것이 더 바람직한 샷입니다. 무엇보다 악성 훅 구질 때문에 고민하는 골퍼라면 겨드랑이를 붙이지 말고 떼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겨드랑이를 붙이고 안 붙이고의 문제는 어느 한 가지의 획일화된 답으로 규정할 수 없습니다. 골퍼들의 스윙패턴이나 구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죠. 굳이 어느 한 쪽에 좀더 우위를 둔다면 정론적인 얘기로서 떼는 것이 더 낫다는 얘기입니다. 그렇다면 스윙 톱에서 겨드랑이를 의식적으로 떼려고 하는데도 붙게 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요. 대부분 아마추어 골퍼들의 경우는 슬라이스가 유발되던 `스트레이트 테이크 백`을 `인사이드 테이크 백`으로 조정하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지긋지긋한 슬라이스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누군가로부터 `인사이드 테이크 백`을 권유받았기 때문인데 그 인이 심하게 박이면 더 치명적인 문제를 낳게 되죠. 테이크 백 때 너무 급격하게 몸쪽으로 잡아당기면서 백스윙을 시도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또 셋업 때부터 오른팔꿈치를 많이 죽이는 경우입니다. 대부분 초보자 때는 그립한 양팔 가운데 오른 팔꿈치가 복부에 닿을 듯 말 듯할 정도로 오른팔꿈치를 구부리라는 주문을 많이 듣게 되죠. 이와같이 오른팔꿈치가 몸에 붙는 듯한 셋업은 결과적으로 인사이드 테이크 백을 유발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처럼 오른팔을 구부리지 않고 좀 곧게 편다는 자세로 어드레스를 하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백스윙 톱에서 겨드랑이가 붙지 않으려면 테이크 백이 허리 높이에 이르렀을 때 와 같이 오른팔이 왼팔보다 더 위쪽에 위치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셋업 때 오른팔을 너무 죽이면 처럼 반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같은 스윙은 플랫하기 때문에 롱아이언이나 우드 샷은 토핑성 타구가 많이 나옵니다. 2006.01.25 10:34
브랜드미디어
모아보기
이코노미스트
이데일리
마켓in
팜이데일리
행사&비즈니스
TOP